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들의 태권도 수련결정 및 지지 동기와 기대, 그리고 태권도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 시에 거주하며 H 태권도장에서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학부모 중 12명을 단순무작위표본 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학부모들은 반 구조화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전사된 인터뷰는 Braun & Clarke(2006)의 6단계 주제 분석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그리고 심층적 기술 방법이 활용되었다. 주제 분석 결과 학부모들은 태권도 수련을 통해 자녀들의 ‘자신감 향상’과 ‘신체건강 발달’을 기대하였고 ‘학부모들의 과거 태권도 수련경험’이 자녀들의 태권도 수련을 결정하고 지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학부모들은 태권도 교육결과에 만족을 보였으며 자녀들의 ‘신체건강’, ‘자신감’, ‘사회성’의 주된 변화에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비록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신체적 건강과 자신감, 그리고 공동체 생활습관 형성 및 도덕적 행동 함양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밝혔지만 태권도 지도자들은 모든 태권도 수련이 자동적으로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이끌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해야 하며 태권도의 교육적 효과는 지도자의 교육철학, 역량, 지도방법, 그리고 교육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미 있는 교육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선 지도자들은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의도적으로 계획하고 긍정적인 교육환경에서 지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aekwondo trainee parents’ expectations about Taekwondo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on Taekwondo. For this study, of parents whose child or children have attended a Taekwondo institution located in Kyeong-Gi province, the researcher selected twelve parents by using the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e parents participated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15-20 minutes. All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ption was analyzed by using six steps of thematic analysis suggested by Braun and Clarke(2006). To ensure th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henomenon were utilized. As a result of thematic analysis,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in terms of parents’ expectation of Taekwondo education: 1)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2) Development of physical condition and 3) Parents’ own Taekwondo training experience. With respect to satisfaction of Taekwondo education, three themes were found: 1)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2)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and 3) Development of social skill. This current study found that Taekwondo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is current study showed a positive development of self-confidence, physical fitness levels, and social skills. However, Taekwondo instructors should keep in mind that all these benefits do not occur automatically. The effects of training can differ based on the instructor’s teaching philosophy,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ing environment that the instructor created. Thus, Taekwondo instructors should intentionally select and teach learning content and design the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19 김운용컵 국제오픈태권도대회 참여자들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 및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articipants motivation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continuing intention in the 2019 KIMUNYONG CUP International Open Taekwondo Championships 김효림, 전익기 p. 61-74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인터넷 태권도 미디어의 이용의도 예측 = Prediction of intention to use Internet taekwondo media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박성언 p. 47-59

현대 태권도의 원류, 무덕관의 개설 시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ception of Moo Duk Kwan as the foundation of modern taekwondo 김영선, 여인성 p. 1-14

태권도 세부종목별 선수들의 무산소 운동능력과 신체능력 비교 = Comparison of anaerobic capacity and physical ability of athletes by specific events in taekwondo 장정은, 박은희 p. 91-102

태권도 철학 발전 과정에서 황기의 무도철학의 영향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Hwang Ki's martial arts philosophy on the development of taekwondo philosophy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 유교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정근표 p. 15-28

태권도 수련생 학부모들의 태권도 수련결정 및 지지 동기와 만족도에 대한 심층탐구 = In-depth understanding of taekwondo trainee parents' motive to support taekwondo training and their satisfaction on taekwondo training 백준형 p. 29-46

창작품새대회 관람객의 추구편익이 몰입, 재관람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reate poomsae competition spectators sought benefit on flow, re-watch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이정학, 황윤경, 임승재, 이은정 p. 7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