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와 논리 분석 = A critique on the meaning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its logic / 조석훈 1

요약 1

I. 서론 2

II.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 4

1. 정상(normal) : 이념(ideal) vs 현실(real) 4

2. 정상화 : '공교육 병약론' × '교육병리론' 5

3. 공교육 정상화 : 백신 vs 치료제 8

III. 공교육 정상화의 논리 10

1. 공교육 정상화와 학벌주의 10

2. 공교육 정상화와 학교 교육 내실화 13

3. 공교육 정상화와 학부모 신뢰 : 고상한 학부모 vs 현실적 학부모 16

IV. 결론 18

참고문헌 21

ABSTRACT 2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팀제의 학교조직 적용 가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eam system to school organization 김제현, 김도기, 김지선 p. 275-299

보기
잘 가르치는 교수의 특징과 영향 요인 탐색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rofessors who teach well : case study of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 A 연구중심대학 사례연구 이승희, 김수연, 변기용 p. 101-131

보기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문화와 전문학습공동체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school organization effectiveness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이석열 p. 133-156

보기
공교육 정상화의 의미와 논리 분석 = A critique on the meaning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its logic 조석훈 p. 1-25

보기
교수노동조합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 Issues and tasks in legislation of the professor’s union 고전 p. 27-46

보기
「학교폭력예방법」개정에 따른 행정심판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Administrative Judgement Committee according to the revision「Act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aion」: a case study on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 경상북도교육청 행정심판위원회의 재결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숙 p. 73-100

보기
Gronn, Spillane & Harris의 분산적 지도성 이론 및 연구에 관한 연구 = Distributed leadership of Gronn, Spillane, and Harris research on theory and research 이창수 p. 249-273

보기
교육용 콘텐츠의 자유로운 개발과 활용을 위한 법령 및 제도 정비 방안 탐색 = Exploring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he fre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김덕근 p. 47-72

보기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과 학교 수준 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policy in Korea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s 문찬주, 정설미, 이영선, 정동욱 p. 157-184

보기
대학 보직자가 생각하는 지역혁신과 지방대학 역할 이해 = Understanding region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perceived by university administrative professors 염민호 p. 215-248

보기
4년제 대학교 교원 집단 안의 성불평등 구조 변화와 교원 승진에 대한 성별 효과 탐색 =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inequity i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 a historical review and empirical exploration 변수연 p. 185-214

