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8 아동학대 주요 통계(11-1352000-002541-01), 서울: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9. |
미소장 |
2 |
Does verbal abuse leave deeper scars: a study of children and parents.  |
미소장 |
3 |
연진영, 아동학대의 실태 및 영향,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2. |
미소장 |
4 |
Linking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adult depressive symptoms: The role of mentalizing incapacity.  |
미소장 |
5 |
이병도, 박현민, 서우승, 이창배, “가정폭력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아동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8권, 제3호, pp.307-344, 2019. |
미소장 |
6 |
정익중, 박현선, 구인회,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223-244, 2006. |
미소장 |
7 |
아동훈육과 아동학대의 구분  |
미소장 |
8 |
김혁돈, 손지아, “아동복지적 관점을 고려한 아동‘학대’개념,” 법학논고, 제63호, pp.347-372, 2018. |
미소장 |
9 |
유영재, 김나리, “폭력의 학습 –아동학대 경험과 범죄행동간의 관계-,” 한국범죄심리연구, 제15권, 제4호, pp.69-86, 2019. |
미소장 |
10 |
오승재, 이영광, 지은구, “아동학대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 제38권, 제1호, pp.31-63, 2019. |
미소장 |
11 |
A. Butchart, H. A. Phinney, M. Mian, T. Fürniss, and T. Kahane, Preventing child maltreatment: A guide to taking action and generating evidence , Geneva, Switzerland: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
미소장 |
12 |
김지영, “정서적 학대가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관광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학회, 제39권, 제3호, pp.377-394, 2014. |
미소장 |
13 |
S, N. Hart, M. R. Brassard, Amy. J. L. Baker, and Z. A. Chiel, Psychological maltreatment of children . In J. B. Klika and J. Conte, The APSAC handbook on child maltreatment , Vol.4, (pp.145-162), San Jose, CA: Sage, 2017. |
미소장 |
14 |
강은영, 김희균, 아동학대의 실태와 학대피해아동보호법제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5. |
미소장 |
15 |
김미숙,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가정 내 정서 학대를 중심으로 -,” 한국범죄정보연구, 제2권, 제2호, pp.1-24, 2016. |
미소장 |
16 |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psychosocial problems of children  |
미소장 |
17 |
이현기, “아동학대 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23호, pp.77-108, 2005. |
미소장 |
18 |
장용환, 송지혜, “아동기의 학대경험이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제20권, 제2호, pp.80-104, 2011. |
미소장 |
19 |
조성희, 박소영, “청소년기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가 사건충격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7권, 제1호, pp.109-119, 2019. |
미소장 |
20 |
안형숙,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제21권, 제1호, pp.185-203, 2014. |
미소장 |
21 |
김혜련, 이재연,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15권, 제1호, pp.91-108, 1994. |
미소장 |
22 |
박원주, “아동기 부모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정서적 지지, 촉진적 관계의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제20권, 제7호, pp.255-264, 2019. |
미소장 |
23 |
변은실, 이주영,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4호, pp.1125-1149, 2016. |
미소장 |
24 |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제2호, pp.9-42, 2007. |
미소장 |
25 |
배라영, 최지영,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32권, 제1호, pp.29-52, 2018. |
미소장 |
26 |
김혜인, 신민섭, 김은정,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8권, 제4호, pp.353-380, 2012. |
미소장 |
27 |
A Clinician's Guide to Recognizing and Reporting Parental Psychological Maltreatment of Children  |
미소장 |
28 |
노충래,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13호, pp.123-154, 2002. |
미소장 |
29 |
이재연, 한지숙, “아동과 부모, 가족환경 특성에 따른아동학대 실태연구,” 한국아동학회, 제24권, 제2호, pp.63-78, 2003. |
미소장 |
30 |
Does the gender of parent or child matter in child maltreatment in China?  |
미소장 |
31 |
여진주, “아동학대 발생요인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 -경상북도 동부권 아동을 대상으로 -,”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1호, pp.3-26, 2008. |
미소장 |
32 |
김미정, 이경은, 염동문, “메타분석을 활용한 정서학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195-219, 2013. |
미소장 |
33 |
백경숙,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태도와 결혼만족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2호, pp.181-198, 2011. |
미소장 |
34 |
김혜영, 장화정, “아동학대 유형별 영향을 미치는 부모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제6권, 제2호, pp.269-286, 2002. |
미소장 |
35 |
이정념, “아동학대의 유형에 대한 새로운 정의,” 저스티스, 제166호, pp.209-233, 2018. |
미소장 |
36 |
박영신, 김의철,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 행동,”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제10호, pp.87-115, 2004. |
미소장 |
37 |
김상미, 남진열, “지역사회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아동학대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9호, pp.211-231, 2014. |
미소장 |
38 |
이승희, “신경증적 경향성과 알코올중독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중독, 제2권, 제1호, pp.13-26, 2017. |
미소장 |
39 |
정은균,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5요인 성격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3호, pp.79-110, 2007. |
미소장 |
40 |
설경옥, 김유나, “형제가 지각한 부모의 차별적 양육행동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31권, 제1호, pp.91-110, 2018. |
미소장 |
41 |
김희송, 이봉우, 최영식, 정규희, “법의부검자료를 기반으로 한 아동학대 사망의 현황과 유형,” 형사정책연구, 제30권, 제1호, pp.229-263, 2019. |
미소장 |
42 |
Sexual, physical, verbal/emotional abuse and unexplained chest pain  |
미소장 |
43 |
이승주, 정병수, “가정폭력 노출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행동의 관계 :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경찰학회보, 제17권, 제3호, pp.223-250, 2015.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