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戶口總數』(1789)의 '羅州' 지명에 대하여 : '島 三十三'의 마을 지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ce name of 'Naju' in 『Hoguchongsu』(1789) : a focus on village names of '33 provinces' / 황금연 1
국문요약 1
1. 서론 2
2. 동리촌명의 지명의 비정 4
1) 자은도 5
2) 안창도 6
3) 기좌도 7
4) 암태도 7
5) 팔금도 8
6) 하의도 9
7) 비금도 9
8) 지도 10
9) 압해도 12
10) 달리도 13
11) 도초도 13
12) 상태도 13
13) 하태도 14
14) 장산도 14
15) 우이도 15
16) 흑산도 15
3. 『호구』 마을 지명의 특징 및 표기 분석 16
3.1. 마을 지명의 특징 16
3.2. 지명 표기의 분석 19
4. 결론 30
참고문헌 31
Abstract 33
이 연구에서는『호구총수』(1789)의 ‘나주’에 기록된 33개 도(島)의 마을 지명 위치를 파악하고, 마을 지명의 특징과 표기법을 살피고자 하였다. 33개 도에 기록된 지명은 현재 행정구역상 신안군 지역 소속이 대부분이다. 목포시 소속 지명이 일부 있는데, 과거 신안군 압해면에 속했던 달리도(4개 마을), 눌도, 고하도뿐이다. 전체 지명 162개 중 미확인 지명이 28개이므로 실제 고찰 대상 지명 수는 134개이다. 이들 지명의 연구는『한국지명총람14』,『조선지지자료』(1911)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명의 후부요소에는 여타 지역에 비해 ‘村’이 많이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주로 해안에 인접한 지역이 많은 특성상 ‘-곶, -고지’와 ‘-기미, -구미’의 지명이 많았다. 또한 4음절 지명도 많았는데, 이는 고유어 지명을 반영한 표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도청(都廳)’의 지명이 16개 섬 중 6개 섬에서 각각 나타나는데, 이 지명은 어느 시점에 모두 사라져 현재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지명 표기는 음차표기, 훈차표기, 혼합표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음차표기의 방법으로 표기된 지명이 134개 지명 중 절반이 넘는 71개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village names in 33 provinces in Naju recorded in 『Hoguchongsu』(1789)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nd phonetic notations. Most of the place names recorded in 33 provinces belonged to Shinan-Gun as one of the present administrative districts. Three of them, Dalido(4 villages), Nuldo and Gohado belonged to Mokpo though they had belonged to Aphaemyon, Shinangun in the past. Of the whole place names 162, 28 were unidentified and 134 had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Comprehensive Report of Korea Place Names 14』,『Joseon Topography』(1911).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word of 'Chon' meaning village more frequently appeared in the postfix than any other province As most of them were adjacent to the coast, ‘-Got,-Goji’ and ‘-Gimi, -Gumi’ appeared in place names. Also, 4-syllable names frequently appeared as the phonetic notations reflected the place names of native words. The place name of ‘provincial office(都廳)’ appeared in 6 of 16 islands. It was noticeable that it all disappeared at some point and was not found at all in the present. The place nam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or analyses: Eumcha notation(borrowing Chinese sounds), Huncha notation(borrowing Chinese meaning) and Honhap notation(using both sounds and meanings). 71 of the 134 place names were under the Eumcha notatio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 | 미소장 |
2 |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1917) | 미소장 |
3 | 신안군청홈페이지(http://www.shinan.go.kr) | 미소장 |
4 | 『新增東國輿地勝覽』(1530, 고전간행회, 1994) | 미소장 |
5 | 『輿地圖書』(1759) | 미소장 |
6 | 조선시대전자문화지도(http://www.atlaskorea.org) | 미소장 |
7 | 『朝鮮地誌資料』(1911) | 미소장 |
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미소장 |
9 | 『한국지명총람』14 전남편Ⅱ(1982, 한글학회) | 미소장 |
10 | 『戶口總數』(1789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 미소장 |
11 | 강병륜(1997),『고유어지명연구』, 박이정. | 미소장 |
12 | 김정태(2016), “「호구총수」(1789)의 마을지명에 대하여-대전 유성 지역을 중심으로”,『어문연구』87, 어문연구학회, 5-33쪽. | 미소장 |
13 | 김정호(1988),『지방연혁연구-전남을 중심으로-』, 광주일보출판국. | 미소장 |
14 | 도수희(1999),『한국지명연구』, 이회. | 미소장 |
15 | 박병철(2017), “역사문헌자료를 대상으로 한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어국문학』181, 국어국문학회, 5-38쪽. | 미소장 |
16 | 송기중(2001), “근대 지명에 남은 훈독 표기”,『지명학』6, 한국지명학회, 177-216쪽. | 미소장 |
17 | 윤여정(2009), 『대한민국행정지명』(제1권전남·광주편), 향지사. | 미소장 |
18 | 이건식(2009), “한국고유한자의 발달-지명의 후부요소 표기를 중심으로-”, 『구결연구』22, 구결학회, 219-259쪽. | 미소장 |
19 | 이건식(2018), “조선시대 부평부 동리촌명 후부요소의 특징에 대하여”, 『지명학』29, 한국지명학회, 95-148쪽. | 미소장 |
20 | 이돈주(1994), “지명의 전래와 그 유형성”, 『새국어생활』4-1(특집/한국의 지명), 국립국어연구원, 28-49쪽. | 미소장 |
21 | 조규태(2006), “지명의 한자어화에 대하여”,『국어사연구』6, 국어사학회, 145-163쪽. | 미소장 |
22 | 천소영(1995), “고유지명의 한어화 유형에 대하여-서울 지명례를 중심으로-”,『어문연구』 23-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7-100쪽. | 미소장 |
23 | 황금연(2015), “지명접미사의 설정과 변화-전남 신안 지명어를 중심으로-”,『지명학』23, 한국지명학회, 295-320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