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시군 기초자치단체를 커뮤니티로 보고, 커뮤니티 단위에서의 웰빙 수준을 측정하여 정책결정자들로 하여금 향후 커뮤니티 웰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대도시의 구를 제외한 우리나라 시군의 커뮤니티 웰빙 수준을 중요도와 만족도로 구분하여 측정해 본 결과, 시군의 6개 자본별 평균 점수를 보면 시의 경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자본은 환경자본으로서 평균점수가 10점 만점에 8.59이고, 군의 경우에도 환경자본이 8.77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자본으로서는 시의 경우에는 인프라 자본으로서 평균점수가 6.73으로 나타나고 있고, 군의 경우에는 환경자본이 6.87로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중요도와 만족도를 전체적으로 보면, 모든 자본에서 만족도가 낮고, 중요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책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는 IPA 분석에 의한 2사분면 포함 시군들은 개별 자본별로 상이하나 일부 시군들의 경우 2사분면에 여러 번 중복적으로 포함되고 있다. 개별 자본별로 2사분면에 포함되는 시군들은 지역주민들이 해당 자본에 대하여 만족도는 낮으면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노력이 있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nformation for policy makers to improve the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in the future by seeing the second-tier local government of Korea as a community and measuring the level of well-being at the community level.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in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excluding those in metropolitan cities, the capital with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case of cities is environmental capital, with an average score of 8.59. As for capital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city, the average score was 6.73, and in the case of the county, environmental capital was the highest as 6.87. Looking at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s a whole, it can be seen that satisfaction is low and importance is high in all capital.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ome cities and counties are included in the second quadrant several times. The local governments included in the second quadrant for each individual capital need to recognize that local residents there have low satisfaction and high importance for the capital, so there should be a major improvement effort in this are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충북지역 주민들의 관점에서 본 사회적 자본과 행정가치가 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and administrative values on government trus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in Chung-Buk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grity and democracy / 청렴성과 민주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정태일, 박봉규 p. 515-541, [1]

해양경찰 공무원의 공정성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유영현 p. 175-194, [1]

중고령 장애인의 노후준비가 건강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n health trajectory of people over 50 years old with disabilities 이은실 p. 295-312, [1]

농촌 노인의 신체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depression among the rural elderly 김다혜, 이상록, 김형관 p. 153-173, [1]

지역집중도 분석을 통한 대도시 행정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in metropolis, through regional concentration analysis 임승빈, 조남욱 p. 73-90, [1]

임실N치즈축제 성공요인 중요도 분석 : Imsil N Cheese Festival success factor importance analysis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 전문가와 지역주민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정일범, 조승현, 정병현, 권도윤 p. 471-491, [1]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방 공기업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local public enterprises through network analysis : from 1989 to 2019 / 1989년에서 2019년을 중심으로 이동기 p. 357-376, [1]

고도보존육성사업을 통한 지역 활성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capital of an old state conservation promotion project : focus on the Geumma area, Iksan City / 익산시 금마지역을 중심으로 서휘석 p. 53-72, [1]

지역사회 애착과 지역사회 만족 간의 영향 관계에서 지역사회 관여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involv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ttachment and community satisfaction 박영순, 윤준상, 김두순 p. 279-293, [1]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홈스쿨링(Homeschooling) 제도화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omeschooling according to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new normal age 유지은, 이민우 p. 339-355, [1]

행정이론을 통한 한국 지방의회의 조례 분석 : Analysis of Korean local council ordinances through administrative theory : focusing on the 7th regional council / 제7기 광역의회를 중심으로 윤성원 p. 399-414, [1]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father's involvement for childcare 윤성호 p. 415-432, [1]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s of college student entrepreneurship through comparative review = 비교론적 고찰을 통한 대학생 창업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Yoon, Mi Yun, Hong, Su Kyung p. 377-398, [1]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 정책추진에 대한 시사점 : The implications of the Moon Jae-in Government's decentralization policy : focusing on the decentralization policy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s in the past / 역대 정부의 지방분권 정책성과 평가를 중심으로 이승철 p. 255-277, [1]
지방정부 보건복지 사업 중요도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welfare projects through AHP analysis : focused on Imsil-gun case / 임실군을 중심으로 박미순, 주상현 p. 313-337, [1]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취약성 노출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 : Exposure to social and economic vulnerabilities due to COVID-19 and rul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 case of Chungbuk region / 충북지역 사례 네모토 마사쯔구, 임동균 p. 237-253, [1]

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적용한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대한 집적경제와 공급가치사슬의 영향 분석 = Effects of the localization economy and supply value chain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f materials, components and equipments industries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김경아 p. 493-514, [1]

국제협력사업 성인지적 평가 모델 비교 : Comparative study on gender sensitive evaluation model in ODA : focused on women's vocational training project by Korea and Japan / 한국과 일본의 여성직업훈련사업을 중심으로 김학실, 네모토 마사쯔구 p. 133-152, [1]

