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영정, 이만균, 공성아(2007).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운동과학, 16(4), 411-420. | 미소장 |
2 | 고형근(2011). 태권도 경기시 체급 및 승패에 따른 공격 유형별경기력의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 | 김낙은(2009). 2008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 경기내용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 | 김동균, 지용석(2009).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체격, 체력 및 유, 무산소성 능력의 비교. 대한무도학회지, 11(2), 317-327. | 미소장 |
5 | 김원기, 전만중(2006). 남자 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등속성 근력과 근지구력에 관한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5(5), 381-388. | 미소장 |
6 | 김은성, 장명재, 이만균, 장완성(2002). 단기간의 체중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1(2), 156-163. | 미소장 |
7 | 김현, 정윤기(2004). 태권도 겨루기 시 심폐지구력과 혈중 크레아틴, 암모니아농도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5(10), 1243-1250. | 미소장 |
8 | 나봉순, 김원기(2005).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신체구성과 슬관절 등속성 근력. 한국체육학회지, 44(4), 317-324. | 미소장 |
9 | 박동수, 천성용(2013). 대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하지 등속성 근력과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3), 1397-1407. | 미소장 |
10 | 박병주, 주동욱(2011). 트레이닝방법의 차이가 태권도 선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3(1), 171-185. | 미소장 |
11 | 박석우, 류영, 김규완(2014). 태권도, 축구, 체조 선수들의 균형능력과 근력, 근지구력의 상관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4(1), 85-93. | 미소장 |
12 | 박익렬, 전태원, 박계순, 류병관, 최정현(2002). 우수 남녀 태권도선수의 경기 중 심박수, 혈중 젖산, 혈압, 심근산소소비량의변화. 한국체육학회지, 41(5), 613-621 | 미소장 |
13 | 박장규(2005). 태권도 선수들의 대퇴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335-344. | 미소장 |
14 | 박종화, 전병관(2018).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자기결정성과 정서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2), 171-179. | 미소장 |
15 | 박주식, 윤동규, 김기정, 권규리(2020). 고교 축구선수와 태권도선수의 체력 및 하지 등속성 근 기능 특성 비교. 코칭능력개발지. 22(1), 131-139. | 미소장 |
16 | 세 계 태 권 도 연 맹 ( 2 0 2 0 ) . http://www.worldtaekwondo.org/about-wt/members/(2020. 4. 11) | 미소장 |
17 | 송종국, 정현절, 강효정, 김현배(2010). 남녀 대학 태권도선수의신체구성, 유무산소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 699-708. | 미소장 |
18 | 윤오남, 김용승, 김철주, 이경일, 이계행, 김창윤, 조완주, 김옥주, 김보성(2010).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태권도).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미소장 |
19 | 오정환, 신의수(2011). 태권도 앞차기 동작 시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생체역학적 변인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0(4), 367-378. | 미소장 |
20 | 윤영길, 김원배, 임태희(2006). 종목에 따른 경기력 구성 요소의기여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7(1), 1-12. | 미소장 |
21 | 윤종완(2008). 태권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훈련 Program 개발 및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323-1332. | 미소장 |
22 | 윤종완, 박종철(2007). 태권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근련 훈련Program 개발. 한국체육과학회지. 16(4). 817-827. | 미소장 |
23 | Calculation of Exercise Intensity Using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TaeKwonDo Game | 소장 |
24 | 이영림(2013). 전자호구를 착용한 태권도 겨루기에서 돌려차기기술의 득점여부에 따른 운동역학적 비교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7(2), 159-169임용택, | 미소장 |
25 | 김재등, 권형수(2006). 전신진동운동이 태권도 스피드 발차기 수행시 파워발현과 회복기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8(3), 287-296. | 미소장 |
26 | 임태희(2009). 태권도 경기력 모형개발과 요인에 따른 우선순위. 체육과학연구, 20(1), 57-69. | 미소장 |
27 | 장정은(2020). 태권도 겨루기와 품새 선수의 무산소 운동능력과피로요인 및 신체능력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소장 |
28 | 정주하, 김성은, 김형준, 박종준, 이승현(2019) 중·고·대학교축구선수의 신체조성, 체력요인 및 무산소성파워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1111-1121. | 미소장 |
29 | 정현주, 최동재, 김병태, 이상호, 김종호, 정정욱(2012). 태권도선수의 발차기 수행력이 등속 성 근기능과 무산소 파워에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4(2), 39-49. | 미소장 |
30 | 조철훈, 최철영, 이신언, 신광철, 송은규, 현석주, 이충영, 박명수(2011). 태권도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 간의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등속성 근력의 비교 연구.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2(2), 1-11. | 미소장 |
31 | 조철훈, 최철영, 이충영, 박명수(2011).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태권도 스텝 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2, 1-16. | 미소장 |
32 |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highly trained Taekwondo Athletes | 소장 |
33 | 최경석(2015). 태권도선수의 저항운동 시 set 구성의 차이가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과 퇴근 횡 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0(2), 221-229. | 미소장 |
34 | 탁형균, 장종오, 김준웅, 최현민(2019). 태권도 겨루기, 시범, 품새 선수 간 체력요인 비교. 국기원 태권도연구, 10(4), 283-299. | 미소장 |
35 | 함우택(2011).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12주간 훈련 프로그램이근력, 민첩성, 심박수,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919-927. | 미소장 |
36 | Bar-Or, O. (1978). Anaerobic capacity test;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Proceeding of 21st world congress in sports medicine, Brasilia. | 미소장 |
37 | Changes in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s intensity parameters during simulated Taekwondo competition. ![]() |
미소장 |
38 | Talent identification for soccer: Physiological aspects ![]() |
미소장 |
39 | Photobiomodulation therapy before futsal matches improves the staying time of athletes in the court and accelerates post-exercise recovery ![]() |
미소장 |
40 | MAXIMAL ECCENTRIC AND CONCENTRIC STRENGTH DISCREPANCIES BETWEEN YOUNG MEN AND WOMEN FOR DYNAMIC RESISTANCE EXERCISE ![]() |
미소장 |
41 | Johnson, B. L., Nelson, J. K. (1986). Practical Measurement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4th ed., Burgress Publishing. | 미소장 |
42 | Kwon, C. D., Lee, S. J., Park, J. S., Johnson, J. A. (2019). An Estimation Model for Anaerobic Power of Taekwondo Athletes Based on Field Tests. Journal of Martial Arts Anthropology, 19(1), 34-50. | 미소장 |
43 |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 |
미소장 |
44 | Taekwondo Anaerobic Intermittent Kick Test: Discriminant Validity and an Update with the Gold-Standard Wingate Test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