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사회에 도착한 후 발생되는 상호간 교류 빈도와 앱(APP) 사용 빈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네 가지 가설들을 검증했다. 그 결과, 중국 유학생들 간의 상호간 교류가 빈번할수록 중국 유학생들 간의 공통 관심사를 취득하기 위한 중국 앱(APP)에 대한 이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발견되었지만, 한국 앱(APP)에 대한 이용도에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발견하지 못했다. 동시에,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학생들과의 상호간 교류가 빈번할수록 한국에 대한 공통 관심사를 취득하기 위해 한국 앱(APP)의 대한 이용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지만, 중국 앱(APP)에 대한 이용도는 줄어든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 앱(APP)에 대한 이용도와 중국 앱(APP)에 대한 이용도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고, 베리(Berry)의 문화변용 전략(Acculturation strategy)을 바탕으로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 최소한 이 논문에서는 발생되지 않았음을 발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how Chinese students’ intercourse types affect on their usage behavior of their a smart phone. Based on Berry’s acculturation strategy, Katz’s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four different hypotheses were suggested. A survey method targeting Chinese students was performed with a multiple regression method as well a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testing the four hypotheses, it was found out that familiarity with Chinese studen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ontent gratification of the Chinese APP at their smart phone, but is not significant with the usage of the Korean APP. Also, it was found out that familiarity with Korean student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content gratification of the Korean APP at their smart phone, but is not significant with the usage of the Chinese APP. Based on this finding, the logic of the zero-sum game and Berry’s acculturation strategy was tested, and the a Zero-sum game did not exist in this research pap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K-WAIS-Ⅳ를 통한 정신증과 신경증 집단의 인지기능 비교 = Comparison of cognitive functions in psychotic and neurotic patients using K-WAIS-Ⅳ : with schizophrenic spectrum disorder and anxiety-depression disorder : 조현스펙트럼장애와 불안우울장애 중심으로 강희양, 박창호 p. 381-404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의식과 북한의 정권안정성 = Political awarenes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regime stability of North Korea 정구연 p. 113-138
젠더와 노동 = Gender and work : imagining a postwork society : 탈노동사회를 향한 상상 안숙영 p. 449-485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of child protection workers 이비아, 최유석 p. 213-250
일본정치사상사 시대구분에서 근대국가 = The modern-state in the periodization of Japanese political philosophy 나정원 p. 553-590
성과주의 인사제도의 변화 방향과 시사점 =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performance-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유호선 p. 591-626
직장 내 세대갈등 해결을 위한 사내 커뮤니케이션과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의 역할은 무엇일까? = Exploring generation X and Y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role of employee communication and workplace anti-bullying law to resolve the problems of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workplace : X·Y세대 직장인들과의 질적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연구 설진선, 김수연 p. 251-290
강원도 생애주기별 주거특성과 주거만족도 = Housing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by life cycle in Gangwon-do 이한나, 김승희 p. 81-110
한국 사회적 기업의 성장 =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 focusing on institutional contexts : 제도적 맥락을 중심으로 이소연, 백경민 p. 165-185
30대 한국 성인남성의 우울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in Korean men in their thirties 조영임, 주은선 p. 329-379
여성 취업준비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in female job seeker 김하은, 송미경 p. 627-651
한국 학계에서 지식 커먼즈의 대안적 생산에 대하여 = Alternative production of knowledge commons in Korean academic society : focusing on the knowledge common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인문사회계 분야를 중심으로 박서현 p. 187-211

여성노인의 자산이 주관적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assets on subjective physical health among elderly wome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 경제활동참여여부의 조절효과 검증 이숙현, 한창근 p. 405-448
약물경험 청소년의 자살위험 예측요인 = Predictors of suicide risk in adolescents with drug experience : focusing on smoking, drinking behavior and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 흡연, 음주행위와 정신건강 특성을 중심으로 이혜경 p. 291-327
상호간 교류와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이용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social intercourse and the uses of app installed at the smartphone : Chinese students' acculturation strategy and uses of the app :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변용 전략과 앱 이용 방식을 사례로 문성준 p. 527-551
발달장애인 자녀의 장애특성과 부모의 건강특성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children's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parents health conditions on careburdens among parent caregiv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age differences : 부모 연령대별 차이 전해숙, 강상경 p. 695-730

