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동 음악 작곡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온라인 기반의 화성학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동 음악 작곡은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는 분야로서 자동 음악 작곡에 화성학 이론을 도입하려는 시도는 오랜 동안 이루어졌으며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Monte Carlo Tree Search; 이하 MCTS)을 활용하여 객관적 평정자로서의 인공지능이 기 학습했던 화성학 규칙과 그 규칙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4성부 기반 화성풀이를 평가하도록 기획하였다. 또한, 화성학 문항에 대한 모범풀이와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소프라노 선율에 하3성 채우기, 베이스 선율에 상3성 채우기, 그리고 외성에 내성 채우기에 이르는 세 가지 유형의 연습문제를 설계하였는데, MCTS를 활용해 화음 선택과 성부진행의 경로에 대한 추천을 받음으로써 적법한 성부진행을 구현하였다. 화성 및 성부진행 규칙에 맞는 진행에 부여된 가점이 모범답안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화성학의 범위를 초급으로 규정하고, 이에 따른 규칙을 추출 및 정의하여, 이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음악 작곡을 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알고리즘 및 이를 활용한 화성학 교수-학습 방법론은 온라인 화성학 교육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모의수업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사 정체성 변화 탐색 = An investigation of teacher identity among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experienced mock teaching 신지혜 p. 87-107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예술치료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arts therapy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정은희, 이에스더 p. 195-216
음악전공자용 진로장벽검사도구(MCBI)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music career barrier inventory for university music major students 정환호 p. 23-41

초등 음악 기악학습의 변천사 = A study on the change of instrumental learning activities for third to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 3-4학년을 중심으로 임혜숙 p. 131-153
4성부 화성학 기초학습을 위한 컴퓨팅 구현과 화성학 규칙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mputing representation and harmony rules for four-voice harmony learning 김동삼, 박종원,e윤창호, 김준호, 송무경 p. 43-61
이상근의 연가곡 연구= A study of song-cycles by Lee Sang Keun. 1, Perfect interval chord representing Korean identity . 1, 한국적인 정체성을 표현하는 완전음정의 화음 이내선 p. 217-239

중등 기간제 음악교사의 교직생활 만족도 분석 = An analysis of contract music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secondary schools 함인아, 조성기, 양인준 p. 109-129
ADDIE모형을 활용한 종묘제례악 원격수업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subject content for JongmyoJeryeAk for online-class using ADDIE model 김경태 p. 63-85
노인음악교육모델 구성요인 탐색 및 개발에 대한 델파이 조사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factors and development of elderly music education model through Delphi survey 박부경 p. 1-22
그라나도스의 ≪단짜 에스파뇰≫(Danza Españolas)에 나타난 스페인 민속 음악 어법 분석과 교수학적 제언 = Study of Spanish folk music idiom and pedagogical advice in Granados' ≪Danza Españolas≫ 이효은 p. 155-193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송무경. 간추린 성부진행: 화성학의 길잡이. 음악세계. 2018. 미소장
2 조원익·김정훈·천성준·김남수. 화성 진행 학습 모델을 적용한 규칙 기반의 4성부 합창 음악 생성. 한국통신학회논문지. 1456-1452, 2016. 미소장
3 조원익·이철민·김형용·장세영·김남수. 규칙 기반의 4 성부 합창 악보 생성.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92-1494, 2016. 미소장
4 Hendrik Baier, Peter D. Drake. The power of forgetting: Improving the last-good-reply policy in Monte Carlo Go. IEEE Transaction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AI in Games Volume 2 Issue 4. 303-309, 2010. 미소장
5 Cameron Browne, Edward Powley, Daniel Whitehouse, Simon Lucas, Peter Cowling, Philipp Rohlfshagen, Stephen Tavener, Diego Perez, Spyridon Samothrakis, Simon Colton. A survey of monte carlo tree search methods. IEEE Transactions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AI in games Volume 4 Issue 1. 1-43, 2012. 미소장
6 Guillaume Chaslot, Sander Bakkes, Istvan Szita, Pieter Spronck. Monte-Carlo Tree Search: A New Framework for Game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active Digital Entertainment Conference. 216-217, 2008. 미소장
7 A general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that masters chess, shogi, and Go through self-play 네이버 미소장
8 Richard E. Korf. Depth-limited search for real-time problem solving. Real-Time Systems Volume 2. 7-24, 1990. 미소장
9 Matić, Dragan. A genetic algorithm for composing music. Yugoslav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ume 20 Issue 1. 157-177, 2010. 미소장
10 Enrique Muñoz, Jose Manuel Cadenas, Yew Soon Ong, Giovanni Acampora. Memetic Music Composition. IEEE Transactions on Evolutionary Computation Volume 20 Issue 1. 1-15, 2016. 미소장
11 Fernández Rodríguez, Jose David, Francisco Jose Vico-Vela. AI Methods in Algorithmic Composition: A Comprehensive Survey.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Volume 48 Issue 1. 513-582, 2013. 미소장
12 Automatic Music Composition with Simple Probabilistic Generative Grammar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