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과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fant's digital device usage and parents' perception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 김유은 ; 김정화 1
ABSTRACT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4
1. 연구대상 4
2. 연구도구 4
3. 연구절차 및 자료분석 5
III. 결과 및 해석 5
1.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특성 5
2.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 7
3.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에 따른 언어발달의 차이 8
4.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 인식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2
IV. 논의 및 결론 14
1.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특성 14
2.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 15
3.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에 따른 언어발달 차이 16
4.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17
참고문헌 1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 간의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지혜 (2016). 디지털기기에 대한 영아의 사용 현황 및 부모의 인식과 언어발달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권연정 (2014). 만 2세반 영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213-242. | 미소장 |
5 |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doi:10.14698/jkcce.2015.11.133 | 미소장 |
6 |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doi:10.16978/ecec.2012.7.2.002 | 미소장 |
7 | 김영태 (200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7(2), 1-23. | 미소장 |
8 | 김이영, 최윤희 (2015).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영향: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1), 139-158. | 미소장 |
9 | 김정자 (2013). 유아의 인터넷 게임 몰입성이 유아의 정서표현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주아 (2013). 영아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545-569. | 미소장 |
11 |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doi:10.16978/ecec.2018.13.01.005 | 미소장 |
12 | 류미향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 미소장 |
13 | 문미향 (2012). 부모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영아의 미디어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과 그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개입의 차이 | 소장 |
15 | 신의진 (2013). 디지털 세상이 아이를 아프게 한다. 서울: 북클라우드. | 미소장 |
16 | 이미정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 및 유아 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2. | 미소장 |
18 | 이수미, 서현아, 한희정 (2014).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111-131. doi:10.14698/jkcce.2014.10.2.111 | 미소장 |
19 | 이어리, 이강이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충족적 휴대전화 사용에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2), 27-39. | 미소장 |
20 |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 미소장 |
21 |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미소장 |
22 |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현정 (2013).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임선영 (2013). 가정에서 유아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허용과 인식: 계양구 유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장영애, 박정희 (2007). 아동의 인터넷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 도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31-1140. | 미소장 |
26 | 차금주, 신인숙 (2007). 가정에서 유아의 컴퓨터 활동에 관한 연구. 과학논집, 33, 117-143. | 미소장 |
27 | 천희영 (2015).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doi:10.14698/jkcce.2015.11.153 | 미소장 |
28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스마트폰 사용실태조사(Ⅱ).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 미소장 |
29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스마트폰 바른 사용 실천가이드 활용매뉴얼.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 미소장 |
30 |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 |
미소장 |
31 | Gopnik, A., Meltzoff, A. N., & Kuhl, P. K. (2008). The Scientist in the Crib, 아기들은 어떻게 배울까? 아기들이 말과 사물과 사람을 배우는 방법(곽금주 옮김). 서울: 동녘사이언스(원판1999). | 미소장 |
32 | RETRACTED: Retraction notice to using Mobile Phones in Language Learning/Teaching [SBSPRO 15C (2011) 2947–2951] ![]() |
미소장 |
33 | Wolf, M. (2009). Proust and the squid : The story and science of the reading brain, 책 읽는 뇌 :독서와 뇌, 난독증과 창조성의 은밀한 동거에 관한 이야기(이희수 옮김). 경기도: 살림(원판 2007). | 미소장 |
34 | Zimmerman, F. J., Christakis, D. A., & Meltzoff, A. N. (2007). Associations between media viewing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under age 2 years. The Journal of Pediatrics, 151(4), 364-368. doi:10.1016/j.jpeds.2007.04.07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