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오철(2011), “입소문마케팅의 의미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입소문마케팅사례”, 마케팅, 45(3), 33-36. |
미소장 |
2 |
김신엽, 심성욱(2019), 디지털 옥외광고 매체효과측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21(4). |
미소장 |
3 |
김은호, 유동호, 도선재(2019), 페이스북 브랜드팬페이지에서 브랜드 충성도의 구축, 미디어경제와 문화, 17(1), 47-82. |
미소장 |
4 |
김인기, 전인오(2015), "소셜미디어 특성이 경영성과 및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시니어기업의 고객.마케팅 관리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195-207. |
미소장 |
5 |
배옥란(2020), “SNS 특성과 소상공인제품 구매의도간의 관련성 연구”, 한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 |
이지은,성동규(2013), 페이스북 이용과 대인네트워크 변화에 대한 한ㆍ 미 문화 간 비교 연구, 사회고학 연구, 24(1), 257-281. |
미소장 |
7 |
송수진(2018),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서 온라인경품 이벤트 특성이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8 |
신동의(2019), “유튜브 동영상 광고에 대한 소비자 인게이지먼트가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신재연(2019), “블로그 정보 특성이 제품구매 및블로그 만족, 구전,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유지혜(2017), “SNS이용자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유지혜, 정의(2015), SNS를 활용한 사회공헌 콘텐츠의 지속적 이용의도와 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2(2) |
미소장 |
12 |
정소은(2018), “미디어 공진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페이스북 라이브방송의 이용동기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조정현(2020), “자영업자의 SNS마케팅 전략이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4 |
지윤호, 허경석, 변정우(2013), “외식기업의 SNS 정보특성 충동 구매력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2(3), 119-134. |
미소장 |
15 |
함유근, 박성민(2011), SNS에 대한 4가지 오해, [SERI] SERI 경영노트. |
미소장 |
16 |
황장선, 김은혜, 조정식(2006), “웹사이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인지된 상호작용성, 인터넷 이용 동기 및 관여도”, 한국광고학보, 8(1), 159-186. |
미소장 |
17 |
Boyd, D. M., & Ellison, N. B (2008),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
미소장 |
18 |
Blogging: A new play in your marketing game plan  |
미소장 |
19 |
Blood, R (2002), The Weblog handbook : practical advice on creating and maintaining your blog, Perseus Books Group. |
미소장 |
20 |
Wag the Blog: How Reliance on Traditional Media and the Internet Influence Credibility Perceptions of Weblogs among Blog User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