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들뢰즈는 키에르케고어에게서 영감을 받아 법칙적 반복을 뛰어넘는 심층적 반복을 사유하였다. 법칙으로 환원되지 않는 심층적 반복은 그 유희성으로 인해 반복과 놀이의 관계를 사고하게 해준다. 들뢰즈의 반복론에 입각한 유아 생태놀이는 발달주의적 유아관과 실증주의적인 접근이 가진 한계를 뛰어넘을 자원으로 삼을 수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반복론에 입각한 유아 생태놀이는 학습자가 능동적인 존재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반복론에 입각한 유아 생태놀이는 학습자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반복론에 입각한 유아 생태놀이는 포스트모던 교육관과 같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방법론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경회(2017). 자연체험과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이 4~5세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4), 279-301. | 미소장 |
2 | 류미향(2020). 우연과 반복의 축제로서 놀이와 배움: 니체와 들뢰즈에게서 배우는 놀이.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Ⅰ. 파주: 교육과학사, 237-273. | 미소장 |
3 | 박항아‧김민정‧안경매‧최선미(2015). 모래 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5), 95-110. | 미소장 |
4 | 서동욱(2019). 하이데거와 들뢰즈의 반복 개념. 철학논집, 57, 63-103. | 미소장 |
5 | 이연선‧정혜영(2018).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교육인류학연구, 21(1), 193-224. | 미소장 |
6 | 이연화‧김영옥‧서영임‧김여선(2018). 자연물을 활용한 실외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8(4), 165-185. | 미소장 |
7 | 이효원‧조희숙(2016). 유아들이 경험하는 바깥놀이터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373-400. | 미소장 |
8 | 임부연‧양혜련‧송진영(2012).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49-272. | 미소장 |
9 | 전가일(2015). 동네 놀이터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35(3), 337-363. | 미소장 |
10 | 정낙림(2020). 놀이의 철학과 아곤의 교육.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Ⅰ. 파주: 교육과학사. 65-98. | 미소장 |
11 | 최승현(2020). 실험과 배움 그리고 유아 놀이의 생태성.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Ⅰ. 파주: 교육과학사. 205-236. | 미소장 |
12 | 홍진호(2019). 욕망하는 인간의 탄생: 세기전환기 독일 문학에서 발견한 에로틱의 미학. 파주: 21세기북스. | 미소장 |
13 | 森田裕之(2012). ドウルーズ=ガタリのシステム論と敎育學: 發達‧生成‧再生. 東京: 學術出版会. | 미소장 |
14 | Aristoteles. Metaphysica. 김진성 역(2007). 형이상학. 서울: 이제이북스. | 미소장 |
15 | Deleuze, G.(1968). Différénce et Répétition. Paris: PUF. 김상환 역(2004).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16 | Deleuze, G. et Gauttari, F.(1980).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2. Paris: Minuit. 김재인 역(2001). 천 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2.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17 | Haidt, J. and Lukianoff, G.(2018). The Coddling of the American Mind: How Good Intentions and Bad Ideas are Settings up a Generation for Failure. New York and London: Penguin Books. 왕수민 역(2019). 나쁜 교육: 덜 너그러운 세대와 편협한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파주: 프시케의 숲. | 미소장 |
18 | Kierkegaard, S.(1843). Repetition/Present Age. 임춘갑 역(2011). 반복/현대의 비판. 서울: 치우. | 미소장 |
19 | Pacini-ketchabaw, V. and Kocher, L. and Kind, S.(2016).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20 | Sellers, M.(2013).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손유진‧안효진‧유혜령‧윤은주‧이경화‧이연선‧이진희‧임부연‧전가일‧한선아 역(2018).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21 | Skirbekk, G. and Gilje, N.(2001). A History of Western Thought.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윤형식 역(2016). 서양철학사1. 파주: 이학사.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