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핑참여자들의 참여목적과 참여수준에 따른 감각추구성향과 운동정서 및 운동지속의도 =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nsation seeking,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level of participation of surfboard participants 김성문 p. 13-22
필드하키 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과 팀 응집력 및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ach leadership behaviors, team cohesion, team effectiveness in field hockey athletes 윤서진, 최은영, 황승현, 장태석 p. 23-32
스포츠당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경쟁상태 불안 및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ports confidence in sports billiards players 이소진, 정지혜, 이보람 p. 33-43
태권도 시범단 참여 만족이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신호철, 김종수, 차영남 p. 44-51
건강증진을 위한 고강도 인터벌트레이닝의 과학적 분석 = Scientific analysis of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for health promotion 김기진 p. 90-99
근감소 진단 기준에 따른 근력 저하 여성 노인의 심폐기능과 보행능력 및 낙상 위험도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ardiopulmonary function, gait ability, and fall risk of elderly women with low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arcopenia 공성아 p. 81-89
지도자의 코칭행동과 대학무용수의 운동열의 및 운동탈진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leader's coaching behavior and university dancer's athlete engagement and athlete burnout :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need : 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김현주, 김덕진 p. 63-73
짐볼 코어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고등부 축구선수들의 신체조성 및 8방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gimball core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eight-direction balance ability of highschool soccer players 김종근, 류종식, 이영익 p. 100-106
비만 여성 노인의 건강운동 트레이닝에 의한 신체기능, 대사성증후군 위험요인 및 심장질환지표의 변화 = Change of physical functi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coronary heart disease markers by healthy exercise training in obese elderly women 안나영 p. 132-141

남자 중·고등학교 카약 선수들의 신체구성 및 체력요인 비교분석 = A study on the compare analyzed of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male middle and high school kayak players 정주하, 김성은, 김형준, 박종준, 이승현 p. 161-168
초등학교 무용수업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physical self-concepts on academic stress in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 participants 장선미, 곽이섭, 김주연 p. 74-80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들의 대근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lay-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on locomotion skill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최재원, 황민철, 안나영 p. 142-148
12주간의 기능성 운동이 고교 태권도 선수의 체력 및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12-week functional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high school taekwondo players 홍창배, 박주식, 천우광 p. 107-114
여성라인댄스 선수의 부상경험에 대한 재활과정 = Rehabilitation process for injury experience of female line dancer : grounded theory approach : 근거이론접근 손희정, 임정미 p. 149-160
태권도 뛰어앞차기 기술수행 과정에 나타나는 몸통 후경각과 하지관절의 운동학적 비교 = Kinematic comparison of torso retroversion angle and lower limb joint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aekwondo jumping front kick tecnique 신호철, 김종수 p. 115-122
남자 대학 태권도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체력요인과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 기능의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fitness factors, an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male college taekwondo excellent players and non-excellent players 홍창배, 이선장, 박주식 p. 123-131
어느 태권도 코치 삶의 소유와 존재 = A taekwondo coach's life 'having' and 'being' 박인서 p. 52-62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지속, 중단의도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효과 검증 =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exercise persistence, and interruption intention of middle school taekwondo players 오영택, 박동훈, 양명환 p. 3-12
전기근육자극 적용 시 근수축 형태에 따른 대퇴 근기능 분석 = Effects of applying ems on femoral musculoskeletal system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muscular contraction 채원식, 이한얼, 김종근, 정재후 p. 178-185

Ceravida Recover 기술이 적용된 의류의 운동기능적 효과분석 =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function in clothes with Ceravida Recover technology 김예영, 김지영, 정재헌 p. 186-194
스포츠 인적자원개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ports : from focusing on the graft of sports coaching and management coaching : 스포츠코칭과 경영코칭과의 접목을 중심으로 이준길, 조성진 p. 195-207
소프트 테니스 복식경기에서 타구 위치에 따른 전위 위치선정이 득·실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rward position selection on victory or defeat in soft tennis double 정덕화, 박규민 p. 169-177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영정, 이만균, 공성아(2007). 대학교와 고등학교 남자 태권도선수의 수준별 신체구성, 체력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의 비교. 운동과학, 16(4), 411-420. 미소장
2 고형근(2011). 태권도 경기시 체급 및 승패에 따른 공격 유형별경기력의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 김낙은(2009). 2008 베이징 올림픽 태권도 경기내용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 김동균, 지용석(2009).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체격, 체력 및 유, 무산소성 능력의 비교. 대한무도학회지, 11(2), 317-327. 미소장
