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쇄살인에 대한 논의는 오랜 역사를 지닌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정신구조의 차원에서 그들을 이해해 보려는 노력은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연쇄살인의 가시적인 현상이 보여주는 잔혹함에 매료되어, 그러한 현상적인 차원의 거울로만 연쇄살인범을 비추어봄으로써 비난의 목소리만을 부추길 뿐, 그들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해보려는 자세를 가지지 못한 데에서 나타난 안타까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인 시선 못지않게, 연쇄살인범에 대한 현행 (형)법의 기본 입장 또한 강한 응보주의적인 태도를 일관되게 고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연쇄살인범을 단순히 사형을 받아 마땅한 괴물이기 이전에, 일반적인 다른 범죄자들과 다른 차원의 공격성을 지닌 인간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실재적 공격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재적 공격성의 발현으로서의 ‘도착증적인 정신구조’에 대한 논의를 해봄으로써, 연쇄살인범이 ‘법을 대하는 적대적 태도’와 그들의 ‘연쇄성’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도착증’이라는 렌즈를 통해 연쇄살인범을 바라보면, 그들은 비록 자신의 행위가 갖는 불법성을 인지적으로 인식할 수는 있지만, 법규범을 내면화 하지 못하는 도착증적인 장애로 인해 일반인과는 다른 고유한 정신구조를 띄게 된다. 이러한 도착증적인 정신구조에 대한 형법적 고려로서 세 가지의 법적 문제를 제기해 보고자한다. 먼저, 이러한 도착적인 정신 구조로 인해서, 연쇄살인범의 ‘책임능력’에 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특히 불법을 범하지 않을 ‘의사결정능력’에 흠이 있는 지 여부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법률의 착오’ 문 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도착증’에 대한 라캉의 해석을 보면, 연쇄살인범은 법규범의 존재 또는 그 효력에 대한 인지상의 부지가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근원적인 차원에서 법의 구조를 내면화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법률의 부지’ 또는 ‘효력의 착오’에 관한 문제가 등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라우마 이론을 통한 ‘양형상의 책임’에 관한 논의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연쇄살인범의 양형책임을 하는데 있어서, 현재 법원실무상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않는 ‘형법 제51조’의 고려사항으로서, ‘도착증적인 정신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과연 연쇄살인범의 자기책임은 어느 정도로 존재 하는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Although the discussion of serial murder is a long-standing topic, efforts to understand them in terms of the underlying mental structure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t is fascinated by the brutality of the visible phenomena of serial murders, and it is sad to see that they only provoke the voice of blame by looking at the serial killers only with such a phenomenal mirror, and that they do not have the attitude to try to truly understand them. And as much as this social gaze and the public’s attention, the basic position of the current (criminal) law on serial killers also consistently adheres to a strong retributive attitude.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serial killer as a human with a different level of aggression from other criminals in general, and discuss this ‘real aggression’ before being a monster deserved to simply be executed. In addition, by discussing the ‘perversion’s mental structure’ as the manifestation of this real aggression, I would like to try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erial killer’s ‘hostile attitude toward the law’ and their ‘seriality’.

Furthermore, when looking at a serial killer through a lens of ‘perversion’, they can recognize the illegality of their actions cognitively, but because of a disorder called ‘perversion’ that does not internalize the laws and regulations, they has a unique mental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public. I would like to raise three legal issues as a criminal consideration for this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First of all, because of this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the issue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a serial killer may be raised, and here we especially examine whether there is a flaw in the “decision-making ability” that unwilling to commit illegality. Next, I would like to raise the question of ‘Mistake of Law’. Looking at Lacan’s interpretation of ‘perversion’, serial killers are not concerned with a matter of cognitive ‘ignorance of law’ - ignorance for the existence or effect of legal norms- , but at a more fundamental level, the question of ‘Ignorance of Law’ or ‘Mistake of effect’ may arise, which may arise from the failure to internalize the structure of the law. Finally, I would like to propose a discussion on ‘sentencing responsibility’ through trauma theory. Here, in regard to the sentencing responsibilities of serial killers, as a consideration of ‘Article 51’ of the Korean Criminal Code, which is not currently actively applied in court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much self-responsibility of serial killers exists in the process of of the mental structure of perversion?’

