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희경, 2003,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31-38. | 미소장 |
2 | 구인회, 2002,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빈곤 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8: 82-112. | 미소장 |
3 | 국가통계포털, 2019, “인구총조사:세대구성 및 자녀연령별 한부모 가구”, http://kosis.kr. | 미소장 |
4 | 국토교통부, 2019, “2019년 주거급여 사업안내”, https://www.myhome.go.kr. | 미소장 |
5 | 권경숙, 2008, “영아를 보육하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특성과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1): 229-255. | 미소장 |
6 | 김순옥‧김현숙, 2016,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462-473. | 미소장 |
7 | 김안나, 2014, “가구유형별 빈곤과 배제의 특성 연구”, 『가족과 문화』, 26(1): 237-265 | 미소장 |
8 | 김은지⋅장혜경⋅이미정⋅최인희⋅김혜경⋅여유진, 2011, 『청소년 한부모 생활실태조사 및 자립지원 방안 등 연구』, 여성가족부. | 미소장 |
9 | 김은지⋅최인희⋅송효진⋅배호중⋅최진희⋅배주현⋅성경, 2018, 『2018년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 미소장 |
10 | 김은정, 2005, “미국 복지개혁으로 인한 의무취업과 저소득 여가장의 자녀양육 부담”, 『사회복지정책』, 21(0): 85-109. | 미소장 |
11 | 김정민, 2016,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15(0): 91-104. | 미소장 |
12 | 김정주⋅김용미, 2007, “아버지의 역할수행, 결혼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13-137. | 미소장 |
13 | 김정희⋅정은주, 2012,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서비스 욕구 비교를 통한 가족지원전략”, 『유아특수교육연구』, 12(1): 165-190. | 미소장 |
14 | 김준기⋅양지숙, 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 미소장 |
15 | 김학주, 2006, “유자녀가구 유형별 빈곤의 사회경제적 특성연구”. 『한국인구학』, 29(3): 73-87. | 미소장 |
16 | 노영희⋅김상인, 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 미소장 |
17 | 뉴스1, “한부모⋅다문화⋅장애 학생 온라인 개학…"사실상 방치"”, 2020년 4월 4일. | 미소장 |
18 | 머니투데이, “초등 저학년 개학에…이건 엄마개학, 한부모가정 어떡해”, 2020년 4월 20일. | 미소장 |
19 | 문은영⋅김보람, 2010, 『서울시 한부모가족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 미소장 |
20 |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 소장 |
21 | 부모역할 중요도와 수행의 어려움 및 자신감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 소장 |
22 | Depression, Health Status, and Parenting Str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in Poverty | 소장 |
23 | 방경숙⋅김성재⋅정예슬⋅송민경⋅이금희⋅임지희, 2019, “국내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분석”, 『스트레스硏究』, 27(4): 287-297. | 미소장 |
24 | 베이비뉴스, “지독한 가난을 증명해야 하는 ‘선' 밖의 한부모”, 2020년 4월 3일. | 미소장 |
25 | 성미애⋅진미정, 2009,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가족과 문화』, 21(3): 1-28. | 미소장 |
26 | 손병돈, 2010, “빈곤심도별 빈곤 결정요인 비교: 극빈층과 일반빈곤층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0(1): 3-28. | 미소장 |
27 | 손서희, 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59-75. | 미소장 |
28 | 신송이, 2016, “모성 이데올로기로 인한 양육 초기 여성의 어려움”, 『연세상담코칭연구』, 6: 57-80 | 미소장 |
29 | A Study on Caregiving Burdens and Social Support about the Low-income Families of Single Parents | 소장 |
30 | 옥선화⋅성미애, 2004,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과 이혼 후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2): 141-160. | 미소장 |
31 | 유순기⋅최빛내, 2019, “미취학 자녀를 둔 모자원 거주 한부모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분석”, 『문화와 융합』, 41(2): 1083-1116. | 미소장 |
32 | 유현숙⋅곽현근, 2007, “여성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연구임대아파트지역을 중심으로”,『사회복지연구』, 34: 245-272 | 미소장 |
33 | 윤혜미⋅류나미, 2007, “가족기능,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33: 215-236. | 미소장 |
34 | 여성가족부, 2017,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현황”, http://www.mogef.go.kr. | 미소장 |
35 | 여성가족부, 2018a, “2018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조사지침서”, http://www.mogef.go.kr. | 미소장 |
36 | 여성가족부, 2018b, “미혼모·부 한부모 가족을 위한 복지서비스 안내”, http://www.mogef.go.kr. | 미소장 |
37 | 여성가족부, 2020, “한부모가족지원정책”, http://www.mogef.go.kr. | 미소장 |
38 | 연합뉴스, "한부모가족 절반이 생계 문제..코로나19 직격탄”, 2020년 3월 22일. | 미소장 |
39 | 이완정, 2009, “취업모의 일-자녀양육 양립 부담감과 영유아기 자녀를 위한 시간연장 보육서비스 요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4): 117-126. | 미소장 |
40 | 이순형⋅이보람⋅김희정, 2019, “북한이탈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양육 어려움과 양육지원 요구”, 『열린부모교육연구』, 11(4): 227-249. | 미소장 |
41 | 이윤주⋅진미정, 2013, “영유아기 기혼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51(2): 229-239. | 미소장 |
