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경래, “소년비행의 원인으로서 빈곤과 사회적 배제 : 다문화가족의 비행소년에 대한 사회적 포섭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26호, 2014.8, 371-409면. | 미소장 |
2 | 강경래, “소년비행억제정책으로서의 Teen Court에 관한 고찰,”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5호, 2010.12, 31-61면. | 미소장 |
3 | 강경래, “소년비행과 부모의 책임,”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6호, 2011.6, 1-35면. | 미소장 |
4 | 권해수·김현정, “청소년비행 예방센터에 의뢰된 초기 단계 비행청소년을 위한 대안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4(2), 2013.5, 261-290면. | 미소장 |
5 | 김경숙, 남현우, “청소년비행 예측요인의 종단적 변화 : 유대, 모델링, 발달시기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7(2), 2010.2, 279-308면. | 미소장 |
6 | 김선영, “자기통제력과 기회요인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12, 203-216면. | 미소장 |
7 | 김성은, “소년비행예방 기본계획」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소년법제의 개정문제와 관련하여,”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강원법학 제57호, 2019.6, 217-241면. | 미소장 |
8 | 김은경·김지선·이승현 외 3명, “21세기 소년사법 개혁의 방향과 과제(Ⅰ) : 제Ⅰ부 청소년비행 및 소년사법정책 현황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7.12, 11-231면. | 미소장 |
9 | 김정규, “청소년비행 원인의 비교분석 : 가부장적 요인과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8.12, 50-68면. | 미소장 |
10 | 사회학 분야에서의 청소년비행연구 동향과 과제 | 소장 |
11 | 김지선, “청소년비행예방을 위한 결연관계의 새로운 모델: 멘터링 프로그램(mentoring program),”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9호, 2005, 257-300면. | 미소장 |
12 | Study on Trends of Researches on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 소장 |
13 | 남순현·김지혜, “청소년비행 유발의 문화간 차이 : 모방인가? 문화이탈인가?,”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2008.6, 150-151면. | 미소장 |
14 | AN ETIOLOGICAL STUDY OF JUVENILE DELINQUENCY :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LATED CAUSAL FACTORS | 소장 |
15 | 노성호,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가정, 학교, 친구요인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5.9, 295-330면. | 미소장 |
16 | 노성호, “청소년비행에 대한 생애과정이론과 잠재적 특성이론의 경험적 비교,”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7.12, 243-275면. | 미소장 |
17 | 박봉진, “결손가정의 청소년비행 원인분석과 대책,”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法學論文集 35(3), 2011, 27-52면. | 미소장 |
18 | 박영규,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개선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20호, 2012.10, 87-115면. | 미소장 |
19 | 박윤창·이미경·윤진, “자극추구동기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5(1), 1995.6, 377-386면. | 미소장 |
20 | 박찬걸,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 관련 법령의 정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9호, 2012.6, 167-205면. | 미소장 |
21 | 박현수·박성훈·정혜원,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1), 2009.2, 227-251면. | 미소장 |
22 | 송광정·이종원, 이재룡 외 1명, “소년비행의 국제비교-세계 주요국의 소년비행과 소년사법의 동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연구정보자료, 1991.12, 10-133면. | 미소장 |
23 | 송주영, “〈번역문〉 청소년비행에 있어서 아동학대의 영향에 대한 연구 : 서양의 사례연구에 대한 검토,”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6호, 2011.6, 183-193면. | 미소장 |
24 | 심수현, “청소년유해환경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공간회귀분석의 적용,”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경찰학연구 20(2), 2020.6, 211-233면. | 미소장 |
25 | 양만우,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변동 : 자동차 보급과 청소년비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사회개발연구 제31호, 1993.12, 211-255면. | 미소장 |
26 | 옥필훈, “소년비행의 실태와 보호관찰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제52호, 2011, 195-226면. | 미소장 |
27 | 원혜욱, “소년비행예방센터의 현황과 과제,”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2호, 2009.6, 75-98면. | 미소장 |
28 | 윤우석, “가족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부모의 양육과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11.3, 137-172면. | 미소장 |
29 | 이경상·이순래·박철현 외 2명, “범죄유발적 지식구조와 청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12, 9-77면. | 미소장 |
30 | 이경상·이순래·박철현 외 1명, “청소년비행의 상습화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12, 10-78면. | 미소장 |
31 | 이선행, “학교교육의 문제와 소년비행에 관한 고찰,” 한국경찰학회 한국경찰학회보 6(1), 2004, 229-245면. | 미소장 |
32 | 이성식, “청소년비행 원인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 청소년패널 두 연령집단에서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7.6, 265-292면. | 미소장 |
