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현재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 기반의 제조업 침체를 해결하기 위한 창업 정책지원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창업 후, 사업에 대한 실질적 운영 방법, 문제 발생 시 대처 방법 등 실질적인 운영 측면에서의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자체 중심으로 관내 기업의 이해관계자와 예비창업자들의 지속적인 코크리에이션을 진행하고, 각 이해관계자에게 실효성이 있는 창업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코크리에이션/코디자인에 대한 이론 고찰을 통해, 협업 중심의 프로세스를 구축하였다. ‘함께 발견하기 단계’에서는 창업 및 패션 분야에 대한 데스크리서치를 진행하였으며, ‘공감 워크숍’을 통해 각 이해관계자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함께 문제 정의하기 단계’에서는 심층 인터뷰 분석을 통해 퍼소나 및 고객여정지도를 구축하였다. 퍼소나 및 고객여정지도를 토대로 문제점 도출 워크숍을 진행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방향을 설정하였다. ‘함께 발전시키기 단계’에서는 방향성에 따라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고, 아이데이션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스토리보드를 구축하였다. 마지막 ‘함께 적용하기 단계’에서는 솔루션이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및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정보-사람- 공간’ 연계중심형 서비스전략을 통한 예비창업자의 창업 단계에 따른 3가지 통합적 솔루션이 도출되었다. 첫째, 허브 공간 마련과 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공간 중심의 ‘허브업’, 둘째, 창업 단계별 정보 및 매칭을 지원할 수 있는 ‘플랜업’, 셋째, 산학 협력 모의 크라우드 펀딩 프로그램 ‘챌린지 업’이다. 본 논문은 코크리에이션과 코디자인을 실제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적극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청년창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지자체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창업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50~1980년대 한국 자수계 동향 연구 = Study on Korean embroidery during the 1950s and 1980s : focusing on its relation to tradition : '전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혜성 p. 127-142

의복설계를 위한 19~34세 남성의 연령집단별 신체 치수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body sizes changes of men aged 19 to 34 by age group for apparel construction : based on anthropometric data of the 5th, 6th, and 7th size Korea : 제 5차, 제 6차, 제 7차 Size Korea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김민경 p. 53-67

3D 푸드 프린트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조형 콘셉트 제안 = Proposal of modeling concept for design development of 3D food printer : focused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ocolate 3D printer development : 초콜릿 3D 프린터 개발 방향성 설정을 중심으로 조성주, 정의영, 박준홍 p. 413-426

한국영상사진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image photography : focusing on Yook Myong-Shim's photography 1960-1980 : 육명심의 사진세계를 중심으로 1960-1980 정상훈, 손영실 p. 389-400

미술의 정의에 내재 된 인본주의의 의미 = The meaning of humanism in the definition of art :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백윤소 p. 143-154

모바일 기반 쇼핑 환경에서의 패션제품 명칭의 은유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etaphors of fashion product names on purchase intention with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s 김민지, 이은정 p. 69-81

산학협력에 의한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교육개발 = Development of multi-literacy design education by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강혜승 p. 13-24

들뢰즈의 해체적 사유가 내포된 가변적 신체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variable body images containing Deleuze's deconstructive reasoning 강덕봉 p. 1-12

스포츠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 현상 및 특성 = Visual merchandising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ports brand flagship store 최원선 p. 475-488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112호 주철장(鑄鐵匠)의 밀납주조(鑄造)공법을 활용한 공예문화상품 개발 연구 = A study of development of cultural craft items using beeswax casting method of Jucheoljang(casting master)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112 : with emphasis on design collaboration with college students : 대학생들과 디자인 협업을 중심으로 윤상희 p. 267-282

폐콘크리트 재생 디자인의 연구 : Research on recycling design of waste mixed soil material : focused on the public seats / 공공의자를 중심으로 지앙롱, 김명수 p. 427-439

