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현생인류의 수렵도구 다양성 연구 = The study on the diversity of hunting tools of homo sapiens in the upper paleolithic in Korea 이헌종, 박성권 p. 471-497
언어권별 삽입모음의 유형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ㅡ' 모음의 발음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epenthetic vowels by language and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pronunciation 윤영해 p. 451-469
한국어 보조용언과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auxiliary predicates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왕용리, 김선정 p. 423-449
한국 조산사 자연출산관리 교육의 표준화지침 구축을 위한 임상실무 프로토콜 분석 = Clinical practice protocol for the standardization of guidelines for Korean midwifery natural fertility management 강남미, 박현순, 이신영, 김옥진, 김상진, 문길남, 이찬희 p. 393-422

K-뷰티 문화코드를 활용한 화장품 브랜드 광고이미지 제작 연구 = A study on the globalization strategy using regional resources and K-beauty culture codes 김혜균 p. 377-392
공감 프레젠테이션 교육 내용 연구 = Empathy presentation education content study 김윤정 p. 351-376
낭트-순천 한불 국제문화교류 사례 탐구 : Exploring the case of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Nantes and Suncheon : focused on Suncheon Bay contents / 순천만 콘텐츠 중심으로 전영국 p. 329-350
선교사 자녀의 유학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missionary kids to studying abroad 이보람, 박미숙 p. 303-327
베이비부머의 공감능력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baby boomer's empath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정, 유두련 p. 275-301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신혜숙, 박주형 p. 255-274
고등학교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 관련 요인, 성취동기, 학업적응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lated factors,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adaptation of high school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유승희 p. 229-254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참여자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KIIP (Korea immigrants and integration program) participants 전경미 p. 203-227
신학대학교 다문화강좌 운영 실태 및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actual situation an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lectures in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 개신교 신학대학 및 대학원을 중심으로 배경임 p. 169-201
학교생활기록부 국제 비교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chool report and implication on Korean education 김순남 p. 141-168
예비교원들의 글로벌·다문화 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해외교육연수 = Overseas educational training for raising global-mul[t]icultural competences of student teachers 배정옥, 박윤배, Philippa Coleman p. 103-140
내·외국인 학생의 지역사회 연계형수업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community-connected classe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조위수, 한강우 p. 83-102
우리나라 재정착난민의 사례연구 정책에 대한 고찰 = A consideration of a case study policy on the resettlement refugees in Korea 채보근 p. 53-82
미국의 직업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한 종합적 고찰 : A comprehensive review on vocational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in the US :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program and policy /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프로그램 효과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혜 p. 23-51
코로나 19 이후 지역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 Direction of policy for vitalizing local culture and art after COVID-19 오지혜 p.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