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현재 도시빈민으로 살아가는 중고령 남성들의 빈곤화 과정과 빈곤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정규직이나 종업원을 둔 자영업자 출신이지만 현재 수급자 신분으로 급격한 하락을 경험하였다. 이들의 빈곤화 과정은 1) 부도, 빚보증, 사기 등 경제적 위기가 되는 촉발과정,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주식투자, 고리의 사금융 이용 등으로 악화과정, 3) 이혼, 가족 및 사회적 지지망이 사라지는 해체과정으로 이루어지며, 4) 이후 알코올중독, 건강악화 등의 절망과정, 수급자로 선정됨으로써 빈곤계층에 편입되는 안정화단계가 뒤따르게 된다. 한편 사례들의 빈곤화 과정에서 나타난 빈곤요인들을 살펴보면 IMF, 사기, 빚보증 등 외적 요인과 개인의 행동 및 성격 특성 등 내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빈곤화 과정에서 외적 요인은 촉발요인이 되지만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잘못된 대처, 자발적 관계단절, 낙담, 무계획적 생활 등 내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가족 유대 강화, 알코올중독 개입 등 예방적 관점에서의 위기관리와 함께 사회구조적으로 고금리 사금융에 대한 적절한 제재, 사회관계망 회복, 빈곤탈출 기회 제공 등 적극적 대응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verty progress and its factors which drove the lives of the middle-aged men in Chokbang area. The observed examples are the retired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self-employed who have been classified as the ones in the economically-middle class but currently as the welfare recipi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poverty of the observed has undergone the progress of trigger, worsening, breakup, desperation and stabilizing stages. The poverty factors found in this study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circumstantial factors(bankruptcy after IMF, debt guarantee for relatives) and inner factors(the participants’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The circumstantial factors worked mainly in the trigger stage and the inner factors contributed to worsening economic crisis and facilitating the progress.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individual-scale measures such as encouragement of familial bond or medical treatment of the alcoholism but also social measures including proper regulation of shark loan and opportunity supply to exit from pover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화 <로얄 테넌바움> 미장센에 나타난 감성색채 이미지 분석 = Analysis of emotional colors in the mise-en-scene of the film <The Royal Tenenbaums> 심형근 p. 261-270

Q 방법론을 활용한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of autonomous vehicles using Q methodology 이영직, 안현철 p. 153-170

Factors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celebrity endorsement = 복수 유명인 옹호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연구 Namhyun Um p. 271-280

학점은행제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 Blockchain system for academic credit bank system 손기봉, 손민영, 김영학 p. 11-22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학습 도구어 선정 및 학습 어플리케이션 개발 = Academic vocabulary sel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pplication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민경아, 유동희 p. 23-36

영어쓰기에서 AWE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 연구 =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r attitudes on the use of AWE program in English writing 임희주 p. 37-45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of highschool stud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은정, 김예진, 권은비, 이동훈 p. 193-203

보건의료담당 공무원을 위한 빅데이터 교육콘텐츠 = Big data education contents for healthcare officials 김양우 p. 236-242

수학능력시험 영어 읽기 지문의 응집성과 문항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hesion and item difficulty in English reading section of CSAT 황이수, 이제영 p. 344-350

인공지능 로봇과의 비교영역 자기관련성이 사용자의 시기심, 음악 창작물에 대한 평가 및 로봇과의 협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users' self-reference of the comparative domain with creative AI robot in music composition on their envy toward robot, cognitive assessment of music and intention to work with robot 이두황, 김유진 p. 79-89

게임 캐릭터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파타피직스 연구 = Analysis on pataphysics of virtual idol based on game character : focus on K/DA : K/DA를 중심으로 김초영, 한혜원 p. 69-78

농촌지역 생활공동체의 특성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ural liv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이상록, 도유희 p. 171-180

갱년기 여성의 인지감퇴 극복과정에 대한 경험 = Experiences in overcoming cognitive decline in climacteric women : a qualitative study 김지현, 김윤수 p. 181-192