참고문헌 (7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토킹 범죄의 처벌 제도 개선방안 연구』(법원행정처, 2017) 미소장
2 공정식, 『살아있는 범죄학』(머무리닷컴. 2010). 미소장
3 김성돈, 『형법총론』(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미소장
4 김일수, 『바람직한 양형조사제도 -기관 갈등의 분석과 출구』(세창출판사, 2010). 미소장
5 김일수, 『한국형법 II. 총론 하 개정판』(박영사, 1997). 미소장
6 김일수, 『형법질서에서 사랑의 의미』(새창출판사, 2013) 미소장
7 안성조, 『현대 형법학 1』(경인문화사, 2011). 미소장
8 안성조, 『현대 형법학 3』(경인문화사, 2019). 미소장
9 안성조ㆍ서상문, 『사이코패스 I, 범죄충동ㆍ원인론ㆍ책임능력』(경인문화사, 2009). 미소장
10 오영근 『형법총론』(박영사, 2014). 미소장
11 이상돈, 『법의 깊이』(법문사, 2018). 미소장
12 이상돈, 『형법강론』(법문사, 2020). 미소장
13 이재상, 장영민, 강동범, 『형법총론』(박영사, 2017). 미소장
14 이재상, 『형법총론』(박영사, 2009). 미소장
15 임웅, 『형법총론』(법문사, 2018). 미소장
16 브루스 핑크, 맹정현 역, 『라캉과 정신의학 : 라캉이론과 임상분석』(민음사, 2017). 미소장
17 켈젠, 변종필 등 역,『순수법학』(길안사, 1999). 미소장
18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본 공격성과 심리적 자아 : 여성 자해 환자의 사례연구 소장
19 김경옥·이수정,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쇄살인 범죄의 유형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한국심리학회, 2005), 제19권 제1호. 미소장
20 김양은·이경돈,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적 규범이해와 의사결정능력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병렬매개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제19권 제22호. 미소장
21 김문정,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법률의 착오 - 금지의 구조적 효과 - ”, 『법학논집』(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제24권 제1호. 미소장
22 김문정, “이미지의 소멸과 근대형법의 탄생 : 라캉(J. Lacan)과 르장드르(P. Legendre)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미소장
23 김진숙, “투사적 동일시의 의미와 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한국심리학회, 2009), 제21권 제4호. 미소장
24 김진혁. “연쇄살인에 관한 프로이트적 접근”, 『한국공안행정학회보』(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14), 제23권 제1호. 미소장
25 민윤영, “공공보건 문제로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s)의 현황과 트라우마 -기반접근의 법적 도입에 대한 검토”, 『경희법학』(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제53권 제4호. 미소장
26 박광현, “사회유해성에 기초한 형법의 정당성 판단”, 『법학논총』(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제18권 제3호. 미소장
27 박미랑, “양형기준 밖의 양형요인으로서 법조인 연구 : 살인 범죄군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한국경찰연구학회, 2018), 제17권 제1호. 미소장
28 박민철, “공격성의 정신분석적 개념”, 『정신분석』(한국정신분석학회, 1999), 제10권 제1호. 미소장
29 박형민, “연쇄살인 범죄자의 유형과 특징”, 『한국범죄학』(대한범죄학회, 2012), 제6권 2호. 미소장
30 안석, “사랑과 공격성에 관한 정신분석적 고찰과 치유상담”, 『신학과 실천』 (한국실천신학회, 2016), 제52호. 미소장
31 원수현, “라깡의 도착증 구조와 현대정신분석의 경계선 구조 비교 고찰”,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7), 제19권 제2호. 미소장
32 원수현, “라깡의 도착증 심리구조를 통한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 분석”, 『프랑스문화연구』(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8), 제38권. 미소장
33 이소영, “법학과 포스트모던적 사유_포스트모던 법학에의 세 가지 입론(入論)”, 『성균관법학』(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제23권 제1호. 미소장
34 이재상, “법률의 착오에 있어서 정당한 이유의 판단기준”, 『형사정책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7), 통권 제71호. 미소장
35 임현수, “연쇄살인 범죄자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광운대학교, 2019). 미소장
36 최용석, “연쇄살인범죄의 심리적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경찰복지연구』(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9), 제7권 제1호. 미소장
37 최봉철, “법의 효력: 요건과 효과를 중심으로”, 『법철학연구』(한국법철학회, 2014), 제17권 제3호. 미소장
38 한영수, “위험한 범죄자에 대한 실효성 확보방안”, 『형사정책연구』(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3), 통권 제93호. 미소장
39 DAVID E. SCHARFF, REFINDING THE OBJECT AND RECLAIMING THE SELF(Jason Aronson 1992). 미소장
40 DESMOND MANDERSON, SONGS WITHOUT MUSIC: AESTHETIC DIMENSIONS OF LAW AND JUSTICE (1st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41 FIONA ROSS, UNDERSTANDING PERVERSION IN CLINICAL PRACTICE:STRUCTURE AND STRATEGY IN THE PSYCHE (Karnac Books 2003). 미소장
42 HAROLD SCHECHTER, THE SERIAL KILLER FLIES: THE WHO, WHAT, WHERE, HOW, AND WHY OF THE WORLD'S MOST TERRIFYING MURDERERS(Ballantine Books 2003). 미소장
43 J. LAPLANCHE & JEAN B. PONTALIS,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Norton 1973). 미소장
