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98년 발표된 데아 로어의 『아담 가이스트』는 비평가들에게서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 희곡이다. 이 작품은 독일 문학사의 주요 작품인 뷔히너의 『보이첵』을 로어 특유의 창작방식으로 재창조한 작품이다. 로어는 우리 동시대 주인공 아담 가이스트를 통해 글로벌 시대에도 변함없이 존재하는 인간의 비극 문제를 다뤘다. 본 논문은 먼저 아담과 주요 인물을 통해 나타난 『보이첵』과의 구조적 유사성을 살펴보고 아담의 수난사를 통해 제기되는 죄와 구원의 문제를 고찰한다. 로어는 성경에 따른 최초의 인간 아담과 구원자 예수를 주인공 아담에게 투영시키고 소녀를 통해 보이첵과 마리를 불러냄으로써 세대를 통해 다층적으로 반복되는 이들의 비극을 현재화시켰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어떤 의미에서 모두 ‘보이첵’이다. 국경을 뛰어넘는 시대와 장소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지속되는 죄와 구원에 대한 아담의 전망은 암울하다. 그러나 부당한 세상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의심과 저항 속에 ‘동일한 것의 반복’을 멈추기 위해 스스로를 중단시킴은 단순히 희망 없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절망적 상황이 심화될수록 구원 또한 더욱 간절하다는 벤야민적 인식과 궤를 같이 하는 로어의 현실 인식을 보여준다.

Das Theaterstück Adam Geist wird als das wichtigste Werk Dea Lohers angesehen. Hier gelingt es der Dramatikerin, den Georg Büchners Woyzeck, eins der bedeutendsten Werke de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auf ihre Weise neu zu schaffen. Mit einem zeitgenössischen Protagonisten thematisiert Loher menschliche Tragödien, die im globalen Zeitalter weiterhin bestehen.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die strukturelle Ähnlichkeit von Adam Geist mit dem Vorbild Woyzeck und beschäftigt sich mit der Problematik von Sünde und Erlösung, die sich in Adams Passionsgeschichte manifestiert. Loher projiziert den ersten Menschen Adam und den Erlöser Jesus in den zeitgenössischen Protagonisten Adam. Mit der Mädchen-Figur ruft sie Marie aus Woyzeck in Erinnerung und stellt so die sich über Generationen hinweg vielschichtig wiederholende Tragödie dar. Die Charaktere sind in gewissem Sinne alle “Woyzeck”. Adams Hoffnung auf Erlösung bleibt unerfüllt. Sein Selbstmord am Schluss entdet jedoch nicht einfach mit Hoffnungslosigkeit, was Lohers Affintät zu den Gedanken Walter Benjamins nahelegt. Das Zugrundegehen findet seine tiefste und höchste Erfüllung in der Erkenntnis. dass nur um die Hoffnungslosen willen uns die Hoffnung gegeben is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반쪽이자 이중인" 과도기의 문학 : Literatur der Übergangszeit als "etwas Halbes und Doppeltes zugleich" : K.L. Immermanns Die Epigonen als Zeitroman / 시대소설로서의 임머만의 『에피고넨』 조규희 p. 59-95

하이네의 그림읽기 : Heines Bilder lesen : Kunst als Signatur der Zeit : In Bezug auf Französische Maler / 시대의 표상으로서의 예술 : 『프랑스 화가들』을 중심으로 진숙영 p. 97-119

도덕극장으로서의 '광인의 집' : Das Irrenhaus als moralische Bühne : Anhand der Berichte über den Irrenhausbesuch im späten 18. Jahrhundert / 18세기 후반 광인감호소 방문기를 중심으로 이영기 p. 5-28

세기말의 인간학과 이종(異種)들 : Anthropologie und Heterogenität an der Jahrhundertwende : Tierische und Technische Eigenschaften in Frank Wedekinds Lulu-Tragödie und Fritz Langs Metropolis / 프랑크 베데켄트의 '룰루-비극'과 프리츠 랑의 <메트로폴리스>에 나타난 동물성과 기계성 정현규 p. 121-139

데아 로어의 『아담 가이스트』 연구 : Eine Studie über Dea Lohers Adam Geist : Im Hinblick auf die Rezeption von Georg Büchners Woyzeck / 뷔히너의 『보이첵』의 생산적 수용의 문제와 관련하여 오동식 p. 141-161

역사드라마에 나타난 역사이미지의 구성 : Die Konstruktion des Geschichtsbildes im Geschichtsdrama : dargestellt am Beispiel der Hermannsschlacht / 『헤르만전투』를 중심으로 김영목 p. 29-57

룬문자와 룬문자 창조 신화 연구 = Eine Studie zu Runeninschrift und Mythologie der Runen : 역사와 신화적 관점에서 김미경 p. 163-185