보기

참고문헌 (6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희룡. (2015). 공교육 정상화, 혁신학교, 그리고 절합의 정치학. 교육과정연구, 33(1), 1∼18. 미소장
2 과외교습대책위원회. (2000). 과열과외 예방 및 공교육 내실화 방안 종합보고서. 정책자료(2000.6). 미소장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공교육 경쟁력 향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 정책자료(2009.6.3) 미소장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 정책자료(2011.5.19.). 미소장
5 교육부. (2014). 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 정책자료(2014.12). 미소장
6 교육부. (2018). 교육이 희망이 되는 사회. 2018 교육부업무보고 자료(2018.1). 미소장
7 교육부. (2019a).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2019.3.11). 미소장
8 교육부. (2019b). 고교 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정책자료(2019.11). 미소장
9 교육부. (2019c).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정책자료(2019.11.28.). 미소장
10 교육부. (2020).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 2020 업무계획(2020.3.2). 미소장
1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공교육 진단 및 내실화 대책. 정책자료(2002.3). 미소장
12 교육인적자원부. (2004a).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 정책자료(2004.2.17). 미소장
13 교육인적자원부. (2004b).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대책−질의·응답 자료−. 정책자료(2004.2.17). 미소장
14 김동석. (2015).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 교육혁신연구, 23(3), 151∼179. 미소장
15 김성천, 신철균. (2011). 인문계 고등학생의 선행학습 효과 분석 연구. 열린교육연구, 19(4), 87∼108. 미소장
16 김양분. (2002). 선행학습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개발, 135, 54∼56. 미소장
17 김영철, 박수현, 이윤식, 김경숙, 정택희, 이영길, 방선욱. (1981).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열과외 해소대책.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8 김용일. (2006). 한국 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탐색. 한국사회정책, 13(1), 49∼73. 미소장
19 김정민, 김일혁, 김정숙. (2013). 학교교육 내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0 학교교육의 위기와 공교육 이념의 재검토 소장
21 민현식, 백순근, 김태웅, 김찬종, 이의갑, 김희규. (2008).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기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2 박균열. (2006).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정책 결정체제 참여자들의 역할 조명−한·미 교육정책 결정체제 참여자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 167∼198. 미소장
23 박남기. (2018). 실력의 배신. 서울: 쌤앤파커스. 미소장
24 박도영, 배주경, 이광상, 이명진, 이상하, 이은경, 최인봉, 김성식. (2015). 공교육 정상화 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5 박성호, 문성빈, 황정원, 김성식, 황지원. (2015). 2014년 사교육비 및 사교육 의식조사 결과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26 박현정. (2008).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9(4), 91∼110. 미소장
27 송경오, 정성수. (2010).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이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8(3), 275∼299. 미소장
28 송경오. (2013). 사교육 수요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에 대한 메타분석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1), 1∼29. 미소장
29 신현석. (2003a). 공교육 위기현상의 분석과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구상. 한국교육, 30(1), 419-445. 미소장
30 신현석. (2003b).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교와 정부의 역할. 한국교육학연구, 9(1), 141∼178. 미소장
31 안선회. (2015).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1(6), 39∼69. 미소장
32 양림. (2016). 공교육정상화정책의 입법정책적 요인분석: “공교육정상화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 8(1), 421∼444. 미소장
33 양찬주. (2018). 수능영어 절대평가 정책과 사교육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34 유상덕. (200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혁신(안). 2004년도 교육정책과제 토론회 자료집(pp.43∼5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35 이경옥. (2015). 「공교육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안」의 정책의제 형성과정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3(3), 189∼213. 미소장
36 이미식, 김희재. (2013). 중학생 학부모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윤리교육연구, 31, 117∼138. 미소장
37 이승미, 김경희, 정은주, 김선희, 옥현진, 오수정. (2015).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초·중학교 교과 교육의 질 관리 방안−국어, 수학, 영어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38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현안과 개선과제 소장
39 이재덕, 김정민, 권순형, 김도기, 도승이. (2015). 학교 외부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 해소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0 이종재. (2003). 공교육 정상화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학회 창립 50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pp.73∼113). 서울: 한국교육학회. 미소장
41 이종재, 이희숙. (2008). 사교육 현상에 대한 세계적 동향 분석-사교육을 유발하는 수요기제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9(2), 203∼228. 미소장
42 이종재, 장효민. (2008). 사교육 대책의 유형에 관한 분석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9(4), 173∼200. 미소장
43 이종재, 최상근, 김현진, 유균상, 류방란, 현주, 윤종혁, 나정, 양승실, 김양분, 류한구, 이희숙. (2003). “사교육 문제”에 대한 대책: 공교육 교육력 강화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4 임소현, 박병영, 황준성, 백승주, 유경훈, 허은정, 김성열. (201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9).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5 정동철, 박영숙, 황준성, 한은정, 정필운, 서효현. (2015). 「공교육 정상화법」의 보완 방안 연구: 공교육 강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6 정시영, 주영효. (2017). 「공교육정상화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게임 이론적 분석: 선행학습 규제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5(5), 139∼161. 미소장
47 제2기 교육감 출범준비위원회 위원장. (2018). ‘다르게 새롭게’ 창의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혁신미래교육. 서울: 제2기 교육감 출범준비위원회. 미소장
48 학교교육 위기론을 통해 본 학교교육 내실화의 의미 소장
49 조난심, 양종모, 유정애, 정미경, 장연자. (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Ⅰ)−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의 운영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50 조석훈. (2020). 학교와 교육법, 제3판.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51 조혜영, 김성희. (200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1∼20. 미소장
52 조혜진. (2016).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의 정책결정오차와 오차 수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3(2), 55∼75. 미소장
53 최성욱. (2010).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인식의 재구성과 그 적용. 교원교육, 26(5), 127∼142. 미소장
54 한영주, 신을진, 박순주. (2018).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의 사교육 탈출기: 사교육 경감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21(2), 33∼71. 미소장
55 홍선주, 이명진, 최인선. (2016). 공교육정상화법의 성과와 한계를 통해 살펴본 공교육 정상화의 방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3), 1035∼1051. 미소장
56 홍선주, 홍미영, 이명진, 이덕난, 변자정, 정제영. (2016).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외국의 학교 교육 강화 정책 고찰.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57 홍진곤, 장보윤, 김경록, 진석언. (2006). 초등학교 수학영재의 수학교과 선행학습 정도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6(3), 123∼138. 미소장
58 황규성. (2013). 한국 사교육 정책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정치적 분석: 공급자의 동원능력과 시장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0(2), 233∼260. 미소장
59 Brickman, P., Coates, D., & Janoff-Bulman, R. (1978). Lottery winners and accident victims: Is happiness rela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917∼927. 미소장
60 Easy as (Happiness) Pie? A Critical Evaluation of a Popular Model of the Determinants of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61 The Tragedy of the Commons 네이버 미소장
62 Karpman, Stephen B. (1968). Fairy Tales and Script Drama Analysis. Transactional Analysis Bulletin, 26(7), 39∼43. 미소장
63 Karpman, Stephen B. (2007). The new drama triangles. USATAA/ITAA conference lecture(August 11, 2007). 미소장
64 The Impact of Prestige Orientation on Shadow Education in South Korea 네이버 미소장
65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네이버 미소장
66 Sponsored and Contest Mobility and the School System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