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교과서의 색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색채를 추출하거나 분석할 때 육안에 의존한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방법은 주관적인 관점이 개입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학문에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중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결과 도출과 연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 교과서(학년별 9종, 총18권)의 단원 표지와 제1단원으로 제한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는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K-mean Clustering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출한 상위 색채 10가지를 분류하고 다시 NCS 코드로 변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과서의 단원은 4~6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단원명과는 관련 없이 4계절과 관련된 색채 이미지로 각 단원을 구분하고 있었다. 둘째, 제1단원 본문은 대부분 GY(Green Yellow)와 YR(Yellow Red)의 색채와 뉘앙스에서 무채색과 채도가 낮은 색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제1단원 표지의 색채와 유사한 것으로 단원의 표지 색은 본문 내에서 강조색 또는 주조색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상호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출판사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단원 색채 이미지를 정하고 그것을 전체에 반영하여 통일감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아동 색채 경험의 중요성을 볼 때 여러 가지 색채의 사용과 채도의 다양한 변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단원의 색채 이미지를 계절로 고정화하기 보다는 악곡에 어울리는 일러스트와 색채로 제시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or of music textbooks by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for the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general, manual works by hand and eye in the existing color analysis procedure are able to not only include personal perspective intervention but also become time-consuming processes when extracting or analyzing colors from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achieve more objective results and research efficiency by utilizing machine learning amo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at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studies recentl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limited to the cover and the first section of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rs(nine types per grade, 18 volumes in total) according to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15. A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mean Clustering in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top 10 colors in the textbooks, and the HEX codes are converted to NCS codes through our proposed color conversion metho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name of each chapter, textbooks, which consist of four to six chapters, only consider four season-related colors and images for music education. Second, chapter in the textbooks mostly uses colors and nuances of the GY(Green Yellow) and YR(Yellow Red), the neutral color scale and low-color chroma.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color of the cover for each chapter is mainly used as an accent or a dominant color,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text of each chapter this research focuses on. That i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colors in textbooks for each publisher, most of them set color images of each chapter and reflect them throughout the chapters to maintain color consistency in each chapter. However, given the importance of child color experience, various changes in the use and chroma of different colors are required. Lastl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ather than fixed color images on a seasonal basis, it is more effective for music education to present the illustrations and colors matching the music sco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융복합 예술프로그램 개발 및 의미 분석 = Development and semantic analysis of convergence arts program 홍선미 p. 257-274

리머의 시너지스틱 접근의 음악과 교육내용 선정에의 시사 = Implications for selecting music education contents based on Bennett Reimer's "synergistic approach" 김경화 p. 19-35

창의성 교육의 성적평가방식에 따른 창의적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 in creativ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rading method of creativity education 최민지 p. 79-91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chool adjustment, empathy,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in hospital-type Wee Center 신은자, 정여주, 지구덕, 박민정, 김시내 p. 37-58

무용수업에서 사회적 지지와 수업참여간의 관계에서 학업정서와 자기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emotions and self-regulated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ngagement in dance class 김긍수, 이대원 p. 197-215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표현력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in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musical interest and happiness 서윤희, 윤지영 p. 137-157

롤란트 시멜페니히 作 『황금용』의 젊은 여자 연기 접근 방법 연구 = A study on building the character of young woman of 『The Golden Dragon』 by Roland Schimmelpfennig 황희선, 조준희 p. 217-235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 The trend of past research studies from 1992 to 2019 and future research issues on Korea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최은식 p. 177-195

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파트너십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awareness of partnerships : focusing on youth orchestra education : 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을 중심으로 김현미 p. 1-18

생각의 도구를 활용한 음악중심 창의융합 프로그램 설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music-focused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using the thinking tools 박은실 p. 159-176

심미적 감성 역량의 이해를 위한 '표현' 개념의 재탐색 = Recasting of the concept "express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sensitivity competency 최진 p. 237-255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grated arts activ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upon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in Korean music 박형신 p. 119-136

가족가치전환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values conversion :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parent families : 한부모 가족 및 다문화 가족을 대상으로 장온정, 안현지 p. 59-77