사회복지사 처우개선 관련 조례 및 이행여부 연구 = Analysis on the ordinance and implementation of labor conditions improvement of social worker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ts 16 subregions : 부산광역시 및 부산 16개 구·군을 중심으로 권신정, 조선영 p. 204-211

모바일 광고특성, 개인특성, 구매태도와 구매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advertisement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purchas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 focus on youth consumers : 청소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배종서 p. 303-317

이중주격구문의 의미구조 = Semantic structure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김경환 p. 338-343

지상파 UHD 부가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방송 서비스 시뮬레이션 = Simulation of disaster broadcast service using terrestrial UHD additional data 곽천섭, 이만규, 이현지 p. 58-68

유아교육기관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부모 관점에서의 만족도 및 활용도 분석 = An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from the parents' perspective on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임정희, 한상길 p. 140-152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아이돌 생존 가능성 예측 연구 = A study on the idol survivability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focused on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 산업 경쟁력 증진을 중심으로 김슬아, 안주혁, 최복권 p. 291-302

스마트기기를 통한 동영상 시청 환경에서 기기 이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 use devices in watching video through smart devices 송재민, 김동연 p. 46-57

호주와 뉴질랜드의 해외학위인정제도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higher education recognition system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채재은 p. 318-326

조리실무과목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팀기반학습(TBL) 적용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by culinary major university students to culinary skills subjects 김찬우, 정현채 p. 327-337

한류 왕홍 미디어에 관한 연구 = Examining the Korean Wave Wanghong media of China : based on viewing satisfaction and cultural acceptance : 시청만족도와 문화 수용성을 중심으로 탕린, 조희정, 이혜은 p. 105-117

사회과학을 위한 양적 텍스트 마이닝 = Quantitative text mining for social science : analysis of immigrant in the articles : 이주, 이민 키워드 논문 및 언론기사 분석 이수정, 최두영 p. 118-127

영화 <인셉션>에 나타난 음악의 시간성 = Temporality of music in film <Inception> 박병규 p. 251-260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김지영 p. 367-374

종교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eligion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life 강동훈 p. 212-221

음향 신호의 양방향적 연관성을 고려한 유해 콘텐츠 검출 기법 = Pornographic content detection scheme using bi-directional relationships in audio signals 송광호, 김유성 p. 1-10

셰어하우스의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of a share house : 잠재적 이용자인 대학생,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황춘화 p. 90-104

쪽방거주 중고령 남성의 빈곤 사례연구 = Study on poverty of the middle aged men living in Chokbang area 김동선, 모선희 p. 222-235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에 나타난 편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rejudice in the movie <12 Angry Men> 이강석 p. 243-250

보건계열 대학생의 국가시험 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이상증상 =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exam stress and subjective oral symptom in allied health students 이민영, 김명은 p. 351-358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the utility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for the culinary major college students 정현채, 김찬우 p. 128-139

한국과 중국 모바일광고 수용자의 광고회피에 관한 국가 및 연령별 비교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n ad avoidance of Korean and Chinese mobile advertising audiences based on country and age 사광이, 이보희, 김병대 p. 281-290

국내 외국인 유학생 지원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응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 to support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social adaptation by ego-resilience 한형주, 서은숙 p. 570-584

도시첨단산업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계획요소 도출 = Development of site selection planning factors for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 focused on old industrial complex regeneration :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중심으로 박광진, 이명훈 p. 595-608

아동 교통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교통안전 문제점과 개선방안 = Traffic safe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child traffic accident case in apartment complex :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중심으로 김신혜, 임동균 p. 623-634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극성 유발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 A concept mapping study on factors inducing dental hygiene student's activeness during clinical practice 김형미, 정미애 p. 359-366

중년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for middle-aged in Korea : focusing on 2000-2019 : 2000-2019년을 중심으로 연옥현, 이현지 p. 426-436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간호여대생의 운동행동 변화단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of women in nursing college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왕희정, 오수민 p. 437-447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The factor influencing health statu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김경자, 서슬기, 김양균 p. 375-388

가족기능과 삶의 만족도가 대학생의 긍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n positiv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박세정 p. 389-39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and parenting stress on infant's basic daily life habits 한영숙 p. 398-409

