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차이를 비교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한국 대학생 240명과 중국 대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로는 중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 대학생보다 긍정적이며 노인에 대한 지식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노인을 존경대상으로 인정하는 정도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경로의 전통사상은 지속적으로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 노인과의 교류 프로그램도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명순, 노기영, 장지혜(2013), “대학생의 노인 이미지, 지식과 고정관념 및 인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3): 633-636. | 미소장 |
2 | 김수영, 문경주, 장수지(2017), “젊은 세대의 문화성향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노인에 대한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6(38): 163-191. | 미소장 |
3 | 김완태(2014), “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한·일 비교”,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욱(2011),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한국노년학』, 31(3): 505-526. | 미소장 |
5 | 모선희, 윤성호, 김형수, 윤경아, 정윤경(2018), 『현대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6 | 배문조(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 미소장 |
7 | 안옥희, 임희경, 김현진(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47-355. | 미소장 |
8 | 양교용(2012),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한서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이금룡(2004),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노인복지연구』, 26(겨울호): 143-164. | 미소장 |
10 | 이선자(1989), “연령단계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이신숙, 살라리(Salari, S.)(2005), “한, 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9-218. | 미소장 |
12 | 이영숙, 박경란(2002), “노년학 교육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3): 29-30. | 미소장 |
13 | 이윤경(2007),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한국인구학』, 30(2): 1-22. | 미소장 |
14 | 이호선(200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5 | A Study on the Home Helpers' Knowledge about Facts on Ag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 소장 |
16 | 이혜자, 하연진(2009),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4): 95-112. | 미소장 |
17 | 전혜성, 권금주(2009),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을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43(3): 203-226. | 미소장 |
18 | 정진경(2015), “노인 이미지 연구 경향 분석: 1990년 이후 국내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5(4): 1115-1134. | 미소장 |
19 | 조명희(2006), “노인에 대한 주부들의 태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95-106. | 미소장 |
20 | 지민경, 안권숙(2008), “치과위생사들이 인지한 노인에 대한 이미지 및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8(3): 23-36. | 미소장 |
21 | 최미정, 심정신(2014),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99-306. | 미소장 |
22 | 최성재(2009), “수도권 지역 중년기 이후 세대의 노후생활 인식과 노인에 대한 인식”, 『한국노년학』, 29(1): 329-352. | 미소장 |
23 | 최용득(2008), “간호과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한정란(2000),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3): 115-127. | 미소장 |
25 | 한정란, 류희선, 김시진(2007), “대학생들의 노화에 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직업교육연구』, 26(3): 121-139. | 미소장 |
26 |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PERSONS ![]() |
미소장 |
27 | Kogan, N.(1977), “Attitude Toward Old People: The Development of a Scale and an Examination of Correlation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 44-54. | 미소장 |
28 | Palmore, E.(1997), 『Ageism: Positive and Negative』, New York: Springer. | 미소장 |
29 |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
미소장 |
30 |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
미소장 |
31 | Attitudes toward the aged as a function of age and education. ![]() |
미소장 |
32 | 吕宝静(2002), 『社会工作与台湾社会』, 台北: 巨流出版公司. | 미소장 |
33 | 陈冬青(2011), “中日大学生的老年人印象讨论”, 『山东省农业管理千部学院报』, 28(3): 89-90. | 미소장 |
34 | 桂瑶瑶(2009) “当代大学生对老年人态度与行为的现状分析及其培育研究”, 南昌大学 硕⼠学位论文 | 미소장 |
35 | 马骁骁(2010), “从人口老龄化看中国未来计划生育政策-人口老人化原因的实证分析”, 『经济视⾓旬刊』, 5: 46-48. | 미소장 |
36 | 王桂新(2012), “少子老龄化:计划生育后遗症”, 『社会观察』, 9: 26-28. | 미소장 |
37 | 谢广全, 杨国德(2009), “技职校院学生老化知识, 对老人态度与服务老人意愿关系之研究”, 『弘光人文社会学报』, 11: 49-84. | 미소장 |
38 | 통계청(2018), |
미소장 |
39 | 国家统计局(201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