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학치료를 활용한 교육현장 사례 연구 = A study of the field analysis of literary therapy education : 국어국문학과에 개설된 문학치료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하은하 p. 9-45
아동학대 피해자의 방어기제 양상과 치유적 서술 방식 연구 : A study on defensive mechanisms and healing narratives for child abuse victims : focusing on Hye-young Pyun's "Manhole" and Jung-eun Hwang's "The Elephant Train at 7 : 32" / 편혜영의 「맨홀」과 황정은의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를 중심으로 한아름 p. 201-229
구비설화 <내 복에 산다> 각편을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서사 진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for diagnosing adolescents' epic of self test using the folktale <My Own Good Fortune> : 설화에 대한 반응과 동화창작을 중심으로 김혜미 p. 153-200

문학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How does literary therapy work? : focused on individual literary therapy cases / 개인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상 p. 47-82

메타픽션을 활용한 창작자의 자기치료 : Self-treatment using metafiction : focus on the parody and conversational writing of Kim Young-ha's "Arang is Why" / 김영하 『아랑은 왜』의 패러디와 대화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이명미 p. 231-260
임상 현장에서의 문학치료의 의미와 방법 고찰 : A study on the meaning and methods of literary treatment in clinical field : based on the clinical experience of literary therapy as a follow-up generation / 후속세대로서의 문학치료 임상경험을 중심으로 백세영 p. 83-112
한국 구전설화 <도통하러 떠난 세 사람>에 나타난 '돌(石) 삶기' 화소의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of “boiling stones” motif in Korean folktales the <Three People who Went to Spiritual Enlightenment> 박시언 p. 293-330
영화 <해적: 바다로 간 산적>(2014)을 통해 본 현대인의 사회서사 = Contemporary people's social epic of The Pirates(2014) 박주은 p. 261-291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정신문화원, 『한국구비문학대계』 미소장
2 강명혜,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온지논총』 48, 온지학회, 2016. 미소장
3 강진옥, 「‘꽃 피우기 내기’로 구현되는 창세신화의 신화적 원리와 세계관념-<천지왕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50, 한국구비문학회, 2018. 미소장
4 김정은,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5 김정은, 「조선 후기 <요지연도(瑤池宴圖)>에 표현된 생명관: 도교적(道敎的) 생명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6 김정은, 『옛이야기와 자기발견의 스토리텔링』, 그래비티북스, 2020. 미소장
7 김진영, 「성불담의 유형별 작화전력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 109-4, 충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8 김한상,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불교학연구』 54, 불교학연구회, 2018. 미소장
9 미르치아 일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 까치, 2013. 미소장
10 박현희, 「조선시대 괴도석(怪石圖)에 나타난 ‘돌(石)’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58,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미소장
11 서영배, 「구약성서에 나타난 돌의 용례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2 신동흔, 「서사적 화두를 축으로 한 화소 · 구조 통합형 설화 분석 방법 연구」, 『구비문학연구』 46, 한국구비문학회, 2017. 미소장
13 신동흔, 『살아있는 한국 신화』, 한겨레출판사, 2014. 미소장
14 신동흔, 『스토리텔링 원론–옛이야기로 보는 진짜 스토리 코드』, 아카넷, 2018. 미소장
15 왕보, 김갑수 옮김, 『장자를 읽다』, 바다출판사, 2007. 미소장
16 유강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드러난 노자(老子) 사상」, 『아시아문화연구』 18,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미소장
17 이강옥, 「『삼국유사』 출가 득도담 및 출가 성불담의 초세속 지향 양상」, 『고전문학연구』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미소장
18 이규상, 「텍스트 이해, 그리고 『노자』 읽기: ‘上善若水’ 장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2005. 미소장
19 이영수, 「극락설화 연구–구전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미소장
20 이자랑, 이필원 글, 배종훈 그림, 『도표로 읽는 불교 입문』, 민족사, 2017. 미소장
21 이잔 차, 혜안 옮김, 『반조, 마음을 비추다』 2, 싱긋, 2017. 미소장
22 이찬주, 「돌과 물의 상징성 연구를 통한 무의식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미소장
23 이호철, 「돌의 상징적 이미지와 인체의 형상을 결합한 도자 조형 연구-제주도의 돌 문화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24 임채우, 「원시도가의 여성주의 사상–노자의 無와 女性性 그리고 여성의 힘」,『도교문화연구』 18, 한국도교문화학회, 2003. 미소장
25 정운채, 「<남백월 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문학치료」, 『문학치료연구』2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미소장
26 조홍윤, 「『삼국유사(三國遺事)』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조에 나타난 ‘그림자 투사’의 문제 연구」, 『문학치료연구』 54,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미소장
27 조희정, 「고전 교육의 문제 발견 능력에 관한 연구-『삼국유사』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 읽고 쓰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6, 한국어교육학회, 2006. 미소장
28 주재우, 「인간탐구로서의 고전문학교육 연구–이인성불담(二人成佛譚)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미소장
29 카를 융, 김양순 옮김, 『인간과 상징』, 동서문화사, 2016. 미소장
30 하은하,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을 통해 본 <신립 오성 이야기>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 의식」, 『국어교육』 100, 한국어교육학회, 1999. 미소장
31 황윤정, 「가치 문제의 서사적 형상화 방식 연구 –삼국유사(三國遺事) 수록설화 <조신(調信)>,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6,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