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공교육환경과 교육만족도 : 강남학부모는 더 행복할까? / 이희철 ; 구교준 ; 박차늠 1
目次 1
요약 1
I. 서론 : 강남부모 행복 찾기 2
II.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3
1. 행복 결정요인과 교육 3
2. 행복 결정요인으로서 교육의 성격 전치 4
3.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6
III. 교육여건과 행복 7
1. 현상의 제시 : 강남(강남, 서초, 송파), 비강남 간 객관적 교육 지표의 차이 7
2. 현상의 평가 및 만족도 검증 13
IV. 결론 및 연구의 한계 16
참고문헌 17
부록 1 21
ABSTRACT 22
본 연구는 행복의 결정요인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에 대해, 자녀에게 더 나은 교육을 받게 해 줄 수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부모라면 다른 지역의 부모들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가정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강남과 비강남 지역의 교육 지표를 비교하여 객관적인 시각에서 교육 환경을 바라보았다. 또한 “국민시각에서의 국정재설계” SSK 사업단의 ‘시민의 공적생활수준에 관한 인식 조사(’13.11)’ 결과 및 서울서베이의 ‘공교육환경만족도 조사(’16~’17)’를 활용하여 강남 지역의 상대적으로 우수한 교육 환경이 실제로 높은 만족도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절대적인 여건이 나은 지역에서 자녀를 위한 교육계획이 원하는대로 실현되고 있을 때에도 상대적인 조건까지 충족되지 못한다면 만족하지 못하며, 지속적으로 교육 여건이 개선된다 할지라도 더 이상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이러한 결론은 중기적 관점에서의 공교육 설계에 함의를 제공해 준다. 교육여건을 개선한다는 미명하에 투입되는 막대한 교육예산을 중기적 관점에서 공교육을 확인하고 적절한 환경개선을 뒷받침 해주는 유다이모닉(eudaimonic)한 교육의 성격을 되찾아 오는 방향으로 활용하는 것이 교육공급자와 교육수요자 측면 모두에게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