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화자들의 인식과 사잇소리의 실현 양상을 통하여 그것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속격‘ㅅ’의 소멸 이후 사잇소리에 대한 화자들의 약화된 문법적 인식력은 사잇소리의 실현에도 사이시옷을 표기에 반영하지 않으려는 경향으로 나타나며 이는 사잇소리가 의미(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방증한다. 사잇소리의 출현 양상 역시 규범에서 규정하는 기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확인된다. 사잇소리의 실현 기준이 분명하지 않은 결과, 친숙도가 낮은 어휘에서는 사잇소리를 실현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며 화자들은 ㅅ전치성·후치성, 유추 등을 동원하여 사잇소리를 실현한다. 그 출현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고 분포의 파악이 불가능하게 되면서 사잇소리는 음운론이든 그 외의 분야에서든 정의하기 힘들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현대국어의 사잇소리는 고빈도의 어휘에서 살아남아 있을 뿐, 실질적으로는 쇠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ntemporary Korean sait-sori (medial sound) through speakers’ perception and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sait-sori. Textbooks by traditional grammarians show that grammatical recognition was weakened after genitive‘ㅅ’ (genitive s) became extinct. Because of this, the grammarians were reluctant to write sai-siot in the same way as contemporary speakers. This tells us that sait-sori does not have any meaning or function. Therefore the standard of realiz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norms of written and spoken Korean: there are some words that do not meet the standards of the norm. As a result of equivocal realization standards, words with a low intimacy degree do not tend to realize sait-sori and speakers use other means such as siot prepositionality, siot postpositionality and analogy. As speakers can not specify the standards, the realization of sait-sori is out of regularity and it is impossible to figure out its distribution.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at sait-sori is a concept that is difficult to define in any fields, including phonology. As a result, sait-sori in contemporary Korean has merely survived in words with high frequency and is now decli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노쳐자젼이라」에 나타난 '늙은 여자'의 성 = Study on the sexuality of 'old women' in "Nochyeojajyeonira" 탁원정 p. 5-28

'문(文)=무(武)'에 대한 세 가지 담론 = Three discourses on the Pen (文) and the Sword (武) 김홍백 p. 85-140

문헌 속 여성의 외양에 대한 표현 방식과 당대 여성성 인식과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expressions for women's appearance and femininity perception in literature : focusing on language expressions in Namwongosa and Yeolnyeochunhyangsujeolga : 『남원고사(南原古詞)』와 『열녀춘향수절가』의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조남민 p. 59-84

인천 지역 <비류, 문학산에 내일을 품다> 축제에 나타난 <미추홀백제신화> 재매개화스토리두잉 양상과 새로운 관객 개발을 위한 리모델링스토리두잉 방안 = Reparametrization storydoing aspects of the Michuholbakje myth in "Biryu Embrace Tomorrow in Munhaksan" of Incheon region and remodelling storydoing points for new tourist development 권도경 p. 174-211

'알파고' 이후, 한국 TV 드라마의 AI(인공지능)에 대한 담론 =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n TV dramas after 'AlphaGo' : <너도 인간이니?>를 중심으로 김강원 p. 240-264

축구선수 인터뷰텍스트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 text for soccer players : focused on interviews with MVP players after soccer games : 경기 후 최우수선수 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영심 p. 296-323

한글장편소설의 요도(妖道)ㆍ요승(妖僧) 형상 연구 = A study on "bad daoists" and "bad monks" in Korean classical novels : 『임씨삼대록』,『쌍성봉효록』,『명행정의록』,『명주보월빙』을 중심으로 채윤미 p. 141-173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관견 = Observations on the contemporary Korean Sait-sori : 현대국어 화자의 사잇소리의 인식과 사잇소리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김정인 p. 265-295

웹툰이 혐오의 시대를 건너는 방법 = The method by which webtoons cross the age of hatred : focusing on Kim Sung-nyung's "Disaster Trilogy" : 김숭늉의 '재난 3부작'을 중심으로 전지니 p. 212-239

한국 현대시, 퀴어링으로 횡단하기 = Traversing contemporary Korean poetry by queering 정끝별 p. 29-58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국어원, 『한국어의 발음 현황 조사』, 국립국어원, 2016. 미소장
2 국립국어원, 『사잇소리 관련 어휘의 발음 및 표기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18. 미소장
3 국어연구소, 『표준어 규정 해설』, 국어연구소, 1988. 미소장
4 김선철, 『표준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3. 미소장
5 김정인, 『국어 사잇소리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6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미소장
7 김한샘, 『현대국어 사용빈도 조사2』, 국립국어원, 2005. 미소장
8 박지현,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 용어의 변천 연구』, 서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9 안병섭, 「표준 발음법과 언어 현실」, 『한국학연구』 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123~141쪽. 미소장
10 엄태수,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국제어문』 38, 국제어문학회, 2006, 165~200쪽. 미소장
11 유길준, 『朝鮮文典』, 1906,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1-3,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2 임석규, 「경음화, 남은 몇 문제」, 『국어학』 67, 국어학회, 2013, 167~194쪽. 미소장
13 주시경, 『國語文法』, 1910, [재수록: 고영근·이용·최형용 편] 『주시경, 국어문법의 교감과 현대화』, 박이정, 2010. 미소장
14 J. S. Gale, 『辭課指南 사과지남 Korean Grammatical Forms』, 1894,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14,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5 Scott, J., 『A Corean Manual』, 1893,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9,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6 前間恭作, 『韓語通』, 1909,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32,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7 島井浩, 『實用韓語學』, 1902,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30,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8 寶迫緊勝, 『韓語入門 上』, 1880,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26, 탑출판사, 1977. 미소장
19 寶迫緊勝, 『韓語入門 下』, 1880, [재수록: 김민수·하동호·고영근 편] 『역대한국문법대계』 2-27, 탑출판사, 197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