머신러닝을 활용한 초등학교 3~4학년군 음악교과서 일러스트의 색채 분석 = A study on the color analysis to the illustration of music textbook in 3rd-4th grade elementary school using machine learning 정미영, 김미숙, 송준우 p. 93-118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태욱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음악과생활. 미소장
2 권태욱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음악과생활. 미소장
3 김가이․문철(2019). 서책형․디지털 교과서 캐릭터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외 초등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 50-61. 미소장
4 김순영(2004). 교과서 일러스트의 색채 분석연구: 초등학교 국어(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70-171. 미소장
5 김애경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천재교육. 미소장
6 김애경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천재교육. 미소장
7 김영식․김훈호. (2019).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교육 참여 예측 모형 탐색. 교육재정경제연구, 28, 29-52. 미소장
8 김정숙(2016). 초등 교과서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교과서 전문가의 평가유형 연구: Q-방법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669-695. 미소장
9 김지영(2013). 한국 전통복식의 색채전달에 적합한 표준 색채 공간. 한국디자인포럼, 38, 157-163. 미소장
10 로웬펠드(1987).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교육대학 미술교육연구회 역(2002). 서울: 미진사. 미소장
11 민지영(2019). 색채배색에 따른 교과서 시각적 위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2 박대륜 외(2020). 머신러닝 플랫폼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4(1), 49-57. 미소장
13 석문주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동아출판(주). 미소장
14 석문주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동아출판(주). 미소장
15 교과서의 삽화가 갖추어야 할 조건;바른 생활 교과서의 삽화 분석 소장
16 양종모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천재교과서. 미소장
17 양종모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천재교과서. 미소장
18 유재연. (2018). 색상 변화 분석을 통해 본 미래세대와 기성세대 대상 정보량 차이,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미소장
19 윤문정․승윤희(2012).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교과서의 삽화 비교 분석: 양성평등교육과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예술교육연구, 10(1), 31-48. 미소장
20 윤문정․승윤희(2013).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구성 체계 및 교육적 패러다임 변화 관점에서의 인물삽화 비교 분석. 예술교육연구, 11(3), 43-63. 미소장
21 이용희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금성출판사. 미소장
22 이용희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금성출판사. 미소장
23 이지혜․허난(2018). 수학교육의 변화와 인공지능과의 연관성 탐색. E-수학교육 논문집, 32(1), 23-36. 미소장
24 이창욱․정홍철(2019). 창의력 향상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디자인 비교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8, 24-31. 미소장
25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2005). 색채디자인전문가 인증교과육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색채디자인연구소 미소장
26 장기범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미래엔. 미소장
27 장기범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미래엔. 미소장
28 정지연(2017). 다각적 매체를 활용한 색채수업이 중학교 3학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9 조순이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비상교육. 미소장
30 조순이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비상교육. 미소장
31 한국색채연구소(1994). 색채 1. 서울: 도서출판㈜ 칼라뱅크커뮤니케이션. 미소장
32 한국색채연구소(2012). 어린이 색채교육. 서울: 지구문화사. 미소장
33 허정미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지학사. 미소장
34 허정미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지학사. 미소장
35 홍종건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3. 서울: (주)와이비엠. 미소장
36 홍종건 외(2018). 초등학교 음악(3~4학년군) 4. 서울: (주)와이비엠. 미소장
37 C&D연구소(2012). 색채론. 서울: ㈜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미소장
38 Easel painting as an index of personality in preschool children. 네이버 미소장
39 Children's colour choices for completing drawings of affectively characterised topics 네이버 미소장
40 Influence of social cognitive and ethnic variables on academic goals of underrepresented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 multiple-groups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41 colr.org API. (n.d.). Retrieved April 2, 2020, from http://www.colr.org/api.html 미소장
42 Gender, Ethnicity, and Social Cognitive Factors Predi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Engineering. 네이버 미소장
43 Towards aesthetics of image: A Bayesian framework for color harmony modeling 네이버 미소장
44 Rydfalk, H. (2020). Colour Image Search for Graphical Design Inspiration. 미소장
45 Vora, P., & Oza, B. (2013). A survey on k-mean clustering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odern Engineering, 1(3), 24-2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