현대 패션에 나타난 라텍스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atex fashion image in contemporary fashion 유연재 p. 237-252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람자의 참여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art : focused on installation art 엄현주, 유현정 p. 179-193

노년 남성의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추이 = Elderly male's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차수정 p. 457-473

디지털 이미지의 텍스처 사용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Changes in digital images and texture : focusing on illustration on screen media : 스크린 기반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이푸로니 p. 335-346

도래할 아카이브 = Archive to-come : Gerhard Richter's Atlas :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아틀라스> 황선영 p. 523-536

영화적 시간의 확장으로서 비디오 설치미술의 관람성 = The spectatorship of video art installation as expansion of cinematic time : focused on <Woman sitting down after killing> (installation art, Chantal Akerman, 2001) : <우먼 시팅 다운 애프터 킬링>(설치미술, 샹탈 아케르망, 2001)을 중심으로 장미화 p. 359-376

2000년대 이후의 섬유조형을 통해 본 페미니즘의 표상들 = The representational images of feminism in fiber art since 2000 윤순란 p. 283-294

뉴트로 (New-tro) 트렌드 특성을 반영한 업사이클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reflecting newtro trend characteristic : focused on complex cultural space : 복합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임주영, 김개천 p. 347-358

기업 조직 내 리더십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선행 프로세스와 컨셉 구축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front-end process and concept satisfying the leadership within corporate organizations : focused on automotive industry :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윤보미나, 황성걸 p. 253-266

제품디자인의 아이코닉(Iconic) 디자인 속성과 전략적 가치 연구 = Study on iconic design attributes and strategic values of product design : focused on the products of market leading electronic companies : 시장 선도 전자기업의 제품을 중심으로 원호연 p. 223-236

중식 패스트푸드 포장용기 디자인 제안 = Proposal for Chinese dish fast food packaging container design 홀문군, 한상윤 p. 505-521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감성이미지 의미전달매체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delivery medium of emotional image for millennials : focused on color and form : 색과 형태를 중심으로 정현선, 김예원 p. 401-412

동아시아 전통문화와 현대섬유미술 :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fiber art : focused on Korea, China, and Japan /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정경연, 윤나영 p. 377-388

감정카드 디자인 연구 = An analysis of the emotion cards design 곽미, 오치규 p. 25-38

안톤 체홉 「갈매기」의 메타연극적 특성과 시노그래피 연구 = A study of metatheatre characteristics and scenography of Anton Chekhov's 「The Seagull」 : focused on the practical production case :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진창주, 조준희 p. 441-455

A study on phygital retail store for create customer experience space= 고객 경험 공간 창출을 위한 피지털 리테일 스토어에 관한 연구 :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를 중점으로 : focused on flagship store cases Phaekiattiwong, Pittawat, Kim, Ji Eun, Kim, Kai Chun p. 489-504

중국 신화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Ne Zha) 복식의 상징 분석 = An analysis of the symbols of the Chinese mythology animation film Ne Zha's clothing : focus on color and pattern : 색채와 문양 중심으로 우해양, 한정민, 강혜승 p. 209-222

체코 큐비즘에서의 장식성 연구 = A study of decorativeness in Czech cubism : focused on architecture, design, and crafts : 건축, 디자인, 공예를 중심으로 김정섭 p. 113-126

믹스라이스(Mixrice) 작업에 나타난 '이주'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migration' in mixrice's works 김라연 p. 39-52

국제 디자인 공모전 제품디자인분야 대학생 수상작품 분석 = Analysis on the award-winning works of university students in product design at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 focused on the world's three major design competition in 2019 : 2019년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김병수 p. 83-96

20세기 초 주얼리의 새로운 두 흐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wo new flows of jewelry in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1920~30's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이광선 p. 295-307

심상적 사고의 통합 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l process of thinking using in mental imagery :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of 3 industrial designers : 산업 디자이너 3인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보섭 p. 97-112

동시대 조각분야와 타 장르간의 협업(Collaboration)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the sculpture field and other genre 손종준 p. 167-177

