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성리학을 수용한 조선의 학계는 우주의 생성보다는 인간의 심성을 치밀하게 논변하였다. 16세기 감정을 다룬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 본성을 탐구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19세기 마음을 고찰한 심설논쟁(心說論爭)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학리적 논변은 리(理)와 기(氣)로 전개되는 서로 다른 사유체계가 자리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19세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은 율곡학을 계승하지만, 그 율곡학의 ‘기’ 중시적 리기론을 벗어나 현상의 궁극적 근거가 되는 ‘리’에 치중하는 리기론으로 전개하였다. 때문에 율곡학을 계승한 같은 기호학파 계열로부터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다. 기정진을 따르는 직전문인이나 재전문인들은 스승의 학설을 굳건히 지키며 재반론을 가하였다.

본 논문은 화순출신으로 노사학을 계승한 재전문인 중헌(重軒) 황철원(黃澈源)의 성리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황철원은 같은 향리 출신 정의림(鄭義林)에게 먼저 노사학을 접하고 뒤에 경상도 합천 출신 정재규(鄭載圭)에게도 수학하며 성리설을 구축하였다. 이에 논문 전개는 먼저 그의 생애와 양사종유(兩師從遊)를 간략히 살펴보고, 성리학 체계에 있어서는 『시경』에서 언급한 유물유칙(有物有則), 『주역』에서 언급한 음양(陰陽)과 도(道)의 관계, 그리고 태극도(太極圖) 이해를 통한 리발일도설(理發一途說)의 경향을 고찰하였다.

황철원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당시 타학파로부터 비판받던 노사학 옹호와 리에 치중하는 사유체계를 이해하고 아울러 화순지역의 노사학파 계승 양상을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혜강(惠岡) 최한기(崔漢綺)의 경사론(經史論) = A study on Hyegang Choe Han-ki's theory of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y 구자익 p. 71-99

정약용 저작집(著作集) 체제(體制) 연구 = A study on the order of Jeong Yagyong's collected works 김보름 p. 39-70

중헌(重軒) 황철원(黃澈源)의 노사학(蘆沙學) 계승양상 일고 : A study on aspects of Hwang Chul-won's succeeding philosophy of Nosa : focusing on the theory of libal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aegeukdo / 「태극도(太極圖)」 이해를 통한 리발론(理發論)을 중심으로 이형성 p. 125-149

성현 제사의 존재론적 토대에 관한 주자학적 고찰 = A study on the neo-Confucian view of the existential foundation of the rites for the sages : focusing on an explanation in conformity with the theory of Dotong (道通) : 도통론과의 정합적 해명을 중심으로 유은주 p. 265-286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와 의의 =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Yi Yi's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이경동 p. 1-37

후지타 유코쿠(藤田幽谷)의 정명론 연구 = A study on Fujita Yukoku's Seimeiron 김지훈 p. 287-315

조선시대 양명학에 관한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research on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research on general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 ­조선시대 양명학 일반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세정 p. 151-202

인내의외론(仁內義外論) = Discourse on the internality and externality of humanity and rightness : focusing on the moral characteristics of humanity and rightness from the meta-ethical perspective of Mencius : 『맹자』「고자」상 4장의 인의(仁義)의 성격에 관하여 이찬 p. 203-231

『맹자』 <우산지목장>의 '심(心)'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Xin (心, heart-mind)' in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rees of the Ox Hill)" of Mengzi : focusing o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을 중심으로 신예진 p. 233-264

간재(艮齋)의 「독맹자(讀孟子)」 연구 = A study on Ganjae's reading Mencius : examining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 수양론을 중심으로 길태은 p. 101-124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蘆沙文集』, 아성문화사, 1976. 미소장
2 『重軒文集』(『韓國歷代文集總書』 522∼523), 경인문화사, 1993. 미소장
3 『老柏軒集』(乾․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4 현상윤 저⋅이형성 교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 심산, 2010. 미소장
5 최영성, 『한국유학통사(하)』, 심산, 2006. 미소장
6 김충렬, 『중국철학산고(Ⅱ)』, 온누리, 1988. 미소장
7 윤사순, 『한국유학사—한국유학의 특수성 탐구(상․하)』, 지식산업사, 2012. 미소장
8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미소장
9 권수용, 1900년 전후 화순 유학의 흥성과 정의림의 역할, 『지방사와 지방문화』17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14. 11. 미소장
10 박학래, 『(한말 성리학의 거유) 기정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11 박학래, 『기정진 철학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미소장
12 박학래, 日信齋정의림鄭義林의 性理說硏究, 『범한철학』 제41집, 범한철학회, 2006. 미소장
13 박학래, 노사학파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국학연구』 제15호(한국국학진흥원), 2009. 미소장
14 박학래, 노사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한국 철학계의 연구를 중심으로-, 『동양고전연구』 제70집(동양고전학회), 2018. 미소장
15 박학래, 근현대 湖南儒學의 地形과 전개 양상-도학 계열 문인 집단의 형성과 지역별 분포에 주목하여, 『동양고전연구』 제78집(동양고전학회), 2020. 미소장
16 조우진, 화순유학의 전개와 노사학파의 형성, 『용봉인문논총』 제56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