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정생‧이철지 엮음, 『권정생 이야기』 2, 한걸음, 2002, 1~320면. |
미소장 |
2 |
권정생, 『우리들의 하느님: 권정생 산문집』, 녹색평론사, 2008, 1~317면. |
미소장 |
3 |
권정생 글‧김세현 그림, 『엄마 까투리』, 낮은산, 2008, 1~20면. |
미소장 |
4 |
권정생, 『빌뱅이 언덕: 권정생 산문집』, 창비, 2012, 1~361면. |
미소장 |
5 |
김헌식, 「미디어의 로컬리티 매개에 관한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10,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105~146면. |
미소장 |
6 |
나병철, 『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8, 1~449면. |
미소장 |
7 |
문재원 외, 『대중문화, 지역을 디자인하다』, 소명출판, 2013, 1~222면. |
미소장 |
8 |
문재원, 「로컬리티 개념을 둘러싼 고민들」, 『로컬리티 인문학』 1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305~314면. |
미소장 |
9 |
박규택, 「로컬리티 연구의 동향과 주요 쟁점」, 『로컬리티 인문학』 창간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107~143면. |
미소장 |
10 |
안수연, 「『엄마 까투리』 서사를 활용한 지역 문화 시대의 아동문학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33,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119~156면. |
미소장 |
11 |
양연주, 「권정생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205면. |
미소장 |
12 |
이대근, 「두꺼비, 뱀, 잠자리, 그리고 어머니」, 『창비어린이』 6-3, 창비어린이, 2008, 258~261면. |
미소장 |
13 |
이명수, 「로컬리티, 존재론적 자기 방식과 공간적 가능성」, 『로컬리티 인문학』1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327~334면. |
미소장 |
14 |
이진경, 「지방성 사유의 세 가지 모델: 지방성의 사유에서 외부성의 벡터에 관하여」, 『로컬리티 인문학』 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47~82면. |
미소장 |
15 |
장유정, 「경험의 서사화와 자전적 글쓰기 교육 연구」, 『국어교과교육연구』 22, 국어교과교육연구, 2013, 179~221면. |
미소장 |
16 |
정제호, 「지역문화콘텐츠의 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안동지역 문화콘텐츠 <엄마 까투리>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56,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659~681면. |
미소장 |
17 |
조희주, 「‘삶의 터’로서의 로컬리티: 헤르만 헤세의 루가노와 권정생의 일직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7, 85면. |
미소장 |
18 |
천정환, 「지역성과 문화정치의 구조–근대화 연대의 문화정책과 지역성의 재편–」,『사이(SAI)』 4,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161~189면. |
미소장 |
19 |
Questions of Locality  |
미소장 |
20 |
“[경북의 역사·문화 인물] ④이육사·권정생·김주영”, ≪매일신문≫, 2010.10.23. |
미소장 |
21 |
“[대구] 안동 풍경·문화 담은 애니메이션 첫 선”, ≪SBS 뉴스≫, 2011.03.10. |
미소장 |
22 |
“[대구] ‘토종 애니’ 엄마 까투리, 유럽 무대로!”, ≪SBS 뉴스≫, 2011.10.27. |
미소장 |
23 |
“[야고부] 엄마 까투리”, ≪매일신문≫, 2011.03.10. |
미소장 |
24 |
“[여의도 레이더] “물갈이? 확실한 대타가 있나요?””, ≪매일신문≫, 2011.08.20. |
미소장 |
25 |
“[여의도 레이더] “형사소송법이 뭐기에….”/ “참석 안내 해줬는데요?””, ≪매일신문≫, 2011.08.27. |
미소장 |
26 |
“[월요칼럼] ‘경북은 천지가 보물곳간’”, ≪영남일보≫, 2014.07.28. |
미소장 |
27 |
“‘엄마까투리’ 승승장구에 경북도 느닷없이 “내거야””, ≪뉴스1≫, 2017.12.13. |
미소장 |
28 |
“<아동신간> '너는 누구니?'”, ≪연합뉴스≫, 2008.05.15. |
미소장 |
29 |
“경북 ‘문화원형자원’ 新 한류콘텐츠산업으로 거듭나”, ≪뉴시스≫, 2014.05.07. |
미소장 |
30 |
“경북 문화콘텐츠 ‘엄마까투리’ 대통령상 받았다”, ≪경북신문≫, 2017.12.05. |
미소장 |
31 |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 ‘혈세낭비 기관’ 비판 직면”, ≪영남일보≫, 2015.04.13. |
미소장 |
32 |
“故권정생 3D 애니 ‘엄마 까투리’ 글로벌 저력”, ≪매일신문≫, 2011.02.28. |
미소장 |
33 |
“권정생 3주기…안동서 추모행사”, ≪연합뉴스≫, 2010.05.06. |
미소장 |
34 |
“권정생 동화 애니메이션 ‘엄마까투리’ 큰 인기”, ≪연합뉴스≫, 2011.01.16. |
미소장 |
35 |
“권정생 동화 ‘엄마까투리’ 애니메이션으로”, ≪연합뉴스≫, 2010.05.17. |
미소장 |
36 |
“권정생 애니메이션 ‘엄마까투리’ 전국 상영”, ≪연합뉴스≫, 2011.05.31. |
미소장 |
37 |
“꽁지와 함께 꿈꾸는 엄마까투리 고장 구현”, ≪경상매일신문≫, 2018.07.23. |
미소장 |
38 |
“부릉∼ 엄마까투리 버스,안동시내 누빈다”, ≪경북신문≫, 2017.11.13. |
미소장 |
39 |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개‧폐막작 선정”, ≪연합뉴스≫, 2011.06.27. |
미소장 |
40 |
“세계가 인정한 브랜드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 ≪NEWSIS≫, 2017.06.07. |
미소장 |
41 |
“안동시, ‘엄마까투리’ 교과서에 나와요”, ≪국제뉴스≫, 2017.11.21. |
미소장 |
42 |
“안동영상미디어센터 폐지설 ‘토사구팽’”, ≪영남일보≫, 2012.08.27. |
미소장 |
43 |
“안동이 콘텐츠 산업 새 모델로 떠오른다”, ≪영남일보≫, 2014.02.25. |
미소장 |
44 |
“애니 ‘엄마까투리’ 개봉 첫날부터 매진 기록”, ≪연합뉴스≫, 2011.03.12. |
미소장 |
45 |
“애니메이션 ‘엄마까투리’ 경북 대표 캐릭터 자리매김”, ≪NEWSIS≫, 2016.12.20. |
미소장 |
46 |
“엄마 까투리”, ≪독서신문≫, 2008.05.17. |
미소장 |
47 |
“엄마 까투리를 아시나요”, ≪세계일보≫, 2011.01.14. |
미소장 |
48 |
“‘엄마까투리’ 승승장구에 경북도 느닷없이 "내거야"”, ≪뉴스1≫, 2017.12.13. |
미소장 |
49 |
“엄마까투리 조형물 안동 관문 설치”, ≪경북매일≫, 2017.11.22. |
미소장 |
50 |
“엄마까투리는 어떻게 안동에서 세계로 날아갔을까”, ≪한국무역신문≫, 2017. 12.12.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