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점토 작업과 젠탱글 작업이남녀 학생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effect toward male and female students' flow by clay activity and zentangle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3

II. 몰입의 뇌과학적 이해 4

1. 무의식을 이용한 활동 4

2. 우뇌를 이용한 활동 6

3. 하뇌를 활성화하는 활동 7

III. 점토활동과 젠탱글 10

1. 점토 활동과 미술적 몰입과의 관계 10

2. 젠탱글과 미술적 몰입의 관계 12

IV. 연구 방법 13

1. 연구대상 및 기간 13

2. 연구방법 14

3. 연구도구 : 몰입수준 검사(FSS : Flow State Scale) 14

V. 결과분석 14

1. 미술과제(점토활동과 젠탱글)에 따른 학생들의 몰입의 유무 14

2. 미술과제(점토활동과 젠탱글)에 따른 남녀 학생들의 몰입의 차이 15

VI. 결론 및 논의 16

1. 결론 16

2. 논의 17

참고문헌 20

Abstract 2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점토 작업과 젠탱글 작업이남녀 학생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effect toward male and female students' flow by clay activity and zentangle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김황기 p. 164-186

보기
시각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blind : 'see what you can not see' : '보지 못하는 것을 보다' 장용석 p. 187-213

보기
시각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술교육에서의 영상교육에 관한 재고(再考) = Reconsideration on the image education within 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visual media environment 박상돈 p. 114-139

보기
공존의 미래를 만드는 참여적 역사박물관 = Participatory museum for coexistence future : the museum of the city of New York's Future City Lab : 뉴욕시박물관의 Future City Lab 정혜연 p. 1-28

보기
조소의 특징 변화에 따른입체표현 교육 방향 탐색 = Search of educational direction on 3-D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sulpture 이성도, 박상돈 p. 140-163

보기
비주얼 리터러시에 관한 시론 = An essay on visual literacy : the visual, art and education : 시각, 미술 그리고 교육 신현경 p. 59-87

보기
예술적 삶을 경험한 한 교사의자기이해 들여다보기 = Looking into the self- understanding of a teacher with experience of artistic life 원영미 p. 88-113

보기
2015 개정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 Analysis on connections between elementary curriculum and a textbook of pleasure life 안지연, 최정순 p. 214-238

보기
프레이리(Freire)의 '대화' 관점에서 본 유아미술활동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연구 = A stud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during art activities based on theory of Freire 임부연, 최윤경, 최윤경 p. 29-58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민경(2017). 초등학생의 미술적 몰입을 위한 젠탱글 지도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김영미, 한혜원(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 경험이 자기효능감과 무용활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19. 1-17. 미소장
3 신성은(2018). 점토조형 미술활동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연혜경(2017). 중학생의 미술표현학습에서의 몰입경험 과정과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31(3). 141-174. 미소장
5 황정애(2004). 문화예술인의 직업몰입: 문학, 미술, 건축 및 양악 분야의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스즈키 다이세츠(1984). 禪とは何か. (신현숙 역). 선이란 무엇인가. 서울: 을유문화사. (원저 1941출판) 미소장
7 Arnheim, R. (2004). Visual thinking. (김정오 역). 시각적 사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1969 출판) 미소장
8 Chemi, T. (2016). The Experience of Flow in Artistic Creation. Teaching Artistic Journal, 16(2), 78-88. 미소장
9 Csikszentmihalyi, M. & Larson, R. (1984). Being adolescent: conflict and growth in the teenage years. NY: Basic Book. 미소장
10 Csikszentmihalyi, M. (1993). The evolving self. NY: Harper Collins. 미소장
11 Csikszentmihalyi, M. (2003).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이삼출 역). 몰입의 기술. 서울: 더불어책. (원저 출판 1975) 미소장
12 Davis, P. (2013). The power of touch. (한주연 역). 스킨십의 심리학. 서울: 책비. (원저출판 1999) 미소장
13 Dietrich, A. (2004). Neurocognitive mechanisms underlying the ex- perience of flow. Consciousness and Cognition, 13, 746–761. 미소장
14 Think different: the merits of unconscious thought in preference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네이버 미소장
15 Fabritius, F. & Hagemann, H. (2018). The leading brain. (박단비 역). 뇌를 읽다. 서울: 빈티지하우스. (원저출판 2017) 미소장
16 Fromm, E.(1983). On disobedience and other essays. (홍순권 역). 휴머니즘의 재발견: 자유와 반항과 존재에 대하여. 서울: 한벗. (원저출판 1981) 미소장
17 Geake, J. (2006). Mathematical brains. Gifted and Talented, 10(1), 2-7. 미소장
18 Heine, C. (1997). Task enjoyment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미소장
19 Henley, D. (2005). Clayworks in art therapy. (김선현 역). 점토를 통한 미술치료. 서울: 이론과 실천. (원저 출판 2002) 미소장
20 Prefrontal hemodynamic responses and the degree of flow experience among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during their performance of a cognitive task 네이버 미소장
2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네이버 미소장
22 PLoS Biology in action. 네이버 미소장
23 Kendel, E. R. (2014). The age of insight. (이한음 역). 통찰의 시대. 서울: RHK. (원저출판 2012) 미소장
24 Art therapy and play. 네이버 미소장
25 Kosslyn, S., & Miller, W. (2014). Top brain bottom brain. (강주헌 역). 상뇌 하뇌. 서울: 추수밭. (원저출판 2013) 미소장
26 Kruk, K. Aravich, P. & Deaver, S. Norfolk, A. & deBeus, R., McNeill, S. (2015). Joy of zentangle. (박성은 역). 처음 시작하는 젠탱글. 서울: 아티젠. (원저출판 2002) 미소장
27 Limb, C. J. & Brawn, A. R. (2008). Neural substrate of spontaneous musical performance. An fMRI study of jazz improvisation. PLoS ONE,3(2), e1679. 미소장
28 McNeil, S. (2015). Zentangle drawing for a calm & focused mind. New York: Design Originals. 미소장
29 Persephone's return: Archetypal art therapy and the treatment of a survivor of abuse 네이버 미소장
30 Ornstein, R. (1997). The right mind: Making sense of the hemispheres. New York: Harcourt Brace. 미소장
31 Sex, Locus of Control, and Job Involvement: A Six-Country Investigation 네이버 미소장
32 Understanding Young Adolescents' Optimal Experiences in Academic Settings 네이버 미소장
33 Twigger, R. (2018). Small flow. (정미나 역). 작은 몰입. 서울: 더퀘스트. (원저출판 2016) 미소장
34 von Munchhausen, M. (2005). Wo die Seele auftankt. (유혜자 역). 네 영혼의 에너지를 충전하라. 서울: 아침나라. (원저출판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