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경희, 윤해진 (2008). 재한 아시아유학생의 사회적 맥락과 모바일폰 이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2권 2호, 47-81. |
미소장 |
2 |
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227-252. |
미소장 |
3 |
민성희, 박정호 (2013). 다문화가족 이민자의 한국어실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연구>, 16권 2호, 179-208. |
미소장 |
4 |
배소영, 정연구 (2015). 미디어 이용은 영유아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가?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67-93. |
미소장 |
5 |
여성가족부 (2010).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
미소장 |
6 |
왕매, 나미수 (2015).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8권 1호, 77-98. |
미소장 |
7 |
이영수 (2016). 스마트폰 이용의 사회관계적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권 4호, 49-63. |
미소장 |
8 |
이옥기, 백선기 (2011).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사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15권 2호, 323-355. |
미소장 |
9 |
이준웅, 김은미, 문태준 (2005).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234-261. |
미소장 |
10 |
이창호, 배애진 (2008).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44호, 44-75. |
미소장 |
11 |
이혜인, 배영 (2011).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정보사회와 미디어>, 21호, 35-71. |
미소장 |
12 |
장성준 (2011). 사회참여 장으로서 소셜 미디어의 가능성과 그 의미.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46-147. |
미소장 |
13 |
정재철 (2006). 온라인 시민사회운동의 공론화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타닉스 운동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3호, 253-285. |
미소장 |
14 |
한국 언론진흥재단 (2018). 2018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http://www.kpf.or.kr /site/kpf/main.do |
미소장 |
15 |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
미소장 |
16 |
Beckhusen, J., Florax, R. J. G. M., De Graaff, T., Poot, J., & Waldorf, B. (2012). Living and working in ethnic enclaves: Language proficiency of immigrants in U.S. metropolitan areas. IZA Discussion Paper No. 6363, 1-22. |
미소장 |
17 |
Ethnic Networks and Language Proficiency among Immigrants  |
미소장 |
18 |
Immigrant earnings: Language skills, linguistic concentrations and the business cycle  |
미소장 |
19 |
Chiswick, B., & Miller, P. (2005). Do enclaves matter in immigrant adjustment? City & Community, 4(1), 5-35. |
미소장 |
20 |
A Spatial Economic Perspective on Language Acquisition: Segregation, Networking, and Assimilation of Immigrants  |
미소장 |
21 |
Herman, E. S., & Chomsky, N. (1988). Manufacturing con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mass media. New York, NY: Pantheon Books. |
미소장 |
22 |
Kraut, R., Patterson, M., Lundmark, V., Kiesler, S., Mukopadhyay, T., & Scherlis, W. (1998).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Psychology, 53, 1017-1031. |
미소장 |
23 |
Nie, N., & Erbring, L. (2000). Internet and society: A preliminary report [Online]. URL: http://www.stanford.edu/group/siqss/Press_Rel ease/internetStudy.html |
미소장 |
24 |
A Cognitive Processing Model of Information Source Use and Stereotyping: African-American Stereotypes in South Korea  |
미소장 |
25 |
Native American Stereotypes, TV Portrayals, and Personal Contac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