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정신문화원, 『한국구비문학대계』 | 미소장 |
2 | 강명혜,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온지논총』 48, 온지학회, 2016. | 미소장 |
3 | 강진옥, 「‘꽃 피우기 내기’로 구현되는 창세신화의 신화적 원리와 세계관념-<천지왕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50, 한국구비문학회, 2018. | 미소장 |
4 | 김정은,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5 | 김정은, 「조선 후기 <요지연도(瑤池宴圖)>에 표현된 생명관: 도교적(道敎的) 생명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6 | 김정은, 『옛이야기와 자기발견의 스토리텔링』, 그래비티북스, 2020. | 미소장 |
7 | 김진영, 「성불담의 유형별 작화전력과 그 의미」, 『인문학연구』 109-4, 충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8 | 김한상,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불교학연구』 54, 불교학연구회, 2018. | 미소장 |
9 | 미르치아 일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 까치, 2013. | 미소장 |
10 | 박현희, 「조선시대 괴도석(怪石圖)에 나타난 ‘돌(石)’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58,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 미소장 |
11 | 서영배, 「구약성서에 나타난 돌의 용례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12 | 신동흔, 「서사적 화두를 축으로 한 화소 · 구조 통합형 설화 분석 방법 연구」, 『구비문학연구』 46, 한국구비문학회, 2017. | 미소장 |
13 | 신동흔, 『살아있는 한국 신화』, 한겨레출판사, 2014. | 미소장 |
14 | 신동흔, 『스토리텔링 원론–옛이야기로 보는 진짜 스토리 코드』, 아카넷, 2018. | 미소장 |
15 | 왕보, 김갑수 옮김, 『장자를 읽다』, 바다출판사, 2007. | 미소장 |
16 | 유강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드러난 노자(老子) 사상」, 『아시아문화연구』 18,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 미소장 |
17 | 이강옥, 「『삼국유사』 출가 득도담 및 출가 성불담의 초세속 지향 양상」, 『고전문학연구』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 미소장 |
18 | 이규상, 「텍스트 이해, 그리고 『노자』 읽기: ‘上善若水’ 장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2005. | 미소장 |
19 | 이영수, 「극락설화 연구–구전설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45, 한국민속학회, 2007. | 미소장 |
20 | 이자랑, 이필원 글, 배종훈 그림, 『도표로 읽는 불교 입문』, 민족사, 2017. | 미소장 |
21 | 이잔 차, 혜안 옮김, 『반조, 마음을 비추다』 2, 싱긋, 2017. | 미소장 |
22 | 이찬주, 「돌과 물의 상징성 연구를 통한 무의식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23 | 이호철, 「돌의 상징적 이미지와 인체의 형상을 결합한 도자 조형 연구-제주도의 돌 문화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24 | 임채우, 「원시도가의 여성주의 사상–노자의 無와 女性性 그리고 여성의 힘」,『도교문화연구』 18, 한국도교문화학회, 2003. | 미소장 |
25 | 정운채, 「<남백월 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문학치료」, 『문학치료연구』2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 미소장 |
26 | 조홍윤, 「『삼국유사(三國遺事)』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조에 나타난 ‘그림자 투사’의 문제 연구」, 『문학치료연구』 54,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 미소장 |
27 | 조희정, 「고전 교육의 문제 발견 능력에 관한 연구-『삼국유사』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 읽고 쓰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16, 한국어교육학회, 2006. | 미소장 |
28 | 주재우, 「인간탐구로서의 고전문학교육 연구–이인성불담(二人成佛譚)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 미소장 |
29 | 카를 융, 김양순 옮김, 『인간과 상징』, 동서문화사, 2016. | 미소장 |
30 | 하은하,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을 통해 본 <신립 오성 이야기>의 구조적 특성과 문제 의식」, 『국어교육』 100, 한국어교육학회, 1999. | 미소장 |
31 | 황윤정, 「가치 문제의 서사적 형상화 방식 연구 –삼국유사(三國遺事) 수록설화 <조신(調信)>,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6,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