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리나라는 방위산업 육성 및 수출증대를 위해 각종 제도와 정책을 발전시키고 방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공급자측면에서의 많은 연구와 노력을 추진해오고 있었다. 반면, 한국무기를 수입하는 수입국, 즉 수요자가 무기구매를 할 때 무엇을 고려하는지 등 수요자 입장에서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91-2018년 동안 한국무기를 수입한 전체 24개 국가의 무기수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패널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무기 수출전략 수립에 기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한국무기 수입국이 전체무기를 수입하는 경우와 한국무기를 수입하는 경우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가 공급자로서의 무기수출 능력과 경쟁력 뿐만 아니라 한국무기를 수입하는 국가에 대해 보다 정밀한 분석과 대책을 강구한 가운데 체계적인 무기 수출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정 성능개량을 통한 전력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val force as new way of force development : 양만춘함 성능개량을 중심으로 배학영 p. 67-80
무기수입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rms imports : focused on the Korean arms importing countries : 한국무기 수입국을 중심으로 나익성, 장준근 p. 53-66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산업체 대형화 및 통합화 추진방향 연구 = Study on the direction of defense industry enlargement and integration to strengthen defense industry company competitiveness 최기일 p. 15-27
신뢰 기반의 원가계산 프로세스 구축 방안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rust-based cost calculation process 이정우 p. 29-40
美 국방부 및 육군의 인공지능(AI) 전략이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 = The implications to ROK armed forces fro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y of U.S. department of defense and army 최근하, 오재진, 김영길 p. 41-52
군수품 무역대리점의 관계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lationship marketing in the defence agency : 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of defense agents : 군수품 무역대리점 종사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오병섭, 김동훈 p. 1-13
방위산업 수출 진흥을 위한 절충교역 가치상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swap way of off-set for the promotion of export of the defense industry 권헌철, 박진보 p. 81-95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lomberg, Brock & Tocoian, Oana. “Terrorism and Arms Trade”, 2013. 미소장
2 Edward J. Laurance. The International Arms Trade, Lexington Books, 1992. 미소장
3 Franke, George R. “Multicollinearity”. Wiley Internatonal Encyclopedia of Marketing, 2010. 미소장
4 Journal of Peac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5 The Demand for Arms Imports 네이버 미소장
6 Sandler, T. & Hartley, K. The economics of def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미소장
7 SIPRI. “Trends in International Arms Transfers, 2019”, SIPRI Fact Sheet March 2020, 2020. 미소장
8 국방기술품질원.『2018 세계 방산시장 연감』, 2019. 미소장
9 산업연구원.『18∼’22 방위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2017. 미소장
10 한국국방과학연구원.『방산수출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사분석 및수출전략 수립』, 방위사업청 정책연구과제, 2007. 미소장
11 강한균, 이영주. “세계 무기체계 수출입국의 변화와 수입수요결정요인”,『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미소장
12 김주현. “한국 방위산업의 수출전략: 무기호환성 및 수입순환주기를 중심으로”,『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미소장
13 안영수, 김미정.『KIET 방산수출 10대 유망국가』, 산업연구원, 2018. 미소장
14 이혜진. “중남미 무기수입 결정요인 분석: 냉전기와 탈냉전기비교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2015. 미소장
15 하광룡. “세계 무기시장에서의 무기거래 결정요인: 수출국 및수입국의 특징과 상호관계를 중심으로”,『국제통상연구』, 제23권 제1호, 2018. 미소장
16 한봉윤, 원준호. “방산수출을 고려한 R&D 소요기획 지원전략연구: 무기체계 시장성 평가모델 연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0권 3호, 2012. 미소장
17 민인식, 최필선(2019).『패널데이터분석 Ver.15, 2판: STATA Panel Data Analysis』, ㈜지필미디어,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