청소년기 고등학생의 학대경험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 comparing between a female group and male group / 남·여학생 비교연구 이연실, 이용우 p. 215-236, [1]
다중흐름모형(MSF)을 적용한 '윤창호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Yun Chang-ho Act' applying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김지훈, 정준호 p. 195-214, [1]

도시재개발사업의 변동과정에 대한 연구 = Evolutionary processes of urban redevelopment policies 명성준 p. 455-469, [1]

지역사회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모델 개발 = The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cooperative educational governance 이현철, 주동범, 김광석, 이원석 p. 115-132, [1]

정책도구의 분석 연구 : The study analysis of policy tools : focused on the youth policy unit projects of local government / 지방정부 청년정책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안병철 p. 433-454, [1]

복합체계로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 as complex system : logic and tasks of institutional design / 제도설계의 논리와 과제 전준구 p. 91-113, [1]

커뮤니티웰빙 수준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 Measuring community wellbeing : policy implications 최영출 p. 33-52, [1]

전북 지역의 행정학자와 연구 경향 = Who studied what and how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in Jeonbuk province? 신무섭 p. 1-32, [1]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영화․김승현․김남숙. (2013). 성미산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웰빙의 패러다임 모형분석. 「韓國行政學報」, 41(1): 295-320. 미소장
2 기영화․서인석․이승종. (2014). 커뮤니티웰빙 이론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자원(Resource) 영역, 자본(Capital) 요소, 하위지표의 관계를 중심으로-. 「韓國地方自治學會報」, 26(3): 243-269. 미소장
3 기영화․정서린․현승숙. (2019). 커뮤니티웰빙이 지역소속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교정부학보」, 23(3): 203-224. 미소장
4 김태훈․서인석․기영화. (2014). 커뮤니티웰빙 평가요소로서 지방행정서비스요인의 적합성분석: 경쟁가설모형들의 신뢰성 및 타당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4(4): 29-54. 미소장
5 문영세. (2019). 사회신뢰 측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57-86. 미소장
6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2019 커뮤니티 웰빙 인식조사보고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미소장
7 서인석. (2017). 간주관적 웰빙(Intersubjective Wellbeing) 개념을 접목한 지역 커뮤니티웰빙 지표의 중요도 분석. 「한국지방행정학보」, 14(1): 25-45. 미소장
8 서인석․기영화․이승종. (2016).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활용한 지역 커뮤니티의 탐색적 유형화 - Kee의 커뮤니티웰빙 6자본요인 및 지표의 활용. 「韓國行政硏究」, 25(1): 49-76. 미소장
9 오영균. (2019). 행복의 주관적 인식에 기반한 커뮤니티웰빙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論文集」, 33: 46-54. 미소장
10 이정락․최외출. (2019). 인터뷰 연구에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사례.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145-172. 미소장
11 이승종․기영화․김윤지․김남숙. (2013). 커뮤니티웰빙 지표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평가비교연구 - AHP 기법의 적용. 「韓國行政學報」, 47(2): 313-337. 미소장
12 이승종․이지은․이혜림. (2020). 커뮤니티웰빙 지표 구축과 적용에 관한 연구. 「韓國行政硏究」, 29(2): 173-208. 미소장
13 이지은. (2020). 지역사회 위험인식이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10(4): 27-63. 미소장
14 장지현. (2019a).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외국인 유학생 생활만족도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121-144. 미소장
15 장지현. (2019b). 저개발국가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연구경향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1): 121-146. 미소장
16 장지현. (2017).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지속가능성 시나리오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63-86. 미소장
17 최민호․강영웅․이승종. (2019). 기초자치단체 삶의 질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커뮤니티웰빙 모형의 적용. 「지방정부연구」, 23(3): 329-356. 미소장
18 최영출. (2018). 소득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32(3): 1-18. 미소장
19 When money does not buy happiness: The case of “frustrated achievers” 네이버 미소장
20 Blanchflower D. G. & Oswald A. J. (2007). Hypertension and Happiness Across Nations. University of Warwick Working Paper. 미소장
21 Social Indicators Researc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2 Unhappiness and Unemployment 네이버 미소장
23 Diener, E. & Oishi, S. (2000).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 In E. Diener & Suh, E. M.(eds),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s. MIT Press, Cambridge, MA. 미소장
24 Happiness, Economy and Institutions 네이버 미소장
25 Helliwell, J. F. & Putnam, R.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359: 1435-1446. 미소장
26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Capital in Belgian Communities. The Impa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Subjective Well-Being Indicators in Belgium 네이버 미소장
27 Knack, S. (2002).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Government: Evidence from the Stat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6: 772-785. 미소장
28 Reexamining adaptation and the set point model of happiness: reactions to changes in marital status. 네이버 미소장
29 Towards a European System of Social Indicators: Theoretical Framework and System Architecture 네이버 미소장
30 Good Governance and Happiness in Nations: Technical Quality Precedes Democracy and Quality Beats Size 네이버 미소장
31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Young Europeans. Feeling Happy but who Knows why? 네이버 미소장
32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네이버 미소장
33 Samanni, M. & Holmberg, S. (2010). Quality of Government Makes People Happy. The Quality of Government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1: 1421-144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