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게오르크 뷔히너(2015): 보이첵(이재민 역), 더클래식. | 미소장 |
2 | Brecht, Bertolt(1985): Untergang des Egoisten Fatzer. Fassung von Heiner Müller, Berlin. | 미소장 |
3 | Loher, Dea(1998): Adam Geist, Frankfurt am Main. | 미소장 |
4 | 고진하(1983): 현대 문학에 나타난 예수 상, Theodore Ziolkowski의 『Fictional Transfiguration』을 중심으로, 신학과 세계 9, 421-433. | 미소장 |
5 | 김종은(2010): 뷔히너의 『보이첵』에 나타난 성경어의 기능, 뷔히너와 현대문학 35, 5-43. | 미소장 |
6 | 오동식(2012):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데아 로어의 푸른 수염에 관한 연구 -희곡『블라우바르트, 여인들의 희망』을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27, 79-100. | 미소장 |
7 | 오동식(2013): 메데아 신화의 현대적 수용 연구 데아 로어의 희곡 『맨해튼 메데아』를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1, 153-174. | 미소장 |
8 | 오동식(2017): 데아 로어의 여성상 연구- 올가 베나리오의 정체성과 기억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5, 139-157. | 미소장 |
9 | 이숙경(2012): 정치극의 회귀 : 데아 로어의 『무죄』와 『도둑들』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27, 101-120. | 미소장 |
10 | 이숙경(2013): 미하엘 탈하이머의 연출미학 -<무죄> 공연에 나타난 시선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독일어문화권연구 22, 67-91. | 미소장 |
11 | 이은희(2017): 독일의 학교연극과 연극수업모델 시도 - 데아 로어의『가위』, 헤세연구 38, 251-281. | 미소장 |
12 | 이준서(2018): ‘새로운 독일 드라마’의 정치적 연극미학 - 데아 로어의 「레비아탄」을 예로삼아, 뷔히너와 현대문학 51, 229-250. | 미소장 |
13 | 윤시향(2011): 문신, 공연과 이론 44, 268-296. | 미소장 |
14 | 최성만(2012): 발터 벤야민의 몇 가지 신학적 모티브에 관하여, 인문학연구 44, 7-40. | 미소장 |
15 | Behrendt, Eva(2002): Kleine Frauenoffensive am Schauspiel Frankfurt: Monika Gomtersdorfer inszeniert Elfriede Jelineks „Raststätte - oder sie machen´s alle“, Sandra Strunz „Adam Geist“ von Dea Loher, in: Theater heute 43, Heft 4, 17-19. | 미소장 |
16 | Benjamin, Walter(1980): Gesammelte Schriften. Bd.1 und Bd.5, Frankfurt am Main. | 미소장 |
17 | Börgerding, Michael(2003): Auf der Suche nach den vielen Antworten. Über Dea Loher und ihre Stücke – eine persönliche Vergewisserung, in: Theater heute, 10, 42–46. | 미소장 |
18 | Hirsch, Mathias(2016): Mütter und Söhne – blasse Väter – Sexualisierte und andere Dreiersverhältnisse, Gießen. | 미소장 |
19 | Kasten, Anna Lena(2015): Georg Büchners Fragment Woyzeck und seine intermedialen Bearbeitungen, Diss., Palermo Uni. | 미소장 |
20 | Kuschel, Karl Josef(1987): Jesus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München. | 미소장 |
21 | Löschner, Sascha(1997): „Verletzte Sprache“, in: Stück-Werk. Deutschsprachige Dramatik der 90er Jahre. Porträts, Beschreibungen, Gespräche Renate Ziemer(Hrsg.), Berlin, 71-72. | 미소장 |
22 | Ludewig, Alexandra(1998): Junges Theater in Deutschland der 1990er Jahre: Dea Lohers Adam Geist, in: New German Review 14, 55–73. | 미소장 |
23 | Luther, Martin(1975): Das Neue Testament, Deutsche Bibelstiftung, Stuttgart. | 미소장 |
24 | Monsell, Juanjo(2019): Vieldeutigkeit und Sinnsuche in Dea Lohers “Adam Geist”, in: Focus on German Studies Double Issue. Vol 1 No 25/26, 54-79. | 미소장 |
25 | Müller, Heiner(1985): Die Wunde Woyzeck, in: Frank Hörnigk(Hrsg.): Heiner Müller Material. Reclam Leipzig. 1990, 114-115. | 미소장 |
26 | Müller, Heiner(1990): Fatzer+Keuner, in: Frank Hörnigk(Hrsg.): Heiner Müller Material, Leipzig. | 미소장 |
27 | Oh, Dong-sik(2007): Über das Motiv des Vater-Sohn-Konflikts bei Heiner Mueller, Würzburg. | 미소장 |
28 | Preining, Viktoria(2011): „VER-RÜCKT. Die Rolle des Wahnsinns in Georg Büchners Werken Woyzeck und Lenz.“ Magisterarbeit, Wien. | 미소장 |
29 | Štědroň, Petr(2004): “Dea Loher - Die Elf glücklosen Stücke”, https://digilib.phil.muni.cz/bitstream/handle/11222.digilib/106049/1_BrunnerBeit ratgeGermanistikNordistik_18-2004-1_15.pdf?sequence=1. | 미소장 |
30 | Umathum, Sandra(2005): Unglückliche Utopisten. URL: http:// www.goethe.de/ kug/ pro/ Stuecke/ loher#kommentar. | 미소장 |
31 | Updike, John(2010): Rabbit at Rest.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 미소장 |
32 | Wittstock, Uwe(2009): Nach der Moderne, Göttinge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