42 | 이은경, 2016,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사회자본과 부모역할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서의 관계”,『열린유아교육연구』, 21(4): 27-48 | 미소장 |
43 | 이은주⋅김혜영⋅윤홍식, 2005, “빈곤 여성가구주의 자녀양육과 보육지원”, 『아동과 권리』, 9(4): 847-867. | 미소장 |
44 | 이재경⋅이은아⋅조주은, 2006,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생활 변화와 한계”, 『한국여성학』, 22(2): 41-79. | 미소장 |
45 | 이주택, 1993, “주거환경 만족도 요인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이혜정, 2019, “가족요인과 사회적 차별이 이혼한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1): 145-151. | 미소장 |
47 | 임승학, 2018, “거주자의 주거 하향이동이 심리·사회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가구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임우석, 2009, “사회적 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임종호, 2014,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 임금근로자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132-143. | 미소장 |
50 | The Image of Mother's Role of Expectant Mothers | 소장 |
51 |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of Korean Adults: Focusing on Depression | 소장 |
52 | 정미라⋅곽은순⋅윤장숙, 2007, "저소득층과 일반계층 아동의 양육 실태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47-369. | 미소장 |
53 | 정은주⋅이미선, 201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 어려움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부부 의사소통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4): 485-510. | 미소장 |
54 | 정혜림, 2012,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 67-97. | 미소장 |
55 | 최윤정, 2019, "여성 한부모의 우울, 불안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20(1): 101-111. | 미소장 |
56 | 최형성⋅정옥분,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2(1): 51-67 | 미소장 |
57 | 최혜진, 2019,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종사상 지위와 일-가족 갈등”, 『한국사회복지학』, 71(1): 201-224. | 미소장 |
58 | 프레시안, “1년 5000만원으로 8000 미혼모를 지원한다고요?”, 2018년 08월 23일. | 미소장 |
59 | 하성규⋅이성우⋅황재희⋅전희정⋅서원석⋅서종균, 2012, "한국주거복지정책: 과제와 전망”.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60 |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및 부부 관계 적응 | 소장 |
61 | 한준아⋅김지현⋅조윤주, 2014, "유아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우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18(4): 525-544. | 미소장 |
62 | A case study of parenting difficulties for a multicultural family | 소장 |
63 | Social Capital, Parenting, and African American Families ![]() |
미소장 |
64 | Conceiving and Investigating Motherhood: The Decade's Scholarship ![]() |
미소장 |
65 | Parenting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t high risk for early conduct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 |
미소장 |
66 |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 |
미소장 |
67 | Parenting Stress in Mothers and Fathers of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sociations with Child Characteristics ![]() |
미소장 |
68 | The Relationship of Women's Role Strain to Social Support, Rol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 |
미소장 |
69 | Parenting in Poverty ![]() |
미소장 |
70 | Lay therapy intervention with families at risk for parenting difficulties: The Kempe Community Caring Program ![]() |
미소장 |
71 | The Role of Parental Beliefs in the Family as a System of Mutual Influences ![]() |
미소장 |
72 |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fect postpartum parenting stres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 |
미소장 |
73 | The family model stress and maternal psychological symptoms: mediated pathways from economic hardship to parenting. ![]() |
미소장 |
74 | Putnam, Robert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Spring:1-11. | 미소장 |
75 | Stress, Support, and Antisocial Behavior Trait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Well-Being and Parenting Practices among Single Mothers ![]() |
미소장 |
76 | Toward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ork Spillover into Family Life ![]() |
미소장 |
77 |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of parenting. ![]() |
미소장 |
78 | Work Role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 |
미소장 |
79 | The seriously mentally ill woman in the role of parent: Characteristics, parenting sensitivity, and need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