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멘토링이 (예비)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숨겨진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법, 심층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기대가 높았던 참여자일수록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멘토링을 기대 이하라고 말한 경우도 다수였다. 둘째, 창업 멘토링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그중에서도 창조·혁신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난다. 셋째, 창업 멘토링은 창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기관이 멘토-멘티 사이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다수의 참여자가 창업 멘토링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표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업 지원 기관의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향후 창업 멘토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impact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tartup mentoring programs on the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of company owners and prospective owners. To analyze the participants’ hidden intentions,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consecu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nts with higher expectations toward the mentoring programs tended to evaluate the programs more negatively, with a substantial number of interviewees responding that the quality of the programs was subpar. Second, startup mentoring programs seem to have had positive effects on building entrepreneurship. The effect was especially significant in areas such as creativeness and innovation. Third, the mentoring program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suggesting the need for institutions’ active participation in mentor-mentee relations and programs. Fourth, most participants evaluated mentoring programs as unsatisfactory, meaning that the programs do not meet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institutions providing them. Based on these analyses, the academic importance of this study was highlighted and ways startup mentoring programs can improve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텃밭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 An the effects of backyard gardening activities of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구자림, 한상길 p. 292-301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ar documentary photography : focusing on the D-DAY photo of 'Robert Capa' : '로버트 카파'의 D-DAY 사진을 중심으로 임상욱, 양종훈, 이상은 p. 368-378

Comparison of consumer media use gratification for the effective delivery of fine dust information = 효과적인 미세먼지 정보전달을 위한 소비자의 미디어 이용충족 비교 : 적소이론을 적용하여 : applying the niche theory Eugene Song, Seol A Kwon, Sang Il Ryu p. 1-18

OpenFaaS 기반 AI 분석 서비스 시스템 구축 = Development of an AI analysis service system based on OpenFaaS 장래영, 이용, 박민우, 이상환 p. 97-106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관련 요인 = Factors related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teenage smokers 박혜린, 왕연주, 김경범, 김봄결, 권오휘, 노진원 p. 118-126

20대 청년세대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Investigating the trends of research for the age of youth at 20s 방미현, 이영민 p. 223-232

증강현실 기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만족도 영향 요인들에 대한 고찰 = Analysis of determinant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for augmented reality(AR) camera application : focusing on Naver's <Snow> service : 네이버 <스노우>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성준 p. 417-428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미국산업응용수학 학회지의 연구 현황 및 동향 분석 = Analysis on status and trends of SIAM journal papers using text mining 김성연 p. 212-222

중년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adults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경제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옥지, 이수림 p. 491-502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모음 인지 비교 = A comparison of vowel perception between American English and British English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이신숙, 초미희 p. 203-211

포커싱 워크숍 경험을 통한 포커싱적 태도 훈련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depiction of a focusing attitude training experience through a counselor's participation in focusing workshop 주은선, 서동신 p. 451-463

불법 저작물 사이트의 광고 차단을 통한 저작권 침해 방지 연구 = Study on preventing copyrights infringement through blocking advertisements of illegal copyrighted websites : 자금 추적 기반 방식을 중심으로 신명섭, 용미란, 이영주 p. 331-341

중국 공공외교 전략과 수행방식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Chinese public diplomacy strategy and performance 안지영 p. 169-184

언론은 한일 갈등을 어떻게 보도했는가 = How did the press report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framing and signifying strategies : 프레임 유형과 의미화 방식을 중심으로 박영흠, 정제혁 p. 352-367

연령 집단별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 =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perceiv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age group 손근호, 김경호 p. 127-138

대학생의 감사노트 작성이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grateful note-taking in university students upon grateful disposition and happiness 김경화 p. 244-255

임진왜란 당시 조선 화포(중완구) 문화재복원 = Restoration of Joseon's mortar u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임형웅, 최원호 p. 56-65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이용 동기와 사회적 시청이 브랜드 태도, 브랜드 관여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ne person media broadcasting use motivation and social viewing on consumer brand attitudes, brand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남궁진, 이진균 p. 30-46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landscape plan strategy of urban waterside space buffer zon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resilient perspective of plan : 탄성 (resilient) 관점의 계획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양멍, 홍관선 p. 404-416

청년 창업 멘토링이 기업가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youth startup mentoring on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 centered on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안혜진, 이승하 p. 560-575