유럽문화사에 나타난 가면과 정체성의 관계 연구. Eine Studie zum Verhältnis zwischen Maske und Identität in der europäischen Kulturgeschichte. 1 / 1 최은아 p. 187-212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게오르크 뷔히너(2015): 보이첵(이재민 역), 더클래식. 미소장
2 Brecht, Bertolt(1985): Untergang des Egoisten Fatzer. Fassung von Heiner Müller, Berlin. 미소장
3 Loher, Dea(1998): Adam Geist, Frankfurt am Main. 미소장
4 고진하(1983): 현대 문학에 나타난 예수 상, Theodore Ziolkowski의 『Fictional Transfiguration』을 중심으로, 신학과 세계 9, 421-433. 미소장
5 김종은(2010): 뷔히너의 『보이첵』에 나타난 성경어의 기능, 뷔히너와 현대문학 35, 5-43. 미소장
6 오동식(201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데아 로어의 푸른 수염에 관한 연구 -희곡『블라우바르트, 여인들의 희망』을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7, 79-100. 미소장
7 오동식(2013): 메데아 신화의 현대적 수용 연구 데아 로어의 희곡 『맨해튼 메데아』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1, 153-174. 미소장
8 오동식(2017): 데아 로어의 여성상 연구- 올가 베나리오의 정체성과 기억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5, 139-157. 미소장
9 이숙경(2012): 정치극의 회귀 : 데아 로어의 『무죄』와 『도둑들』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7, 101-120. 미소장
10 이숙경(2013): 미하엘 탈하이머의 연출미학 -<무죄> 공연에 나타난 시선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22, 67-91. 미소장
11 이은희(2017): 독일의 학교연극과 연극수업모델 시도 - 데아 로어의『가위』, 헤세연구 38, 251-281. 미소장
12 이준서(2018): ‘새로운 독일 드라마’의 정치적 연극미학 - 데아 로어의 「레비아탄」을 예로삼아, 뷔히너와 현대문학 51, 229-250. 미소장
13 윤시향(2011): 문신, 공연과 이론 44, 268-296. 미소장
14 최성만(2012): 발터 벤야민의 몇 가지 신학적 모티브에 관하여, 인문학연구 44, 7-40. 미소장
15 Behrendt, Eva(2002): Kleine Frauenoffensive am Schauspiel Frankfurt: Monika Gomtersdorfer inszeniert Elfriede Jelineks „Raststätte - oder sie machen´s alle“, Sandra Strunz „Adam Geist“ von Dea Loher, in: Theater heute 43, Heft 4, 17-19. 미소장
16 Benjamin, Walter(1980): Gesammelte Schriften. Bd.1 und Bd.5, Frankfurt am Main. 미소장
17 Börgerding, Michael(2003): Auf der Suche nach den vielen Antworten. Über Dea Loher und ihre Stücke – eine persönliche Vergewisserung, in: Theater heute, 10, 42–46. 미소장
18 Hirsch, Mathias(2016): Mütter und Söhne – blasse Väter – Sexualisierte und andere Dreiersverhältnisse, Gießen. 미소장
19 Kasten, Anna Lena(2015): Georg Büchners Fragment Woyzeck und seine intermedialen Bearbeitungen, Diss., Palermo Uni. 미소장
20 Kuschel, Karl Josef(1987): Jesus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München. 미소장
21 Löschner, Sascha(1997): „Verletzte Sprache“, in: Stück-Werk. Deutschsprachige Dramatik der 90er Jahre. Porträts, Beschreibungen, Gespräche Renate Ziemer(Hrsg.), Berlin, 71-72. 미소장
22 Ludewig, Alexandra(1998): Junges Theater in Deutschland der 1990er Jahre: Dea Lohers Adam Geist, in: New German Review 14, 55–73. 미소장
23 Luther, Martin(1975): Das Neue Testament, Deutsche Bibelstiftung, Stuttgart. 미소장
24 Monsell, Juanjo(2019): Vieldeutigkeit und Sinnsuche in Dea Lohers “Adam Geist”, in: Focus on German Studies Double Issue. Vol 1 No 25/26, 54-79. 미소장
25 Müller, Heiner(1985): Die Wunde Woyzeck, in: Frank Hörnigk(Hrsg.): Heiner Müller Material. Reclam Leipzig. 1990, 114-115. 미소장
26 Müller, Heiner(1990): Fatzer+Keuner, in: Frank Hörnigk(Hrsg.): Heiner Müller Material, Leipzig. 미소장
27 Oh, Dong-sik(2007): Über das Motiv des Vater-Sohn-Konflikts bei Heiner Mueller, Würzburg. 미소장
28 Preining, Viktoria(2011): „VER-RÜCKT. Die Rolle des Wahnsinns in Georg Büchners Werken Woyzeck und Lenz.“ Magisterarbeit, Wien. 미소장
29 Štědroň, Petr(2004): “Dea Loher - Die Elf glücklosen Stücke”, https://digilib.phil.muni.cz/bitstream/handle/11222.digilib/106049/1_BrunnerBeit ratgeGermanistikNordistik_18-2004-1_15.pdf?sequence=1. 미소장
30 Umathum, Sandra(2005): Unglückliche Utopisten. URL: http:// www.goethe.de/ kug/ pro/ Stuecke/ loher#kommentar. 미소장
31 Updike, John(2010): Rabbit at Rest.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미소장
32 Wittstock, Uwe(2009): Nach der Moderne, Göttinge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