재건촌 생창리의 형성과 마을 정체성의 변화 = Building-up of the re-constructed village Saengchang-ri and transition of village identity : between eco-town and nostalgia for Gimhwa : 생태마을과 김화 노스탤지어 사이에서 정근식, 김하정, 이재용 p. 3-42
강원지역의 산업구조 변동과 지역 연결망 = Industrial structure change and regional network in Gangwon : focusing on the 2000s : 2000년대를 중심으로 김재훈 p. 43-79
취약계층의 경제 인식과 경제 행위 = Understanding economic opinions and behavior of the vulnerable groups in Korea 한진수 p. 139-163
지상파TV 간접광고 심의 규제 현황 (2016-2019)과 장르별 특성 분석 = Analyzing violation cases of PPL (product placement) (2016-2019) : focusing on comparison by genre 심상대, 김현주 p. 487-525
북한 이동통신 산업의 발전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mechanism : 제도적 동형화 매커니즘을 중심으로 김영미, 조성봉 p. 653-693
VR 360 공간문화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지 마케팅 효과 = Tourism marketing using VR 360 advertising : focusing on content format and type, novelty-seeking tendency, and viewing satisfaction : 콘텐츠 포맷 및 소재, 시청자 신기성 추구 욕구와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승철, 반가영 p. 731-761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18). 2017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현황. http://www.moe.go.kr/newsearch/search.jsp 미소장
2 금영정, 민혜종 (2016).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기술-서비스 융합 양상분석. 대한산업공학회지, 42(1), 1-19. 미소장
3 김소연 (2018. 7. 13). 대학 유학생 학위 장사에 수업의 질 악화 우려.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1239846619274192&mediaCodeNo=257&OutLnkChk=Y 미소장
4 김소영, 양정애, 양승목 (2013). 한국 미디어에 대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대적지각이 한국(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 문화>, 27, 33-75. 미소장
5 김수종 (2013).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의 상호작용 분석. <한국사회학회사회학대회 논문집>, 513-523. 미소장
6 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 <한국언론학보>, 55(6), 227-252. 미소장
7 김유정, 김용찬 (2015). 한국 거주 중국동포들의 미디어 이용과 대화가 집합적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9(4), 149-186. 미소장
8 김형지, 김민성, 오대규, 김성태 (2014).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이용, 대인관계,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1), 163-198. 미소장
9 민영 (2012). 이주 소수자의 미디어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적대적 지각. <한국언론학보>, 56(4), 414-438. 미소장
10 박인곤, 신동희 (2010).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10(4), 192-225. 미소장
11 성준모 (2014).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2(3), 5-32. 미소장
12 양혜승 (2011). 이주민의 대인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용이 한국사회의 가치(value)에 대한 인식 및 한국사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6), 181-205. 미소장
13 양혜승 (2012). 이주노동자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이용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1), 55-95. 미소장
14 이시훈, 안주아 (2006). 매스 미디어 및 대인 미디어의 이용과 대면 커뮤니케이션. <언론과학연구>, 6(1), 331-360. 미소장
15 이재신, 이문광, 류재미, 최문훈 (2014).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 통합에 대한 영향 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5), 233-254. 미소장
16 이재신, 이민영 (2007). 대인관계 특성이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1(1), 427-454. 미소장
17 이재학, 박철 (2013). 소셜게임의 이용만족모델. <마케팅연구>, 28(2), 135-153. 미소장
18 정효명 (2012). 동질적인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침묵의 나선. <한국언론학보>, 56(3), 85-109. 미소장
19 최현지, 정경미 (2016). 피드백 중재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대학생의 스마트폰사용감소에 미치는 효과. , 35(2), 365-391. 미소장
20 한은경, 김좌중 (2011).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광고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1), 165-201. 미소장
21 한은경, 송석재, 임한나 (2011). 소셜 커머스의 이용 동기와 만족, 재구매 의도에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3(3), 298-325. 미소장
22 Ankeny, J. (2010). The App Store That’s Never Closed. Harvard Business Review, 38(2), 22-27. 미소장
23 Marginality, Stress and Ethnic Identification in an Acculturated Aboriginal Community 네이버 미소장
24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네이버 미소장
25 Immigrant Youth: Acculturation, Identity, and Adaptation 네이버 미소장
26 Blackwell, R. D., Miniard, P. W., & Engel, J. F. (2005). Consumer Behavior (10th). Thomson Learning. 미소장
27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at Object 네이버 미소장
28 Fishbein, M. (1967). Attitude and the prediction of behaviour. In Fishbein, M (Eds.), Readings in attitude theory and measurement. New York, NY: Wiley. 미소장
29 Fishbein, M. (1968). An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s that object. Human Relationships, 16, 233-240. 미소장
30 Greenfield, A. (2006). Everyware: The dawning age of ubiquitous computing New Riders. Berkeley, CA. 미소장
31 Katz, E., Blumler, J., & Gurevitch, M. (1974).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Beverly Hills, Sage. 미소장
32 McQuail, D. (Eds.) (2005). Mass Communication Theory. 5th. Sage Publications. 미소장
33 Severin W. J., & Tankard, Jr. J. W. (2001). Communication Theories: Origins, Methods, and Uses in the Mass Media (Fifth Edition). Addison Wesley Longman. 미소장
34 Native American Stereotypes, TV Portrayals, and Personal Contact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