The effect of perceived similarity on leader-member exchange and deviant workplace behavior= 비교이론이 리더-구성원 교환이론과 직장 내 일탈행위에 미치는 영향 Soo Kyung Kim p. 629-635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외자의 등급유지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grade maintenance of the non-graded of long-term care insurance 서수진, 문용필 p. 149-160

외국인 유학생의 분석적 글쓰기 교육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nalytical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이선중, 황성은 p. 256-262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s of loneliness and YouTub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이종만 p. 342-351

이미지 인식 기술의 산업 적용 동향 연구 = A study on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송재민, 이새봄, 박아름 p. 86-96

기회의 창 이론을 통해 바라본 국내 영화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through the window theory of opportunity 이강석 p. 195-202

PBL 활동에서 교육과정 편성 과제의 구조화 정도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탐색 = Exploring the impa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ucturing of curriculum tasks in PBL activities 이은철 p. 282-291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안현용 p. 438-450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표현에 따른 성 역할 행동 분석 = Analysis of gender role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visual expression of Disney animation : focusing on female characters of Mulan, Tangled, Moana, and Frozen 2 : 뮬란, 라푼젤, 모아나, 겨울왕국2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정이슬, 김은정 p. 107-117

남북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4-gram 연어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4- gram word clusters in South vs. North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김정렬 p. 274-281

CNN기반의 학습모델을 활용한 거북목 증후군 자세 교정 시스템 = Turtle neck syndrome posture correction service using CNN-based learning model 한지예, 박진호 p. 47-55

보건교사의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동성애에 대한 태도 = School health teachers' ambivalent sexism and attitudes toward homosexuality 정은하 p. 503-515

외식 소비자의 스페인 레스토랑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 Subjectivity study on Spanish restaurant perception of restaurant industry consumer 이성용, 김호석 p. 576-584

대학 자체교육인증제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ernal accreditation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임광현, 강지혜 p. 233-243

우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별 인식 = Perceptions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satisfaction on online lecture content by age group 정혜령, 우영희 p. 429-437

기업의 공공성이 사회적 책임 인식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publicity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brand attitude 강소영 p. 379-391

청소년의 돈내기 게임 접촉방식과 문제도박의 관계 = The association between modes of access to betting games and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 focusing on comparisons between on-line and land-based modes :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재경, 이래혁, 장혜림 p. 139-148

숏폼(Shortform) 동영상 기반 브랜드의 전략적 경험 디자인 = Strategic experience design of shortform video-based brand : focused on LIZIQI's food videos : 李子柒(이자칠)의 미식(美食) 동영상을 중심으로 최여여, 김영재 p. 185-194

제품, 서비스, 융합제품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needs for products, service, and integrated product service : focusing on Amazon online reviews : 아마존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김성범 p. 316-330

Social networking service fatigue and cessation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피로감과 중단 : 문화와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cultural and gender differences Chulhwan Choi, Tara Mahoney p. 547-559

정부지출과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주도성장 경로 분석 = Analysis of income-led growth path induced by government and consumption expenditures 이현재 p. 602-617

시설거주 양육미혼모 삶의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fe experiences of unmarried mothers residing in shelter 이정실 p. 636-652

인공지능발달 토픽 프레임 연구 = A study on AI evolution trend based on topic frame modeling : 계열화(seriation)와 통합화(skeumorph)의 사회구성주의 중심으로 권상희, 차현주 p. 66-85

행정기능 지방이양의 과제 = A task of the administrative function transfer 박종관 p. 161-168

인공지능 스피커와 아동들의 상호작용 = Interactions between AI speaker and children : a field study on the success/failure cases by types of interactions : 유형별 성공/실패 사례 도출을 위한 현장 연구 홍정림, 최보름 p. 19-29

반려동물 양육 소비자의 동물등록제 인식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imal registration system of the companion animal owners : focusing on the pet attachment type of small dog owners : 소형견 양육자의 애착유형을 중심으로 최아라, 구혜경 p. 392-403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천식 환자 발생 예측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sthmatic occurrence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성태응 p. 674-682

실험 교흔 조직의 경과시간에 따른 in vitro 3차원 디지털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three dimentional digital analysis of experimental bite-marks with the progress of time 배은정, 홍승표, 임중연 p. 683-690

CPTED 이론 모델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nstitution of CPTED theoretical mode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 지속가능한 발전 분석을 중심으로 류허, 홍관선 p. 302-315

청소년의 공격성과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ggres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박기희, 박은민 p. 516-524

