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세기 후반에 출현한 “화교”, 20세기 80년대 개혁개방과 함께 출현한 “화교화인”, 80년대 말 출현한 “소수민족화교화인”은 모두 중국이 해당 시기의 국가이익 실현을 위해 기획, 유통시킨 전략적 명칭이다. 국가이익이란 시대에 따라 변화하기 나름인바, 이 변화에 따라 위 명칭 및 개념 또한 변화될 것은 자명한 논리이다.

1980년대 개혁개방이 제공한 학술적 개방 및 “화교화인” 연구의 확장이 촉발한 위구르 화교화인, 카자흐족 화교화인, 회족 화교화인 등 연구는 중국 무슬림 출신 해외 이민자를 중국편향의 “화교화인” 영역으로 포괄한 최초의 시도였다. 이 인식 틀이 전체 소수민족 출신 해외 이민자에 대한 해석에 적용되면서, 더불어 중국의 국가이익 실현에 있어 이들이 갖는 전략적 가치가 확대되면서 본격적인 “소수민족화교화인” 연구 및 정책이 시작되었다.

최근 중국은 “중화민족 위대부흥” 목표아래 그 민족정책에서는 다원성보다는 일체성을, 그 교민정책에서는 이원성보다는 통일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정책영역의 “교포” 명칭 강조, 이와 관련된 학술적 논쟁, 그리고 특히 중국공산당 통일전선부의 민족, 종교, 교민 사업 전체 총괄 등은 모든 “소수민족화교화인” 정책의 일체성과 통일성 및 그 방향을 보여준다.

최근 중국공산당 및 정부는 법에 따라 모든 “교포”의 권익을 보호할 것이라 천명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중국의 관련 법령에 근거하면, 수십만 재한조선족 및 그 가족은 중국 “교포”의 범주에 포섭되어 있다. 이에 대한 마땅한 주의와 경계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화인디아스포라의 문화적 시각과 정체성 논의 : The imagined China and glocal identity of Yu-tang Lin and Ha Jin's writings / 林語堂과 哈金을 중심으로 고혜림 p. 59-84

중국 도가(道家)에서의 장(場)이론의 확장과 적용 = Extension and application of field theory in Taoism, China 김덕삼 p. 125-154

중국 근대교육의 변화에 대한 반성 = Reflections on the change of modern education in China 이경자 p. 221-250

"전연의 맹약" 체결과정과 사신들의 교섭 활동 = The imperial envoys of Khitan Empire and Song China, 1004-1005 : reconsidering the case study of the "Treaty of Shanyuan" 이장욱 p. 155-192

关于中国山东省大数据企业创意役量与组织创新的研究 = Research on creative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of big data enterprises in Shandong Province of China 孔令明, 耿禧则, 金永吉 p. 251-271

당대 중국의 "소수민족화교화인" 연구 및 정책 흐름 분석 = Research and policy flow analysis on "overseas Chinese ethnic minorities" in modern China 최승현 p. 5-35

무역업자의 위안화 무역결제에 대한 선호도 연구 = A study on traders' preference for trade settlement through the Chinese Yuan 구기보, 홍기석 p. 273-301

'자유주의의 중국화' : Localization of liberalism in China : focusing on the case of Xujilin / 쉬지린(许纪霖) 사례를 중심으로 유은하 p. 193-220

调整与转型 : Adapt and transform : the role of contemporary Malaysian Chinese organizations in Chinese education in the midst of social changes / 马来西亚华人社团对华文 教育的作用 王淑慧 p. 37-58

元代 文言筆記小說 『春夢錄』 속 唱和詩詞 시탐 = A preliminary analysis on Changhe poetry in an ancient written novel 『Chun meng lu』 in the Yuan Dynasty 윤혜지 p. 85-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