2016년 서울과 부산지역 폭염특보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 = Evaluating economic value of heat wave watch/warning information in Seoul and Busan in 2016 : focused on a cost of heat wave action plan and sample of patients : 폭염대책 비용과 환자 자료를 중심으로 김인겸, 이승욱, 김혜민, 이대근 p. 525-535

국내 온라인게임시장 변화에 대한 분석 = An analysis of changes in Korean online-game market : focusing on Azuma Hiroki’s postmodern consumption theory : 아즈마 히로키 포스트모던 소비이론을 중심으로 김예솔, 진현정 p. 665-680

마음챙김 명상을 기반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on the job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office workers 이경민, 김인규, 임은실 p. 410-425

헬스케어산업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동향 = A tre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healthcare 이새봄, 송재민, 박아름 p. 448-456

IPTV 무료VOD이용자와 유료VOD이용자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distinct characteristics between free VOD and paid VOD users 이선미 p. 467-475

증권회사 지점 종사자의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 직무몰입, 고객지향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internal marketing on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in securities firm's branch 추교원, 정재헌 p. 476-499

리조트 기업의 조직문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Semiotic approach to resort's organizational culture : applying Greimas actant model : 그레마스 행위소 모형 적용 양승훈, 문보영 p. 500-512

기업가 연설문의 주제와 시청자 댓글 간의 관계 분석 = Entrepreneur speech and user comments : focusing on YouTube contents : 유튜브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성범, 이정환 p. 513-524

마케팅믹스 7P를 이용한 미술작가의 전시장 만족도 결정요인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f the artist's exhibition hall using marketing-mix 7P's 한수민 p. 536-544

지역문화예술서비스품질이 경제적·문화적 효과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local culture art service quality on effect and customer satisfaction 문재영, 박경식, 이은지 p. 558-569

제주 부동산업의 성장특성 분석 = Analysi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dustry in Jeju 양영준 p. 585-594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언론보도 분석 = COVID-19 news analysis using news big data :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alysis :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종 p. 457-466

전통 단청문양을 활용한 패션상품 개발 = Creation of fashion items using traditional Dancheong patterns : focused on bag designs : 가방 디자인을 중심으로 이재영 p. 545-557

안전기준 자동검색을 위한 지원도구 시범개발 = Pilot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s for automatic detection of safety standards 임수정, 박덕근 p. 609-622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 장애인 방송 접근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roadcast access policy for the disabled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이민상, 성욱준 p. 635-643

회계정보시스템 교육이 학문적 자기효능감과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IS educ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ntextual performance 이신남 p. 644-652