IPA기법을 활용한 한옥마을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연구 = Research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lection attribute for Hanok villag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김연선 p. 585-593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자존감과 내재적 학습동기 간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s peer attachment on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유계환 p. 263-273

VR체감형 액션콘텐츠의 시각적 몰입감 = The study of visual immersion of interactive type of VR action contents 이영우 p. 525-533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인터넷게임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습관 =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internet gaming disorder and lifestyl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보경, 성명희 p. 653-664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 The intermediary effect of self-si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 최장원 p. 464-477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reliance of unmarried mothers on their life satisfaction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지혜, 조성희 p. 478-490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e motivation and preference in TV food program viewing 박신영 p. 534-546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n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조영미 p. 665-673

1990년대 이후 국가혁신체제의 한·중 비교를 통한 관점의 국내 문화콘텐츠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domestic development plan by comparing Korea and China's cultural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after 1990's 김미경 p. 594-601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기반의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모델 제안 = Proposal of security orchestration service model based on cyber security framework 이세호, 조인준 p. 618-628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ttp://news1.kr/articles/?3821747, 2020.04.01. 미소장
2 문미성, “창업생태계의 개념과 공간적 함의,” 국토연구원, 국토 2019년 10월호, pp.7-8, 2019. 미소장
3 https://www.kised.or.kr/, 2020.05.30. 미소장
4 오재우, 고복수, 강진규, “멘토링기능이 기업가정신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창업준비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0권, 제1호, pp.129-141, 2015. 미소장
5 박용호, 김용태, “창업멘토링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513-528, 2014. 미소장
6 Mentorship and Career Mobility: An Empirical Investigation 네이버 미소장
7 The association of formal and informal public accounting mentoring with role stress and related job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8 육창환, 창업가의 특성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창업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9 방혜민, 전인오, “멘토의 역량과 멘토링 기능이 창업의초기성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444-454, 2015. 미소장
10 K. E. Kram, “Phase of mentor relationship,”Academy of Mangement Journal, Vol.26, No.4, pp.608-625, 1983. 미소장
11 R. J. Burke, “Mentors in Organizations,”Group and Organization Studies, Vol.9, No.3, pp.353-372, 1984. 미소장
12 M. G. Zey, The Mentor Connection , Homewood: Dow Jones-Irwin, 1984. 미소장
13 A Paradigm of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Management 네이버 미소장
14 Z. J. Acs, “High-Impact Entrepreneurship,”International Handbook Series on Entrepreneur 5, part 2, pp.165-182, 2010 미소장
15 A Cross-Disciplinary Exploration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6 남정민,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 검증: 플립러닝 및 PBL 기반 기업가정신교육 적용 사례,” 벤처창업연구, 제12권, 제2호, pp.31-40, 2017. 미소장
17 Brucd R. Barringer and R. Duane Ireland, 기업가정신과 혁신 , 이앤비플러스, 2014. 미소장
18 유봉호·김수현, “청년창업자의 셀프리더십이 창업성공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역할을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8권, 제4호, pp.1097-1098, 2015. 미소장
19 공혜원, 김효선,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31권, 제12호, p.2235, 2018. 미소장
20 박동수, 구언회, “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성장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0권, 제6호, pp.2979-3011, 2007. 미소장
21 박인, 주지훈, 정범구, “셀프리더십 및 자기효능감이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와 창업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제20권, 제3호, pp.168-170, 2017. 미소장
22 김화영, 안연식, “Entrepreneurship, 기업가 지향성및 기업가 활동에 대한 개념적 고찰,” Korea Business Review, 제21권, 제3호, pp.1-45, 2017. 미소장
23 정주영, 이 땅에 태어나서: 나의 살아온 이야기, 솔, 1998. 미소장
24 박영상, 이우진, “공공조직의 사내기업가정신 인식이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6호, pp.83-98, 2016. 미소장
25 최재성, 창업자의 영업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6 Strategic Plann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Critical Appraisal 네이버 미소장
27 Corporate-Level Strategy, Business-Level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28 배재원, 이승연,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방향 연구-한국어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제31권, p.224, 2016. 미소장
29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미소장
30 신경림, 최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명민, 김혜영, 김옥현, 김영혜 공역, 포커스 그룹, 현문사, 2004. 미소장
31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 2009. 미소장
32 김예성, 배정현, “청소년 E-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또띠(tortee) E-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변화를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133-158, 2007. 미소장
33 오미선, 권일남, “멘토의 공감능력이 멘토링관계와멘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7호, pp.119-136,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