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7~18세기 중반 중앙정부의 各司員役 감축 노력과 그 의의 =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s efforts to reduce public officials between the 17th and the mid 18th centuries / 최주희 1

目次 1

국문요약 1

I. 머리말 2

II. 17세기 각사원역의 입역 방식 변화 5

III. 18세기 전반 서리·서원의 감축과 한계 14

IV. 18세기 중반 각사원역의 감축과 그 의의 23

V. 맺음말 34

참고문헌 36

[부표] 38

Abstract 5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시대 관상감의 曆書 편찬과 인쇄 = The calendar publication of the Gwansang'gam 觀象監 in the late Joseon period 박권수 p. 47-79

보기
17~18세기 중반 중앙정부의 各司員役 감축 노력과 그 의의 =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 Dynasty's efforts to reduce public officials between the 17th and the mid 18th centuries 최주희 p. 275-334

보기
仁祖 후반 鶴州 金弘郁의 현실인식과 재정개혁론 = Kim Hong-wook's realistic perception and fiscal reform theory in the second half of King Injo 임성수 p. 121-152

보기
南龍翼이 본 日本의 경제와 풍경 : Nam Yong-ik’s view about the wealth and the scenery of Japan : focusing on 『Busangrok』 and 『Mungyeonbyeolrok』 / 『扶桑錄』과 『聞見別錄』을 중심으로 허창회 p. 153-195

보기
숙종·영조대 大王大妃 上尊號儀의 시행과 의의 = Sangjonhoui during the reigns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 implementation and significance 우정 p. 239-273

보기
조선시대 전라도 수령의 출신성분과 재임실태 : The origins and service years of Suryeongs in the Jeolla province during Joseon : with a focus on Jeollanam province /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권기중 p. 7-46

보기
조선 현종대 문과급제자의 관직 경로와 배경 = The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and background of the passers of the Munkwa-examination (文科及第者)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in Joseon 나영훈 p. 197-238

보기
조선전기 座目의 운영과 당상관 인사 관행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Jwamok(座目) and HR practice of Dangsangkwan(堂上官)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소순규 p. 81-119

보기
1858년 암행어사의 전울산부사 沈遠悅 감찰 = The secret inspection of Sim Won-yeol, the former governor of Ulsan, in 1858 송수환 p. 335-376

보기
2011년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 『읍지』 74책의 유래와 특징 =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Eupji 74 volumes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which taken back in 2011 이재두 p. 377-410

보기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經國大典』 미소장
2 『續大典』 미소장
3 『朝鮮王朝實錄』 미소장
4 『備邊司謄錄』 미소장
5 『承政院日記』 미소장
6 『磻溪隨錄』 미소장
7 『頤齋亂藁』 미소장
8 강명관, 『조선후기 여항문학 연구』, 창작과비평사, 1997. 미소장
9 비변사 편, 조영준․최주희 역해, 『貢弊』, 아카넷, 2019. 미소장
10 송수환, 『朝鮮前期 王室財政 硏究』, 집문당, 2000. 미소장
11 신해순, 『朝鮮前期의 京衙前 硏究』,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86. 미소장
12 한충희, 『朝鮮初期 官衙硏究』, 국학자료원, 2007. 미소장
13 강만길, 「관업에서의 임노동제의 발달(2)-皂隸와 羅將의 고립화를 중심으로」, 『朝鮮時代 商工業史 硏究』, 한길사, 1984. 미소장
14 송양섭, 「균역법의 시행과 균역청의 재정운영」,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미소장
15 Study on the Soban Kyong`ajon(西班京衙前) in early Choson Dynasty 소장
16 원재영, 「朝鮮後期 京衙前 書吏 硏究-19世紀 호조서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朝鮮時代史學報』 32, 2005. 미소장
17 유봉학, 「≪公事記攷≫에 나타난 19세기 서리의 생활상」, 『藏書閣』 13, 1993. 미소장
18 이정란, 「고려․조선전기 王室府의 재정기구적 면모와 운영방식의 변화」, 『韓國史學報』 40, 2010. 미소장
19 이주영, 「한문단편의 ‘겸인(傔人)' 소재와 그 의미」, 『민족문학사연구』 67, 2018. 미소장
20 장동표, 「18․19세기 吏額增加의 현상에 관한 硏究」, 『역사와 세계』 9, 1985. 미소장
21 장동표, 「조선후기 군현단위의 부정부패와 이서층 중심의 포흠」 『韓國史硏究』 130, 2005. 미소장
22 전경목, 「조선 후기 지방 명문 출신의 관리와 경아전의 관계망」, 『藏書閣』 30, 2013. 미소장
23 전형택, 「조선후기 노비노동에 있어서 고립제의 전개」,『변태섭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5. 미소장
24 정연식, 「17․18 세기 良役均-化政策의 推移」, 『韓國史論』 13, 1985. 미소장
25 최주희, 「18세기 중반 『탁지정례(度支定例)』류(類) 간행의 재정적 특성과 정치적 의도」, 『역사와 현실』 81, 2011. 미소장
26 최주희, 「영조대 중반 균역법 시행논의와 『宣惠廳定例』의 간행」, 『韓國史硏究』 164, 2014. 미소장
27 최주희, 「대동법(大同法) 시행 이후 중간비용의 처리양상과 과외별역(科外別役)의 문제」, 『大東文化硏究』 92, 2015. 미소장
28 최주희, 「16세기 말~17세기 전반 唐糧의 성격에 대한 검토」, 『朝鮮時代史學報』 89, 2019. 미소장
29 周藤吉之, 「高麗朝より朝鮮初期に至る王室財政-特に私藏庫の硏究」, 『東方學報』 10, 193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