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미라·윤정헌(2019). 관광활동, 치유체험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MICE관광연구』, 19(3), 23-43. |
미소장 |
2 |
김선주(2017). 인성교육 진흥법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한 대학생용 인성 척도 개발. 『교양교육연구』, 11(3), 217-258. |
미소장 |
3 |
김소라·임진선·최상진(2016). 여가활동으로 참여하는 태권도 수련경험이 인성발달과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54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논문』, 217-217. |
미소장 |
4 |
김영규·박은숙(2012).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관광 선호유형 차이 분석. 『관광연구』, 27(4), 99-115. |
미소장 |
5 |
김영우(2004). 해외여행객의 관광유형이 여행상품구매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5(1), 135-153. |
미소장 |
6 |
김영우·김홍범(2006). 관광동기 및 관광유형선택에 따른 관광행동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8(4), 153-172. |
미소장 |
7 |
김영옥·이연주·이연화(2019). 숲 체험을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49-77. |
미소장 |
8 |
김정수·전명숙(2016). 치유여행의 자아이미지 재고요인 분석.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2(4), 249-258. |
미소장 |
9 |
박성미·허승희(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아동교육』, 21(3), 35- 47. |
미소장 |
10 |
박영민(2018). 교과와 인문생태체험을 연계한 인성교육 자료 개발. 『문학과 환경』, 17(2), 115-168. |
미소장 |
11 |
박정준(2012). 스포츠맨십의 발달 수준과 영역에 관한 경험적 탐색: 중학교 체육수업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0(3), 221-246. |
미소장 |
12 |
박홍석·이하원(2017). 청소년 인성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 『도덕윤리과교육연구』, 56, 25-56. |
미소장 |
13 |
손병덕·오혜정·허계형(2019). 문화예술교육이 농산어촌 지역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6(11), 185-206. |
미소장 |
14 |
송인섭(2012). 영재아를 중심으로 한 자아개념 증진에 대한 경험적 연구. 『영재와영재교육』, 11(2), 25-46. |
미소장 |
15 |
안세권(2008). 내성과 자기인식. 『범한철학』, 49, 171-188. |
미소장 |
16 |
여호근·김재원(2014). 해양레저 및 관광활동 유형별 선호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6), 27-42. |
미소장 |
17 |
오미숙·오미영(2015) 미국 내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관광활동 참여의사 및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9(8), 63-78. |
미소장 |
18 |
우정민(2014). 『자연놀이 중심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유아의 바른 인성 함양 과정』. 대구교육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윤민지·유성경(2013).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사고, 의미발견 및의미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147-167. |
미소장 |
20 |
윤설민·김흥렬(2008). 20-30대 관광객의 성격유형과 관광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관광연구저널』, 22(3), 5-21. |
미소장 |
21 |
이세나·이정원(2017).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관광활동, 만족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연구. 『관광레저연구』, 29(3), 21-35. |
미소장 |
22 |
이승범·진지형(2016). 자유학기제 적용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행복도, 인성,진로에 관한 인식 분석. 『관광레저연구』, 28(2), 347~359. |
미소장 |
23 |
이영숙·박선숙(2014). 아스트롤로지를 활용한 상담과 위기 청소년의 자기인식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272-284. |
미소장 |
24 |
이윤선·강혜영·김소정(2013). 학생 인성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윤리교육연구』, 31, 261-282. |
미소장 |
25 |
이정순(2008). 관광활동, 관광만족, 웰빙지각의 한·중·일 국가 간 비교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 논문집』, 643-655. |
미소장 |
26 |
이정미·박홍석(2017). 자기인식척도(SAS)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18(5), 21-40. |
미소장 |
27 |
이하원·박홍석(2017). 대학생의 인성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8(2), 115-139. |
미소장 |
28 |
이현숙(2019). 대학생의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와 인성발달 수준과의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2), 53-75. |
미소장 |
29 |
장경미·백지숙(2019).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 및 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19, 53-74. |
미소장 |
30 |
정창우·손경원·김남·신호재·한혜민(2014). 학교별 인성교육 실태 활성화 방안. 교육부. |
미소장 |
31 |
조연순(2007).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변화와 인성교육의 요구.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미소장 |
32 |
주영애·최배영·김선주·박홍석(2015). 여대생의 자존감, 자기인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영향. 『여성연구논총』, 17, 67-97. |
미소장 |
33 |
지나영·이경화(2012). 유아의 창의적 리더쉽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2(1). 5-28. |
미소장 |
34 |
지은림·도승이·이윤선(2013). 『인성지수 개발 연구』. 교육부. |
미소장 |
35 |
최나영·조남기(2019).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서의 인성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4), 97-110. |
미소장 |
36 |
최승묵·박정숙(2012).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관광연구논총』, 24(2), 25-47. |
미소장 |
37 |
최승묵·박정숙(2013). 삶에 있어 관광 중요도, 관광활동 참여, 삶의 질 간 영향 분석. 『관광연구논총』, 25(4), 25-43. |
미소장 |
38 |
한국교육학회(1998). 인성교육. 서울: 문음사. |
미소장 |
39 |
현주·한미영·임소현(2015). 한국 초중등학생을 위한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1), 83-106. |
미소장 |
40 |
MARKET POSITIONING ANALYSIS  |
미소장 |
41 |
Coping, meaning in life, and suicidal manifestations: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  |
미소장 |
42 |
Relational Narratives of the Self *  |
미소장 |
43 |
Purpose in Life, Satisfaction with Life, and Suicide Ideation in a Clinical Sample  |
미소장 |
44 |
Im, S. B.(2006). Communication education in nursing: to promote self- awareness. Korean Journal Health Communicantion, 1, 59-66. |
미소장 |
45 |
Promoting self-awareness in nurses to improve nursing practice  |
미소장 |
46 |
Lehto, X. Y., OLeary, J. T., & Morrison, A. M.(2004). The effect of prior experience on vacation behavior.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4), 801-818. |
미소장 |
47 |
Eleven Principles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
미소장 |
48 |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
미소장 |
49 |
Pearson, Q., & Nicholson, J.(2000).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38(4), 243-251. |
미소장 |
50 |
Yalom, I. D., & Leszcz, M. C.(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NY: Basic Book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