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高宗時代史』 卷3. | 미소장 |
2 | 『舊韓國外交文書』 卷2・3. | 미소장 |
3 | 『大韓季年史』 上, (鄭喬),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4 | 『東學亂記錄』 上卷,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5 | 『續陰晴史』 上, (金允植,),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6 |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日記』. | 미소장 |
7 | 『李文忠公全集』. | 미소장 |
8 | 『日本外交文書』 卷5. | 미소장 |
9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卷1・2・3. | 미소장 |
10 | 『淸光緖朝中日交涉史料』 卷13. | 미소장 |
11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卷1・3. | 미소장 |
12 | 『養籌園戰稿』 卷3. | 미소장 |
13 | 姜孝淑,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황해・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1, 2009. | 미소장 |
14 | 구선희, 「청일전쟁의 의미: 조청 ‘속방’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37,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 미소장 |
15 | 김경록,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복궁 침략에 관한 군사사적 검토」, 『군사』 93, 2014. | 미소장 |
16 | 김경록, 『淸日戰爭 初期 朝日盟約의 강제 체결과 일본의 군사침략』, 『한일관계사연구』 51, 2015. | 미소장 |
17 | 董德模, 『朝鮮朝의 國際關係』, 박영사, 1990, | 미소장 |
18 | 동북아역사재단,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미소장 |
19 | 동학학회,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 보은 장내리 동학집회의 종합연구와 전망>2013, 4. 26 학술발표집 | 미소장 |
20 | 박맹수, 「19세기말 동아시아 전쟁에 대한 일본인의 ‘왜곡된’ 기억: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51, 2004. | 미소장 |
21 | 성강현,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9, | 미소장 |
22 |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선인, 2006(개정판) | 미소장 |
23 | 신용하, 『東學과 甲午農民戰爭硏究』, 서울: 일조각, 1993. | 미소장 |
24 | 안외순, 「동학농민혁명과 전쟁 사이: 집강소(執綱所)의 관민(官民) 협치(協治)」, 『동학학보』 51, 2019 | 미소장 |
25 | 엄찬호,「淸日戰爭에 대한 조선의 대응」 『한일관계사연구』 25, 2006 | 미소장 |
26 | 은정태, 「청일전쟁 전후 조선의 대청정책과 조청관계의 변화」,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미소장 |
27 | 조재곤, 「청일전쟁의 새로운 이해: 한국 내에서 전개된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74, 2015. | 미소장 |
28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갑오동학농민혁명의 쟁점』, 서울: 집문당, 1994. | 미소장 |
29 | 나카스카 아키라 외, 『또 하나의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과 일본』, 한혜인 역, 모시는 사람들, 2014. | 미소장 |
30 | 다이둥양(戴东阳), 「갑오중일전쟁 기간 청정부의 대일정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미소장 |
31 | 藤村道生, 『청일전쟁』, 허남린 역, 도서출판 小花, 1997. | 미소장 |
32 | 무츠 무네미츠 저, 김승일 역, 『건건록』, 범우사, 1993. | 미소장 |
33 | 朴宗根, 朴英宰 역, 『淸日戰爭과 朝鮮-外侵과 抵 抗』, 一潮閣, 1989. | 미소장 |
34 | 사카이 히로미, 「일본 역사교육 속의 청일전쟁과 조선-중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0, 2015. | 미소장 |
35 | 杉村濬, 한상일 역,『서울에 남겨둔 꿈』(在韓苦心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3, | 미소장 |
36 | 오비나타 스미오, 「청일전쟁 전후 일본 정치에서의 동아시아 질서 구상」, 동북아역사재단,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2009 | 미소장 |
37 | 王信忠(1937), 『中日甲午戰爭之外交背景』, 北平: 國立淸華大學 | 미소장 |
38 | 趙景達, 박맹수 역, 『이단의 농민반란: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그리고 조선민중의내셔널리즘』, 역사비평사, 2008 | 미소장 |
39 | 中塚明, 박맹수 역,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푸른역사, 2002(中塚明, 『歷史の僞造おただす』, 高文硏, 19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