44 JACQUES LACAN, ÉCRITS (2006). 미소장
45 JOËL DOR, STRUCTURE AND PERVERSIONS (Other Press 2001). 미소장
46 JOSEPH SANDLER, PROJECTION, IDENTIFICATION AND PROJECTIVE IDENTIFICATION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87) 미소장
47 JUDITH FEHER-GUREWICH, A LACANIAN APPROACH TO THE LOGIC OF PERVERSION,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LACAN (Jean-Michel Rabatè ed. 2003) 미소장
48 KARL BINDING, HANDBUCH DES STRAFRECHTS BAND 1 (1885). 미소장
49 RONALD M. HOLMES & JAMES DE BURGER, SERIAL MURDER (Sage Publications 1988). 미소장
50 WILLIAM DEMYER, TECHNIQUE OF THE NEUROLOGIC EXAMINATION (5th ed., McGraw-Hill Professional, Medical Pub 2004). 미소장
51 ŽIŽEK, SLAJOV,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Verso, 2009). 미소장
52 Ayse Dilek Ogretir Ozcelik, Aggression theories revisited: LORENZ’S NeoInstinctivism, Wilson’s Socio-Biology and Skinner’s Behavioral Theories, 7(2) J.A.S.R. (2017). 미소장
53 Charles Fischette, Psychopathy and Responsibility, 90 Va. L. Rev. (2004). 미소장
54 Grant T. Harris et al., The Construct of Psychopathy, 28 CRIME AND JUSTICE (2001). 미소장
55 James Alan Fox & Jack Levin, Multiple Homicide: Patterns of Serial and Mass Murder, 23 CRIME AND JUSTICE (1998). 미소장
56 John E. Douglas et al. Crime Classification Manual, 8(3) J. of C.C.J. (1992). 미소장
57 John S. Ogrodniczuk, Understanding and Treating Pathological Narcissism, A.P.A. (2013). 미소장
58 Katarina Wahlund & Marianne Kristiansson, Aggression, psychopathy and brain imaging — Review and future recommendations, 32(4) I.J. of L. P. (2009). 미소장
59 Ken Levy, Dangerous Psychopaths: Criminally Responsible But Not Morally Responsibl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and to Preventive Detention, 48 SAN DIEGO LAW REVIEW. (2011). 미소장
60 lie Magdalena Ioana, No One is Born a Serial Killer!, 81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3). 미소장
61 Psychopaths know right from wrong but don’t care 네이버 미소장
62 Matt Delisi et al., Not My Fault: Blame Externalization Is the Psychopathic Feature Most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Delinquency Among Confined Delinquents, 58(12)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2013). 미소장
63 Matt DeLisi et al., The Criminology of the Amygdala, 36(11) C.J.B. (2009). 미소장
64 Matthew Talbert, Blame and responsiveness to moral reasons: Are psychopaths blameworthy?, 89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2008). 미소장
65 Crime as a mode of subjectivization: Lacan and the law 네이버 미소장
66 Renata Salecl, The Real of Crime: Psychoanalysis and Infanticide, 24 CARDOZO LAW REVIEW (2003). 미소장
67 Richard A. Ball. Serial Murder. Ronald M. Holmes James De Burger, 18(4) ASA CONTEMPORARY SOCIOLOGY, (1989). 미소장
68 Ronald M. Holmes et al., Inside The mind of the serial murder, 3(1) A.J.C.J (1998). 미소장
69 Stephen Burton, Killing In The Name Of The Other, A Lacanian Analysis of the Cinematic Serial Killer, 9(1) GRIFFITH L. REV. (2000). 미소장
70 Psychopath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네이버 미소장
71 Talitha Ebrite, Toward a Balanced Equation: Advocating Consistency in the Sentencing of Serial Killers, 58(4) OKLAHOMA L. REV. (2006). 미소장
72 Wayne A. Warburton & Craig A. Anderson, Aggression, Social Psychology of, 2(1) I. E.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19). 미소장
73 https://www.academia.edu/39185875/The_Making_of_a_Serial_Killer_A_literature_study_into_the_effects_of_Cognitive_Biological_and_Social_psychological_factors_in_serial_killing (최종방문일: 2020. 6. 1.). 미소장
74 https://www.academia.edu/40460235/THE_BRAIN_DEFENSE_Psychopathy_And_The_Effect_Of_Neuroscience_On_Criminal_Responsibility._Introduction_Psychopathy_vs_Antisocial_Personality_DisorderHart (최종방문일 2020. 6. 5.). 미소장
75 https://www.academia.edu/9457436/The_Serial_Killer_Files (최종방문일 2020. 05. 1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