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문제기반학습을 위한 평면조형 수업설계 = Class design of 2-dimensional design for problem-based learning / 이정신 1
[목차] 1
Abstract 1
I. 서론 3
1. 연구목적 3
2. 연구내용 및 범위 3
II. 문제기반학습(PBL)의 이해 4
1. PBL 수업의 개념 및 특징 4
2. PBL 수업의 설계 모형 5
III. 평면조형 교과의 PBL 수업 설계 6
1. PBL 수업 설계안 7
2. PBL 문제 설계 10
3. PBL 수업운영 및 평가 12
IV. 결론 14
참고문헌 15
문제기반학습 (PBL: Problem-Based Learning)은 전통적인 수동적 강의식 수업방법과는 달리 문제를 기반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자기주도적 학습모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공예·디자인학과 교수자들이 21세기 교수학습법인 문제기반학습을 도입하여 학습자주도 학습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번 연구에서 디자인 기초교과인 평면조형의 PBL 학습설계안을 개발하였다. PBL 수업설계안은 한 학기 15주 수업 중 4주의 PBL 학습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수업진행에 필요한 수업설계안, 문제 설계, 수업운영 및 평가방법을 같이 제시하였다. 가장 핵심인 PBL 문제 설계에서 ‘수석 디자이너로써 조형원리를 적용한 디자인 개발’이라는 실제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팀 기반으로 창의, 비판적 사고력, 소통, 협동의 21세기 교육역량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수업운영과 평가방법은 수업현장경험을 토대로 가장 보편적인 적용 사례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자기주도적으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PBL 학습의 장점과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현재 교육현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창의수업의 일환으로 학습자주도의 참여수업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로, 디자인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PBL학습모듈 개발과 창의적인 수업운영에 대한 사례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on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models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based on problems; unlike traditional passive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by introducing PBL, a 21st centu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university professors at Department of Craft or Desig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developed a basic design PBL learning design plan. The PBL lesson plan includes 4 weeks of PBL learning modules out of 15 weeks of a semester. The class design, problem design, class operation and evaluation method necessary for practical class progress were presented together. In the design of the PBL problem,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flects the actual situation of 'design development applying the formative principles as a senior designer' to experience the 21st century educational competency of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n a team basis. The study shows that the class operation and evaluation method were suggested as the most common application examples based on the field experience. The advantages and expected effects of PBL that can increase self-directed participation are summarized in the conclusionof this paper.
Currently, more self-directed classes are required in the education field as part of creative classes need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many design lecturers will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PBL problems and self-directed learning designs that address real-life problem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경기: 문음사. | 미소장 |
2 | 조연순 (2008).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3 | 이재경 (2012). 학습을 위한 수업의 설계 및 실제. 서울: 강현출판사. | 미소장 |
4 | 김동은 (2018). PBL을 통한 음악 수업 지도방안: 타 교과와 함께 하는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5 | 김진주 (2014). 문제중심학습법(PBL)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창의인성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6 | 박주연 (2008).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7 | 배정희 (2002). 문제해결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이 자기주도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8 | 서혜경 (2011). PBL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9 | 신수연 (2019). DISC 행동유형으로 구성한 팀 기반 학습에서 취업설계 수업의 학습태도, 팀 과제수행, 학습만족도 차이분석.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10 | 김경숙 (2012).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설계 방안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1 |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 소장 |
12 | 한신일ㆍ김혜정ㆍ이정연 (2004). 한국대학 상황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사례 비교연구: 경영학, 경제학, 물리학 관련과목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4(1), 23-53. | 미소장 |
13 | KDI한국개발연구원 (2020,04,28). 1부 PBL 교육 [유튜브] https://youtu.be/JH4GIbnHNyI | 미소장 |
14 | KBS 다큐멘터리 (2020,04,28). 명견만리 E21 151127 교육의 미래 2편 어떻게 생각의 힘을 키울것인가? [kbs 다큐] https://youtu.be/D8IU-8ozdRY | 미소장 |
15 | DaVinci Institutute (2020,05,05). Visiting the Future with Thomas Frey of the DaVinci Institut ute [홈페이지] https://futuristspeaker.com/future-scenarios/visiting-the-future-with-t homas-frey-of-the-davinci-institut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