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을 반영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인문학과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찾고자 한다. 연구는 포스트휴먼 인간 주체에 대한 논의와 예술 표현을 위한 기술적 상상력의 가치 및 미적 특징을 다루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담론을 통해 미술교육의 주체로서 아동에 대한 이해를 새로 넓히고 미술교육의 미래적 가치를 향상시킬 논리를 제시하였다. 세부 내용으로 1) 포스트휴머니즘의 주체 인식을 미술 교육에 적용하는 문제, 2) 미래교육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기술적 상상력’ 개념의 이해와 적용, 3) 포스트휴머니즘 미술의 미적 특성의 하나인 언캐니에 대한 이해와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미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살고 있는 아동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생산적 적용이 가능한 미술교육 실천에 대한 관점과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훈(2020). 존재, 무의식 그리고 섬뜩함: 섬뜩함에 관한 하이데거와 프로이드 이론의 미학적 의의. 미학. 86(2). 48-88. | 미소장 |
2 | 김서영(2003). 두려운 낯설음에 나타난 요약의 문제점. 현대정신분석. 5(1). 73-96. | 미소장 |
3 | 김은령(2014).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4 | 김재희(2014).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 주체가 될 수 있는가? 철학연구. 106. 215-242. | 미소장 |
5 | 김지현, 조재경(2018). 휴머노이드 로봇의 언캐니 이미지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1). 148-160. | 미소장 |
6 | 마정미(2008).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18. 193-212. | 미소장 |
7 | 문혜진(2018). 기계 시각과 포스트휴먼 주체: 박경근, 베르토프, 스노우의 카메라와 새로운 시지각. 현대미술사연구. 44. 147-178. | 미소장 |
8 | 박유신, 조미라(2017). 미래사회를 위한 포스트휴먼 교육. 미술교육논총. 31(2). 179-216. | 미소장 |
9 | 박유신, 안정민, 정보라, 조미라(2020). 인공지능 시대의 포스트휴먼 수업. 서울: 학이시습. | 미소장 |
10 | 박상우(2015). 빌렘 플루서의 사진과 기술이미지 수용론. 영상문화. 27. 87-114. | 미소장 |
11 | 심혜련(2015).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에 관하여. 미학예술학연구. 43. 3-30. | 미소장 |
12 | 안인기(2017).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으로 본 미술교육의 문제. 미술과 교육. 18(4). 1-17. | 미소장 |
13 | 유명자(2014). 언캐니-메커니즘과 이창래의 떠오름. 영어영문학연구. 40(3). 75-95. | 미소장 |
14 | 이은적(2018). 포스트휴먼 미술교육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823-844. | 미소장 |
15 | 이주연(2018). 미래 사회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조형교육. 66. 245-269. | 미소장 |
16 | 이찬웅(2014). 플루서의 매체 이론과 포스트휴머니즘. 기호학연구. 39. 97-118. | 미소장 |
17 | 임유영(2009). 빌렘 플루서의 기술적 상상력과 새로운 글쓰기. 인문학연구. 76. 317-343. | 미소장 |
18 | 장연자, 이주연(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술교육의 방향. 미술교육연구논총. 52. 67-94. | 미소장 |
19 | 전영백(2012). 포스트미니멀리스트 아니쉬 카푸어의 신체를 닮은 형이상학적 작업: 숭고와 언캐니 사이. 현대미술사연구. 32. 319-352. | 미소장 |
20 | 전혜숙(2015).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파주: 아카넷. | 미소장 |
21 | 전혜숙(2019).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 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미술교육논총. 33(3). 1-25. | 미소장 |
22 | 진중권(2003). 현대미학 강의-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파주: 아트북스. | 미소장 |
23 | Bachelard, G. (2020). 공기와 꿈(정영란 역). 서울: 이학사. (원저 1985 출판) | 미소장 |
24 | Bostrom, N. (2017). 슈퍼인텔리전스: 경로, 위험, 전략(조성진 역). 서울: 까치. (원저 2014 출판) | 미소장 |
25 | Braidotti, R. (2015). 포스트휴먼(이경란 역). 파주: 아카넷. (원저 2013 출판) | 미소장 |
26 | Flusser, V. (1999).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윤종석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원저 1983출판) | 미소장 |
27 | Flusser, V. (2004). 피상성 예찬-매체 현상학을 위하여(김성재 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원저 1995 출판) | 미소장 |
28 | Freud, S. (2003). 예술, 문학, 정신분석(정장진 역). 서울: 열린책들. (원저 1969 출판) | 미소장 |
29 | Haraway, D. (2019). 해러웨이 선언문(황희선 역). 서울: 책세상.(원저 2016 출판) | 미소장 |
30 | Hayles, C. (2013).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허진 역). 파주: 열린책들. (원저 1999 출판) | 미소장 |
31 | Hester, Y. (2019). Intimate and Grotesque. Retrieved from https://www.broadsheet.com. au/melbourne/art-and-design/article/ | 미소장 |
32 | Homes, W., Bialik, M., & Fadel, C. (2020).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정제영, 이선복 역).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서울: 박영사. (원저 2019 출판) | 미소장 |
33 | jagodzinski, j. (Ed). (2018). Interrogating the anthropocene: Ecology, aesthetics, pedagogy, and the future in question. NY: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34 | Kurzweil, R. (2007). 특이점이 온다: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장시형, 김명남 역). 서울: 김영사. (원저 2005 출판) | 미소장 |
35 | Murris, K. (2016). The posthuman chil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UK: Routledge. | 미소장 |
36 | Olsson, M. (2017).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운동과 실험(이연선 외 역). 서울: 살림터. (원저 2009 출판) | 미소장 |
37 | Pettman, D. (2011). Human error: Species-being and media machines. MN: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38 | Wolfe, C. (2010). What is posthumanism?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미소장 |
39 | 중앙일보, 초등학생 희망 직업, ‘유튜버’가 의사 제치고 3위. 2019. 12. 11일자. 14면. | 미소장 |
40 | http://dictionary.cambridge.org/ko/imagination | 미소장 |
41 | https://robotart.org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