33 | 이석형, “청소년비행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신학대학교 신학과 목회 제28호, 2007.12, 363-394면. | 미소장 |
34 | 이성식,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주요 이론들의 검증에 관한 연구 : 종단적 패널연구자료의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6.9, 5-33면. | 미소장 |
35 | 이성식, “가부장적 가정의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2(3), 2011.8, 97-117면. | 미소장 |
36 | 이성식,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친구의 청소년비행에의 영향 : 청소년 패널자료의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18(2), 2007.8, 159-181면. | 미소장 |
37 | 이성식, “가정과 청소년비행 : 주요 이론들의 매개과정을 통한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3.9, 175-207면. | 미소장 |
38 | 이성식·전신현, “청소년비행 설명에 있어 역할정체성 관련 긴장과 통제 : 수정된 두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13.12, 233-255면. | 미소장 |
39 | 구조적·문화적 특성의 차이를 통한 청소년비행의 원인고찰 | 소장 |
40 | 이성식, “청소년비행에서 개인성향요인과 사회학습요인들의 조건적 효과 : 두 이론의 검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11.12, 347-368면. | 미소장 |
41 |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7.9, 1,105-1,127면. | 미소장 |
42 | 이순래·이경상, “생활긴장이 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교환경에 대한 위계적 선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10.12, 5-32면. | 미소장 |
43 | 이순래, “지속적 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연구 : Moffitt의 이질적 비행발생론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 2005.12, 269-300면. | 미소장 |
44 | 이윤호, “미국에 있어서의 청소년비행자를 위한 거주 및 지역사회봉사의 추세,” 한국교정학회 한국교정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1994.4, 33-44면. | 미소장 |
45 | 이정주, “소년비행 및 범죄예방을 위한 학교 내 보호관찰(School-Based Probation)의 도입에 대한 검토,”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2호, 2009.6, 269-298면. | 미소장 |
46 | 이재현, 이상철, “청소년비행보호요인 및 환경요인간 상호작용이 청소년비행위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5(1), 2008.2, 407-430면. | 미소장 |
47 | 이춘화, “소년비행처리절차에 관한 한일비교–심판전 조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999.12, 1-76면. | 미소장 |
48 | 청소년비행 연구의 통합적이론 모형 | 소장 |
49 | 이훈재, “중앙행정기관의 청년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비행 예방이론적 관점에서의 분석 : 청소년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31(3), 2018.8, 347-377면. | 미소장 |
50 | 전신현, “학교적응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초, 중, 고 세학령별 연구,”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 2019.1, 73-97면. | 미소장 |
51 | 청소년비행화과정 연구 | 소장 |
52 | 정소희,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자아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 비행친구와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9(1), 2007.2, 145-170면. | 미소장 |
53 | 정익중, “청소년비행 발달궤적의 다양한 유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3), 2009.8, 253-280면. | 미소장 |
54 | 정재준·원혜욱,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소년보호교육기관의 역할확대 및 강화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3.12, 13-202면. | 미소장 |
55 | 정혜원·박윤환, “신 비행지표 활용을 통한 청소년비행에 대한 무단결석의 역할 분석 : 학교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20호, 2012.10, 269-305면. | 미소장 |
56 | 조윤오·이미정, “경찰다이버전 단계에서의 소년비행과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공안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2), 2011, 223-251면. | 미소장 |
57 | Tammy Nickell·조역일·이완희, “The Etiology of Intelligence on Juvinile Delinquenc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한국치안행정학회 한국치안행정논집 14(3), 2017, 195-216면. | 미소장 |
58 | 표갑수, 이진성, “중학생의 귀인성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6(1), 2009.2, 251-270면. | 미소장 |
59 | 허경미, “사회적 발달이론 관점에서의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개선방향,” 한국소년정책학회 소년보호연구 제15호, 2010.12, 131-164면. | 미소장 |
60 | 황성현, “청소년비행에서 비행친구가 선행하는가, 비행이 선행하는가? :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23(2), 2016.6, 53-70면. | 미소장 |
61 | 황성현, 이강훈, “청소년비행의 원인에 관한 사회학습, 사회유대, 일반 긴장이론적 접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4(3), 2013.8, 127-145면. | 미소장 |
62 | Arthur S. Reber, & Emily S. Reber, “Dictionary of Psychology,” New York: Penguin Reference (2001). | 미소장 |
63 | Snyder, J., & Patterson, G. “Family interaction and delinquent behavior,” In H. C. Quay (Ed.), Wiley series on personality processes, Handbook of juvenile delinquency, John Wiley & Sons (1987), pp.216–24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