지역의 상생가치 창출을 위한 지자체-학교-기업 연계형 패션창업 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s-universities-enterprises linked fashion start up system for creating regional-based co-prosperity value : using co-creation based service design methodology : 코크리에이션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민화, 안현서, 구유리 p. 309-334

관계미술 교육의 의미와 수업지도 방안 연구 = Meaning of relational art education and teaching guide plan study 오보영 p. 195-207

뇌(腦)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연구 및 제언 = A case study and suggestion on the psychological art therapy for the children based on brain hemisphere 백중열 p. 155-166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정훈, 성열홍, 「도시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사례 연구- 서울시 도시형 소공인을 중심으로」.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2018 미소장
2 김형철, 임아름, & 김권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18(2), 2015 미소장
3 고혜숙, 이지연, 이연희, 「동대문 직물 시장에서의 패션 트렌드 수용 및 직물 기획」, 복식문화학회, 25(6), 2017 미소장
4 곽동철, 주영혁, 조봉현. 「창업기업 생존율 영향 요인 고찰: 청년창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8(4), 2016 미소장
5 손영훈, 국내 창업 생태계현황, 서울경제, 4월호, 2014 미소장
6 안상봉, 신용준, 「우리나라 창업지원제도 현황과 발전방안」, 경영사연구, 82, 2017 미소장
7 이장섭, 박은영, 「서울시 동대문 일대 도심제조업 활성화와 디자이너 직접생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디자인콘텐츠학회, 19(3), 2018 미소장
8 이지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co-creation 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 : 그린카드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9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 제조업의 특성과 정책제언 소장
10 오수진, 나건,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한 국내· 외 정책 비교 및 분석: 영국과 한국의 패션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4, 2015 미소장
11 윤종진, 우명제, 「서울시제조업 집적지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51(2), 2016 미소장
12 통계청, 동대문구 사업체조사보고서, 2017 미소장
13 한국콘텐츠진흥원, 『국내외 패션 유통 구조 및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미소장
14 홍재양, 양해슬,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2014 미소장
15 Bannon, L. J., & Ehn, P, 『Design: design matters in Participatory Design』, In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participatory design (pp. 57-83). Newyork, USA: Routledge, 2012 미소장
16 Stakeholder salience in public sector value co-creation 네이버 미소장
17 Design Things and Design Thinking: Contemporary Participatory Design Challenges 네이버 미소장
18 Designers’ articulation and activation of instrumental design judgements in cross-cultural user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9 Stickdorn, M., Schneider, J., 이봉원, & 정민주역,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파주: 안그라픽스, 2013 미소장
20 Stickdorn, M. & Schneider, J, 『This is service design thinking: Basics, tools, cases』, Amsterdam, Netherlands: BIS Publishers, 2012 미소장
21 Stickdorn, M., Hormess, M. E., Lawrence, A., & Schneider, J, 『This is service design doing: Using research and customer journey maps to create successful services』, California, USA: O'Reilly Media, Inc, 2018 미소장
22 Co-Design and the public realm 네이버 미소장
23 https://www.mt.co.kr/ 미소장
24 Using the value creation framework to capture knowledge co-creation and pathways to impact in a transnational community of practice in autism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25 Kleinsmann, M., & Valkenburg, R, 「Barriers and enablers for creating shared understanding in co-design projects」, Design studies, 29(4), 2008 미소장
26 Co-creation and the new landscapes of design 네이버 미소장
27 The integration of Design Thinking and Strategic Sustainabl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28 Co-Design as a Process of Joint Inquiry and Imagination 네이버 미소장
29 Steen, M., Manschot, M., & De Koning, N. 「Benefits of co-design in service desig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5(2), 2012 미소장
30 Jang, S., Hong, M. & Lim, Y, 「Ally-Opponent Understanding : Co-existence of Conflicting Values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Design Works,2(2),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