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정훈, 성열홍, 「도시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사례 연구- 서울시 도시형 소공인을 중심으로」.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2018 | 미소장 |
2 | 김형철, 임아름, & 김권필, 「청년창업가의 역량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사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18(2), 2015 | 미소장 |
3 | 고혜숙, 이지연, 이연희, 「동대문 직물 시장에서의 패션 트렌드 수용 및 직물 기획」, 복식문화학회, 25(6), 2017 | 미소장 |
4 | 곽동철, 주영혁, 조봉현. 「창업기업 생존율 영향 요인 고찰: 청년창업을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38(4), 2016 | 미소장 |
5 | 손영훈, 국내 창업 생태계현황, 서울경제, 4월호, 2014 | 미소장 |
6 | 안상봉, 신용준, 「우리나라 창업지원제도 현황과 발전방안」, 경영사연구, 82, 2017 | 미소장 |
7 | 이장섭, 박은영, 「서울시 동대문 일대 도심제조업 활성화와 디자이너 직접생산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디자인콘텐츠학회, 19(3), 2018 | 미소장 |
8 | 이지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에 의한 co-creation 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 : 그린카드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9 | 4차 산업혁명 시대, 서울 제조업의 특성과 정책제언 | 소장 |
10 | 오수진, 나건, 「신진 패션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한 국내· 외 정책 비교 및 분석: 영국과 한국의 패션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4, 2015 | 미소장 |
11 | 윤종진, 우명제, 「서울시제조업 집적지의 공간적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51(2), 2016 | 미소장 |
12 | 통계청, 동대문구 사업체조사보고서, 2017 | 미소장 |
13 | 한국콘텐츠진흥원, 『국내외 패션 유통 구조 및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 미소장 |
14 | 홍재양, 양해슬,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2014 | 미소장 |
15 | Bannon, L. J., & Ehn, P, 『Design: design matters in Participatory Design』, In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participatory design (pp. 57-83). Newyork, USA: Routledge, 2012 | 미소장 |
16 | Stakeholder salience in public sector value co-creation ![]() |
미소장 |
17 | Design Things and Design Thinking: Contemporary Participatory Design Challenges ![]() |
미소장 |
18 | Designers’ articulation and activation of instrumental design judgements in cross-cultural user research ![]() |
미소장 |
19 | Stickdorn, M., Schneider, J., 이봉원, & 정민주역, 『서비스디자인 교과서』, 파주: 안그라픽스, 2013 | 미소장 |
20 | Stickdorn, M. & Schneider, J, 『This is service design thinking: Basics, tools, cases』, Amsterdam, Netherlands: BIS Publishers, 2012 | 미소장 |
21 | Stickdorn, M., Hormess, M. E., Lawrence, A., & Schneider, J, 『This is service design doing: Using research and customer journey maps to create successful services』, California, USA: O'Reilly Media, Inc, 2018 | 미소장 |
22 | Co-Design and the public realm ![]() |
미소장 |
23 | https://www.mt.co.kr/ | 미소장 |
24 | Using the value creation framework to capture knowledge co-creation and pathways to impact in a transnational community of practice in autism education ![]() |
미소장 |
25 | Kleinsmann, M., & Valkenburg, R, 「Barriers and enablers for creating shared understanding in co-design projects」, Design studies, 29(4), 2008 | 미소장 |
26 | Co-creation and the new landscapes of design ![]() |
미소장 |
27 | The integration of Design Thinking and Strategic Sustainable Development ![]() |
미소장 |
28 | Co-Design as a Process of Joint Inquiry and Imagination ![]() |
미소장 |
29 | Steen, M., Manschot, M., & De Koning, N. 「Benefits of co-design in service desig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5(2), 2012 | 미소장 |
30 | Jang, S., Hong, M. & Lim, Y, 「Ally-Opponent Understanding : Co-existence of Conflicting Values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Design Works,2(2),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