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과정의 사회적 전망과 해석으로서의 문식 환경 이해 = Social prospects of the curriculum and understanding the literacy environment as an interpretation :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a mode of communication and the logic of embracing media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 국어과 교육과정의 소통 방식 구현 및 매체 포섭 논리에 대한 고찰 강민규 p. 1-51
국가·제도적 교육 환경의 변화 동향과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 Exploring future directions for revis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trends of nation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김종윤 p. 53-80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 Expert survey on the composition of digital literacy content 서수현, 옥현진 p. 203-231

국어사 교육의 변화에 따른 교육 내용 설계 =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changes i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 a trial study for integration with vocabulary education : 어휘 교육과의 통합을 위한 시론 양영희 p. 273-299
메시지 측면성의 설득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persuasive effects of message sidednes 박준홍, 박성석 p. 161-201
다문서 이해에 대한 텍스트 구조적 접근 = Text structured approach to multiple-documents comprehension :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multiple-documents structure : 고등학생 독자들의 다문서 구조화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오은하 p. 123-159
럿거스 대학의 시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from a Sijo course at Rutgers University : implementing language-content connections 염은열, 유영미 p. 233-272
중학교 1∼3학년 읽기 능력 검사 도구 개발 및 IRT 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inventory and validation based on IRT 양수연, 박성석, 민병곤 p. 81-122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내 사잇소리 현상 기술과 문제점 = Description methods and their problems : the Sait-sori phenomenon in language and media 김정인 p. 301-329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민현식·신명선·오현아·이지은·안창호·조진수·박진희(2018).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미소장
2 방민호·안효경·신서인·오현숙·이용광·김태경(2018). 언어와 매체. 미래엔. 미소장
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1996). 문법. 교육부. 미소장
4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2).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5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85). 문법. 교육부. 미소장
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91). 문법. 교육부. 미소장
7 이관규·박경희·신호철·신희성·이동석·정지현·하성욱(2018).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미소장
8 이삼형·김창원·양정호·안혁·하동원·박찬용(2018). 언어와 매체. 지학사. 미소장
9 최형용·강영준·권태윤·박재연·박종오·소신애·송찬욱·오세호·임요한(2018). 언어와 매체. 창비. 미소장
10 김광해·권재일·임지룡·김무림·임칠성(1999).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미소장
11 김봉국(201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교과서 속의 음운변동 내용에 대한 검토. 우리말연구 38, 29-44. 우리말학회. 미소장
12 김정인(2020ㄱ). 국어 사잇소리의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13 김정인(2020ㄴ). 현대국어 사잇소리에 대한 관견. 이화어문논집 50, 265-295. 이화어문학회. 미소장
14 김창섭(1996).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미소장
15 배주채(2013). 개정판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미소장
16 신승용(2018). 기저형과 어휘부. 한국문화사. 미소장
17 엄태수(2006).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국제어문 38, 165-200. 국제어문학회. 미소장
18 이선웅(2014).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국어학 69, 167-205. 국어학회. 미소장
19 이진호(2003). 국어 ㅎ-말음 어간의 음운론. 국어국문학 133, 167-195. 국어국문학회. 미소장
20 이진호(2006). 국어 음운론의 중간 층위. 어문연구 34(3), 93-11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미소장
21 이진호(2009). 국어 음운 교육 변천사. 박이정. 미소장
22 이화진(2015).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I』 교과서의 ‘음운 변동’ 기술 양상과 문제점. 국어교육학 50(3), 161-192. 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3 음운규칙 간의 위계 검토 소장
24 정영호(2009). 국어 용언어간의 기저형 ‘X(C)ㅎ-X(C)ㆆ-’. 국어국문학 151, 91-116. 국어국문학회. 미소장
25 조경하(2005).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현상. 이화어문논집 23, 5-27. 이화어문학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