5 김원기, 전만중(2006). 남자 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등속성 근력과 근지구력에 관한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5(5), 381-388. 미소장
6 김은성, 장명재, 이만균, 장완성(2002). 단기간의 체중감량이 체력수준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1(2), 156-163. 미소장
7 김현, 정윤기(2004). 태권도 겨루기 시 심폐지구력과 혈중 크레아틴, 암모니아농도 변화. 한국스포츠리서치, 15(10), 1243-1250. 미소장
8 나봉순, 김원기(2005).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신체구성과 슬관절 등속성 근력. 한국체육학회지, 44(4), 317-324. 미소장
9 박동수, 천성용(2013). 대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하지 등속성 근력과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3), 1397-1407. 미소장
10 박병주, 주동욱(2011). 트레이닝방법의 차이가 태권도 선수의 하지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3(1), 171-185. 미소장
11 박석우, 류영, 김규완(2014). 태권도, 축구, 체조 선수들의 균형능력과 근력, 근지구력의 상관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4(1), 85-93. 미소장
12 박익렬, 전태원, 박계순, 류병관, 최정현(2002). 우수 남녀 태권도선수의 경기 중 심박수, 혈중 젖산, 혈압, 심근산소소비량의변화. 한국체육학회지, 41(5), 613-621 미소장
13 박장규(2005). 태권도 선수들의 대퇴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335-344. 미소장
14 박종화, 전병관(2018).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사회적지지가 자기결정성과 정서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2), 171-179. 미소장
15 박주식, 윤동규, 김기정, 권규리(2020). 고교 축구선수와 태권도선수의 체력 및 하지 등속성 근 기능 특성 비교. 코칭능력개발지. 22(1), 131-139. 미소장
16 세 계 태 권 도 연 맹 ( 2 0 2 0 ) . http://www.worldtaekwondo.org/about-wt/members/(2020. 4. 11) 미소장
17 송종국, 정현절, 강효정, 김현배(2010). 남녀 대학 태권도선수의신체구성, 유무산소능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 699-708. 미소장
18 윤오남, 김용승, 김철주, 이경일, 이계행, 김창윤, 조완주, 김옥주, 김보성(2010). 체육지도자 훈련지도서(태권도). 서울: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미소장
19 오정환, 신의수(2011). 태권도 앞차기 동작 시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생체역학적 변인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0(4), 367-378. 미소장
20 윤영길, 김원배, 임태희(2006). 종목에 따른 경기력 구성 요소의기여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7(1), 1-12. 미소장
21 윤종완(2008). 태권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훈련 Program 개발 및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17(4), 1323-1332. 미소장
22 윤종완, 박종철(2007). 태권도 경기력 향상을 위한 근련 훈련Program 개발. 한국체육과학회지. 16(4). 817-827. 미소장
23 Calculation of Exercise Intensity Using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TaeKwonDo Game 소장
24 이영림(2013). 전자호구를 착용한 태권도 겨루기에서 돌려차기기술의 득점여부에 따른 운동역학적 비교분석. 한국여성체육학회. 27(2), 159-169임용택, 미소장
25 김재등, 권형수(2006). 전신진동운동이 태권도 스피드 발차기 수행시 파워발현과 회복기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8(3), 287-296. 미소장
26 임태희(2009). 태권도 경기력 모형개발과 요인에 따른 우선순위. 체육과학연구, 20(1), 57-69. 미소장
27 장정은(2020). 태권도 겨루기와 품새 선수의 무산소 운동능력과피로요인 및 신체능력 비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28 정주하, 김성은, 김형준, 박종준, 이승현(2019) 중·고·대학교축구선수의 신체조성, 체력요인 및 무산소성파워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지, 17(3), 1111-1121. 미소장
29 정현주, 최동재, 김병태, 이상호, 김종호, 정정욱(2012). 태권도선수의 발차기 수행력이 등속 성 근기능과 무산소 파워에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4(2), 39-49. 미소장
30 조철훈, 최철영, 이신언, 신광철, 송은규, 현석주, 이충영, 박명수(2011). 태권도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 간의 최대산소섭취량, 체지방률, 등속성 근력의 비교 연구.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2(2), 1-11. 미소장
31 조철훈, 최철영, 이충영, 박명수(2011).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태권도 스텝 후 돌려차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2, 1-16. 미소장
32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in highly trained Taekwondo Athletes 소장
33 최경석(2015). 태권도선수의 저항운동 시 set 구성의 차이가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과 퇴근 횡 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0(2), 221-229. 미소장
34 탁형균, 장종오, 김준웅, 최현민(2019). 태권도 겨루기, 시범, 품새 선수 간 체력요인 비교. 국기원 태권도연구, 10(4), 283-299. 미소장
35 함우택(2011).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12주간 훈련 프로그램이근력, 민첩성, 심박수,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919-927. 미소장
36 Bar-Or, O. (1978). Anaerobic capacity test;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Proceeding of 21st world congress in sports medicine, Brasilia. 미소장
37 Changes in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s intensity parameters during simulated Taekwondo competition. 네이버 미소장
38 Talent identification for soccer: Physiological aspects 네이버 미소장
39 Photobiomodulation therapy before futsal matches improves the staying time of athletes in the court and accelerates post-exercise recovery 네이버 미소장
40 MAXIMAL ECCENTRIC AND CONCENTRIC STRENGTH DISCREPANCIES BETWEEN YOUNG MEN AND WOMEN FOR DYNAMIC RESISTANCE EXERCISE 네이버 미소장
41 Johnson, B. L., Nelson, J. K. (1986). Practical Measurement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4th ed., Burgress Publishing. 미소장
42 Kwon, C. D., Lee, S. J., Park, J. S., Johnson, J. A. (2019). An Estimation Model for Anaerobic Power of Taekwondo Athletes Based on Field Tests. Journal of Martial Arts Anthropology, 19(1), 34-50. 미소장
43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네이버 미소장
44 Taekwondo Anaerobic Intermittent Kick Test: Discriminant Validity and an Update with the Gold-Standard Wingate Test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