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주혜해(大珠慧海)와 위앙종(潙仰宗)의 선사상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Seon thoughts of Daejuhyehae and the Wiang sect. : centered on the theory of Donoipdoyomun / 『돈오입도요문론』을 중심으로 이현배 p. 3-35
『마하승기율』의 오정법(五淨法)과 사대교(四大敎) = The five Kappiya-dhamma(五淨法) and the Four Great Criteria(四大敎) in the Vinaya of the Mahāsāṅghikas 이자랑 p. [2], 91-113

유식 논서에 나타난 선심소 연구. A study on the kuśala-caitta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 centered on hrī·apatrāpya / 1, 참·괴를 중심으로 김명우 p. 221-244
불교개혁운동과 숲속수행 전통 : Buddhist reform movements and forest monk tradition : from the twelfth century’s purification of the Saṅgha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wo reformist fraternities / 12세기 승가정화에서부터 두 개혁 종단의 설립까지 김한상 p. [2], 357-378

天台声明과 眞言声明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endai Somyo and Shingon Somyo in Japanese Buddhist chants : through the performance for opening commemoration of 50th of Tokyo National Theatre / 동경국립극장 개장 50주년 기념공연을 통하여 윤소희 p. [2], 473-508

원효의 대승보살(大乘菩薩) 수행도 = Wonhyo's practice way of the Mahāyāna Bodhisattva : 『기신론소』와 『금강삼매경론』을 중심으로 김영미 p. 269-300
동일한 수행전통 내부에서 나타나는 지도 방식의 차이 : Differences in teaching methods within the same practice tradition : focusing on modern Ganhwaseon practice / 현대 간화선 수행을 중심으로 박성완 p. 65-88
『중론송』의 팔불연기는 연속적인가, 불연속적인가 = Is the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 continuous? or discontinuous? 조종복 p. 143-173
명월사지 사왕석(蛇王石) 부조의 인도 기원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ndian origin of the Nāga Rāja stone of Myeongwolsa Temple site 이거룡 p. 379-408
마하바라타의 '왕의 다르마'와 덕윤리 = The king’s Dharma and the ethics of virtue in the Mahabharata 김진영 p. [2], 409-434

현생 윤회와 현생 해탈, 그리고 受念處觀(Vedanānupassanā) = Nirvāṇa and Saṁsāra in ‘present’, and Vedanānupassanā 정영자 p. 115-141
『선원소류』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고찰 = A study on the seon-theory argument in SEONWONSORYU(禪源遡流) 김호귀 p. [2], 37-64

『14과류소(十四過類疏)』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14 Jāti commentary 오진영 p. 301-325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ntary of the Wubuqianlun(物不遷論) : centering around the commentaries of the Song(宋), Yuan(元), and Ming(明) Dynasty / 송·원·명대 주석을 중심으로 조병활 p. 327-355
『바가바드 기따』의 요가 : Yoga in the Bhagavadgītā : coexistence or mixture of introverts and extroverts / 향내성과 향외성의 공존 또는 혼성 박효엽 p. 435-470
說一切有部에 있어서 現觀道의 전개 : A study on the path of Abhisamaya (clear understanding) in Sarvāstivāda : focusing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bhisamaya / 현관의 개념이해를 중심으로 김경희 p. 175-198
초기유가행파의 진리 개념의 한 측면 = On the meaning of Tattvārtha in Bodhisattvabhūmi : 『보살지』「진실의품」의 tattvārtha(漢: 眞實義)를 중심으로 이길산 p. 199-219
法藏의 能詮敎體에 나타난 제문제 = A study of some questions appeared on the Fazang's nature of Buddha’s words 한민수 p. 245-268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 = 大正新脩大藏經. 미소장
2 WX = 大藏新纂卐續藏經. 미소장
3 B = 大藏經補編. 미소장
4 「物不遷論」, T45. 미소장
5 肇論疏(元康), T45. 미소장
6 肇論新疏, T45. 미소장
7 續傳燈錄, T51. 미소장
8 注肇論疏, WX54. 미소장
9 物不遷正量論, WX54. 미소장
10 物不遷論辯解, WX54. 미소장
11 「物不遷正量論證」, WX54. 미소장
12 肇論略注, WX54. 미소장
13 憨山大師夢遊全集, WX73. 미소장
14 新續高僧傳四集, B27. 미소장
15 御選語錄(一), 佛光大藏經·禪藏. 미소장
16 [元]中峰明本(1988), 山房夜話(禪林古鏡叢書 2), 陜川: 藏經閣. 미소장
17 杜建民(2007), 中國歷代帝王世系年表, 濟南: 齊魯書社. 미소장
18 吉田剛(2000), 「宋代における肇論の受容形態について」, 印度學佛敎學硏究 第49卷第1號, 日本印度学仏教学会. 미소장
19 趙炳活(2020), 「「물불천론(物不遷論)」 주석(注釋)의 특징 비교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제42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