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유료방송시장 경쟁규제의 주요 쟁점 및 개선방안 = Analyzing competition regulation on the pay TV markets in Korea / 김정현 ; 홍대식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진입규제 : 재허가와 부관 4
1. 규제의 개관 4
2. 논의 배경 6
3. 문제점 및 개선 방안 8
III. 요금규제 11
1. 규제의 개관 11
2. 논의 배경 12
3.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2
IV. 시장점유율 규제 14
1. 규제의 개관 14
2. 논의 배경 15
3.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6
V. 경쟁상황평가 : 결합지배력 평가 도입 및 제도 정비 18
1. 논의 배경 18
2. 결합지배력 : 개념 및 평가 기준 19
3. 문제점 및 개선 방안 20
VI. 금지행위 규제 23
1. 규제의 개관 23
2. 논의 배경 24
3. 문제점 및 개선 방안 25
VII. 결론 28
참고문헌 30
Abstract 3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준석・황유선・권용재, 「방송시장 환경변화에 대응한 유료방송 요금 규제및 수신료 배분 체계 개선 방안 연구」, 융합활성화정책연구 15-08, 미래창조과학부, 2015. | 미소장 |
2 | 강준석・이재영・김경은・권용재, 「유료방송시장 경쟁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경쟁 정책 방안 연구」, 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19-33, 방송통신위원회, 2019. | 미소장 |
3 | 곽규태・최세경, PP의 다양성 보장을 위한 MSO의 수평결합 제한기준 연구: 국내 다채널 유료방송 시장에 대한 오픈필드 접근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제11권 제1호, 2013, 7-46. | 미소장 |
4 | 권오상・김현호 외 9, 「방송법연구」, 법문사, 2019. | 미소장 |
5 | 김창규, 한국의 방송 허가 재허가 제도, 강종근・김대호 외 5, 「방송 허가재허가 제도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2005-8호, 방송통신위원회, 2006. | 미소장 |
6 | 김희수・김형찬 외 11,「통신시장 경쟁상황 평가」, 수탁연구 04-4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 미소장 |
7 | 박동욱・이종원・김태오・박민성, 「방송사업자 재허가 재승인 제도 개선 방안 연구」, 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14-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 미소장 |
8 | 박민수・김정민・김성환, 종합유선방송 산업에서의 규모의 경제 추정, 「정보통신정책연구」제24권 제1호, 2017, 41-47. | 미소장 |
9 | 방송통신규제개혁위원회, 「방송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혁 보고서」, 제31대 한국방송학회, 2019. | 미소장 |
10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각 년도. | 미소장 |
11 | 변상규, 유료방송 플랫폼 사업자의 소유규제 기준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방송학보」제34권 제3호, 2020, 43-72. | 미소장 |
12 | 변정욱・김정현 외 5, 「주요국 사례분석을 통한 통신시장에서의 지배력 평가 방법 연구」, 연구보고 07-0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 미소장 |
13 | 성욱제・이재영, 「국내 방송규제 합리화를 위한 국가 간 규제체계 비교 연구」, 기본연구 13-0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3. | 미소장 |
14 | 송종현・윤성옥, 「방송사업 재허가 재승인 심사기준 고시화 및 계량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정책연구용역보고서, 한국언론학회, 2017. | 미소장 |
15 | 경제적 동일체이론과 공동의 시장지배에 관한 소고 | 소장 |
16 | 이상규・변정욱・김정현, 「통신서비스 시장지배력: 정의 및 판단기준」, KISDI 이슈리포트 04-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 미소장 |
17 | 이호영, 경쟁법상 ‘공동의 시장지배력’ 개념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제26권 제1호, 2009, 197-228. | 미소장 |
18 | 임준・정경오・황주연, 「방송통신 진화에 따른 규제체계 고도화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용역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 미소장 |
19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신시장 경쟁상황 평가」, 각 년도. | 미소장 |
20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신서비스 정책의 이해」, 정보통신정책 핸드북 제1권, 법영사, 2005. | 미소장 |
21 | 최영묵, 「한국방송정책론: 역사와 전망」, 논형, 2010. | 미소장 |
22 | 홍대식, 경쟁과 다양성: 방송관련법의 목적의 관점, 「법제연구」제44호, 2013, 63-101. | 미소장 |
23 | 홍대식, 인공지능 기술과 유료방송 미디어 규제에 대한 도전, 「언론정보연구」57권 3호, 2020, 81-121. | 미소장 |
24 | 홍대식・김성환 외 5, 「방송법 금지행위 법제도 실행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정책연구용역보고서, 2010. | 미소장 |
25 | 홍대식・김정현・채정화・김유례, 「OTT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방송매체산업의 경쟁상황 연구」, 주요산업 시장분석 보고서 시리즈 2019-1, 공정거래위원회, 2019. | 미소장 |
26 | 홍대식・이성엽, 「방송시장 금지행위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16-14, 방송통신위원회, 2016. | 미소장 |
27 | 비씨카드 사건에서 시장지배력과 가격남용 판단의 타당성 고찰 | 소장 |
28 | 황근, 방송사업자 재허가 재승인제도 개선방안, 「중앙법학」제21집 제4호, 2019, 475-513. | 미소장 |
29 |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Guidelines on Market Analysis and the Assessment of Significant Market Power under the Community Regulatory Framework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Networks and Services, 2002. | 미소장 |
30 | FCC, The Commission’s Cable Horizontal and Vertical Ownership Limits, Fourth Report & Order and Further Notice of Proposed Rulemaking, FCC 07-219, 2008. | 미소장 |
31 | Political Science and the Three New Institutionalisms * ![]() |
미소장 |
32 | Harrison, Jackie and Woods, Lorna, European Broadcasting Law and Polic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33 | Napoli, Philip M., 배현석 옮김,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기초: 전자 미디어규제의 원칙과 과정」, 한국문화사, 2012. | 미소장 |
34 | O’Donoghue, Robert and Padilla, A. Jorge, The Law and Economics of Article 82 EC, Portland, OR: Hart Publishing,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