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고전무(古典舞)'의 성립과 다원화 = 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classic dance 남종진 p. 239-268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우환의식(憂患意識)과 수기복례(修己復禮) = Gyeongwa's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 world and spirit of restoring the universal human order through self-cultivation 이은혁 p. 9-43
顏之推的治學思想及對顏氏家族文化發展影響研究 = Yan Zhi-tui's academic thoughts and its influence for Yan family development in cultural and academic 洪衛中 p. 45-76
평창 판관대(判官垈)이야기의 문화콘텐츠 발굴 및 활성화 방안 = Cultivating & proliferating cultural contents with the story of Pangwandae in Pyeongchang 이학주 p. 105-131
송곡(松谷) 이서우(李瑞雨)의 유배시(流配詩) 연구 = A study of Songgog Iseou's banishment poetry 강석근 p. 171-201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향가 연구사 검토와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Hyangga research through text mining : 2000년~2019년 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최정선 p. 135-169
역사 '기록'과 '출현'의 관계 = Study on the Eulji Mun Deok's records and the writing Shin Chaeho's Eulji Mun Deok : 신채호의 『을지문덕』 저술을 중심으로 김수자 p. 305-333
조선 후기 내궁방(內弓房) 궁내인(內弓人)의 별조궁(別造弓) 제작실태 = Manufacturing system of bows by professional bow makers in the Naegungba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장경희 p. 203-240
한·중·일 고전문학 속 여성의 죄와 벌 = Woman's crime and punishment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이경미 p. 79-106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 = The Donghak Peasant War and Chinese-Japanese War 안외순 p. 271-303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高宗時代史』 卷3. 미소장
2 『舊韓國外交文書』 卷2・3. 미소장
3 『大韓季年史』 上, (鄭喬),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4 『東學亂記錄』 上卷,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5 『續陰晴史』 上, (金允植,),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6 『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日記』. 미소장
7 『李文忠公全集』. 미소장
8 『日本外交文書』 卷5. 미소장
9 『駐韓日本公使館記錄』 卷1・2・3. 미소장
10 『淸光緖朝中日交涉史料』 卷13. 미소장
11 『駐韓日本公使館記錄』 卷1・3. 미소장
12 『養籌園戰稿』 卷3. 미소장
13 姜孝淑,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황해・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1, 2009. 미소장
14 구선희, 「청일전쟁의 의미: 조청 ‘속방’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37, 한국근현대사학회, 2006. 미소장
15 김경록,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복궁 침략에 관한 군사사적 검토」, 『군사』 93, 2014. 미소장
16 김경록, 『淸日戰爭 初期 朝日盟約의 강제 체결과 일본의 군사침략』, 『한일관계사연구』 51, 2015. 미소장
17 董德模, 『朝鮮朝의 國際關係』, 박영사, 1990, 미소장
18 동북아역사재단,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미소장
19 동학학회,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 보은 장내리 동학집회의 종합연구와 전망>2013, 4. 26 학술발표집 미소장
20 박맹수, 「19세기말 동아시아 전쟁에 대한 일본인의 ‘왜곡된’ 기억: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51, 2004. 미소장
21 성강현,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전라도 전주 동학농민혁명』, 모시는사람들, 2019, 미소장
22 신복룡, 『동학사상과 갑오농민혁명』, 선인, 2006(개정판) 미소장
23 신용하, 『東學과 甲午農民戰爭硏究』, 서울: 일조각, 1993. 미소장
24 안외순, 「동학농민혁명과 전쟁 사이: 집강소(執綱所)의 관민(官民) 협치(協治)」, 『동학학보』 51, 2019 미소장
25 엄찬호,「淸日戰爭에 대한 조선의 대응」 『한일관계사연구』 25, 2006 미소장
26 은정태, 「청일전쟁 전후 조선의 대청정책과 조청관계의 변화」,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미소장
27 조재곤, 「청일전쟁의 새로운 이해: 한국 내에서 전개된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74, 2015. 미소장
28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편, 『갑오동학농민혁명의 쟁점』, 서울: 집문당, 1994. 미소장
29 나카스카 아키라 외, 『또 하나의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과 일본』, 한혜인 역, 모시는 사람들, 2014. 미소장
30 다이둥양(戴东阳), 「갑오중일전쟁 기간 청정부의 대일정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미소장
31 藤村道生, 『청일전쟁』, 허남린 역, 도서출판 小花, 1997. 미소장
32 무츠 무네미츠 저, 김승일 역, 『건건록』, 범우사, 1993. 미소장
33 朴宗根, 朴英宰 역, 『淸日戰爭과 朝鮮-外侵과 抵 抗』, 一潮閣, 1989. 미소장
34 사카이 히로미, 「일본 역사교육 속의 청일전쟁과 조선-중학교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0, 2015. 미소장
35 杉村濬, 한상일 역,『서울에 남겨둔 꿈』(在韓苦心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3, 미소장
36 오비나타 스미오, 「청일전쟁 전후 일본 정치에서의 동아시아 질서 구상」, 동북아역사재단,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 전략』 2009 미소장
37 王信忠(1937), 『中日甲午戰爭之外交背景』, 北平: 國立淸華大學 미소장
38 趙景達, 박맹수 역, 『이단의 농민반란: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그리고 조선민중의내셔널리즘』, 역사비평사, 2008 미소장
39 中塚明, 박맹수 역,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푸른역사, 2002(中塚明, 『歷史の僞造おただす』, 高文硏, 199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