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영성신학에서 본 영적 식별 = Spiritual discernment in spiritual theology : criteria, means of discernment and sign of spirit : 식별 기준과 수단 그리고 영의 표지 / 윤주현 1

[목차] 1

서론 3

1. 사전 개념들 4

1.1. 용어 문제 4

1.2. 영적 식별의 의미 5

1.3. 영적 식별의 종류 7

2. 영혼을 움직이는 세 가지 영 8

2.1. 하느님의 영 8

2.2. 악령 9

2.3. 인간적인 영 10

3. 영적 식별을 위한 기준들 11

3.1. 보다 더 좋은 것 11

3.2. 보다 더 큰 위로 13

3.3.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위한 봉사와 투신 14

4. 영적 식별을 위한 수단들 14

4.1. 하느님의 말씀 14

4.2. 기도 15

4.3. 학식과 교도권의 가르침 17

4.4. 내담자에 대한 개인적인 앎 19

4.5. 식별을 방해하는 요소들에 대한 제거 20

5. 세 가지 영들에 대한 표지 22

5.1. 하느님의 영의 표지 22

5.2. 악령의 표지 27

5.3. 인간적인 영의 표지 30

5.4. 의심스러운 경우에 대한 식별 33

6. 공동체적인 영적 식별 35

6.1. 공동체적인 영적 식별이란 무엇인가? 35

6.2. 공동체적인 식별을 위한 전제조건들 36

6.3. 공동체적인 식별 과정 40

결론 44

국문초록 48

Abstract 50

참고문헌 5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초신학의 중심 주제로서의 식별 = Discernment as the central subject of fundamental theology 한민택 p. 19-69

보기
프란치스코 교황과 식별의 문제 = Pope Francis and discernment : from the perspective of ecclesiology : 교회론적 전망에서 정희완 p. 71-110

보기
식별에 대한 성경신학적 제안 = A biblical theological proposal for discernment : "But the thing that David had done was evil in the sight of Yahweh" (2S 11,27b) : "다윗이 한 짓이 주님의 눈에 거슬렸다."(2사무 11,27ㄴ) 나호준 p. 111-150

보기
세계주교시노드 규정에서 드러난 교회의 식별 자세 = The discernment of the catholic church in the regulations for bishop's synod : focusiong[실은 focusing] on apostolic constitution Episcopalis Communio : 교황령 「주교들의 친교(Episcopalis Communio)」를 중심으로 김의태 p. 151-189

보기
영성신학에서 본 영적 식별 = Spiritual discernment in spiritual theology : criteria, means of discernment and sign of spirit : 식별 기준과 수단 그리고 영의 표지 윤주현 p. 191-243

보기
성 이냐시오의 영적 식별과 공동식별 = Spiritual Discernment of St. Ignatius and the communal discernment : the spiritual basis for "synodalitas" of the church : 교회의 '공동합의성'을 위한 영성적 기초 정제천 p. 245-272

보기
『사제성소의 선물』에서 말하는 사제 양성의 기초와 여정 = The foundations and the journey of priestly formation in The Gift of the Priestly Vocation 김의태 p. 273-300

보기
'자유의 교육학'에 따른 신학교 인성 양성 = Human formation in seminary according to the pedagogy of freedom 한민택 p. 301-354

보기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한덕골 = Saint Father Andreas Kim Tae-gon and Handeok-gol 김학렬 p. 355-416

보기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시각에서 본 프랑스 교리교육운동의 거대한 방향 [저] 조셉 콜롱 ; 역: 곽진상 p. 417-449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