골프지도자의 감성 지능이 고객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golf coach'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onsumer citizenship behavior :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gender : 성별에 따른 조절 효과 분석 권기홍, 김용기 p. 653-664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재훈, 이용률, “한국의 노인, 왜 빈곤한가? 국제비교로 본 우리나라 노후빈곤실태,” 사회공공연구원, 2015. http://www.ppip.or.kr/board_issue/1830. 미소장
2 남상호, 최현수, 전지현, 신재동, 정희선, 이경진, 박나영, 이봉주, 김태성, 구인회, 김상경, 이원진, 오욱찬, 변금선,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미소장
3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5-261, 2013. 미소장
4 반정호, 한국 은퇴세대의 근로생애와 경제적 복지수준의 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5 The Precious and the Precocious: Understanding Cumulative Disadvantage and Cumulative Advantage Over the Life Course 네이버 미소장
6 Work History and U.S. Elders' Transitions into Poverty 네이버 미소장
7 D. Dannefer, “The Race if to the Swift: Images of Collective Aging,” in Metaphors of Aging in Science and The Humanities, edited by G. Kenyon, J. Birren, and J. Schroots, New York:Springer Publishing Company, pp.155-172, 1991. 미소장
8 장세훈, “현단계 도시빈곤의 지속과 변모: 신빈곤 현상에 대한 탐색,” 경제와 사회, 제66권, pp.95-125, 2005. 미소장
9 U. Beck,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London: Sage, 1992. 미소장
10 H. Glennerster, “The Life Cycle: Public or Private Concer?,” in The Dynamics of Welfare:The Welfare State and the Life Cycle, edited by J. Falkingham and J. Hills, NY: Prentice Hall/Harvester Wheatsheaf, 1995. 미소장
11 이원진, “개인화인가 계층화인가? 생애사건과 사회계층이 빈곤진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제45권, 제5호, pp.25-60, 2011. 미소장
12 C. L. Ridgeway and H. A. Walker, “Status Structures,” in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Social Psychology, edited by K. S. Cook, G. A. Fine, and J. S. House, Boston, MA: Allyn &Bacon, pp.281-310, 1995. 미소장
13 Status Attainment and Status Maintenance: A Study of Stratification in Old Age 네이버 미소장
14 The effects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on economic resources in retirement 네이버 미소장
15 A recursive model of economic well-being in retirement. 네이버 미소장
16 Cumulative advantage, cumulative disadvantage, and inequality among elderly people. 네이버 미소장
17 S. Crystal and K. Waehrer, “Late-Life Economic Inequality in Longitudinal Perspective,” Journal of Gerontology, Vol.51B, No.6, pp.S307-S318, 1996. 미소장
18 이미진, 김미혜, 홍백의, “남성 고령자의 소득불평등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1호, pp.1-26, 2007. 미소장
19 최민정, 베이비부머의 계층이동과 소득불평등에 관한연구, 1998-2010,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0 조선일보, “실업, 비정규직 늘며... 매년 4만 4천가구중산층서 탈락,” 2016년 8월19일자 기사. 미소장
21 L. Leisering and S. Leibfried, Time and Poverty in Western Welfare States: United Germany in Perspective, Cambridge, MA: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미소장
22 이성민, “빈곤화 메커니즘 연구-생애초기 한계상황, 누적된 실패경험, 가족으로 확산된 위험, 중첩된 사회위기,”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923-933, 2009. 미소장
23 이성호, “신빈곤층 사회적 네트워크의 해체와 대응전략: 전주시 노동빈곤층을 중심으로,” 담론 201, 제10권, 제4호, pp.239-273, 2008. 미소장
24 김정현, “저소득 이혼여성의 빈곤화 과정: 가족제도와 노동시장에서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38권, pp.69-102, 2012. 미소장
25 최희경, “빈곤 여성 노인의 생애와 빈곤 형성 분석,”노인복지연구, 제27권, pp.147-174, 2005. 미소장
26 박미정, 신희정, “생애사 연구를 통한 여성 가구주의빈곤화 과정과 사회적 배제의 경험: 대전지역의 빈곤여성 가구주를 대상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3호, pp.167-194, 2010. 미소장
27 유현숙, 곽현근, “여성 한부모 가족의 사회적 배제에관한 연구.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245-272, 2007. 미소장
28 김정득, 정여주,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남성노인의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pp.295-322, 2013. 미소장
29 허소영,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한국노년학, 제30권, 제1호, pp.241-260, 2010. 미소장
30 M. Q. Patton,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lif.: Sage, 1990. 미소장
31 R. E. Stak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lif.: Sage, 1995. 미소장
32 B. Berg and H. Lun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 (8th Edition),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2012. 미소장
33 G. S. Becker, “Crime and Punishment: an economic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Politics, Vol.76, No.2, pp.169-217, 1968. 미소장
34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98. 미소장
35 N. Denzin,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미소장
36 A. Sen, Inequality Reexamined,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미소장
37 이두호, 최일섭, 김태성, 나성린, 빈곤론, 나남출판사, 1991. 미소장
38 Correlates of employment among welfare recipients: do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matter? 네이버 미소장
39 장세훈, “빈곤층의 내부구성과 빈곤화 과정,” 경제와사회, 제9호, pp.179-207, 2006. 미소장
40 신혜리, 남승희, 이다미,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 소득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17-138, 2014. 미소장
41 김희삼, “고령가구의 소득과 사적 소득이전,” 연금포럼, 제31권, pp.55-65, 2008. 미소장
42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노인가구의 빈곤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율, 빈곤캡, 소득이전을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3호, pp.239-258,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