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귀숙(2006), 『기억의 정치: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서울: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2 |
김다현(2006), “법교육을 통한 법의식 영향 연구: 고등학교 법과 사회를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1(2): 3638. |
미소장 |
3 |
김동춘(2006), “해방 60년, 지연된 정의와 한국의 과거청산”, 『시민과세계』, (8): 203-224. |
미소장 |
4 |
김동춘(2013),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한국전쟁과 학살, 그 진실을 찾아서』, 파주: 사계절. |
미소장 |
5 |
김수영(2019), “목회 돌봄과 상담의 관점에서 용서와 화해의 의미 고찰”, 『피어선 신학 논단』, 8(1): 48-73. |
미소장 |
6 |
김영수(2011), “한국 과거사정리와 국가의 전략”, 『역사연구』, (21): 141-167. |
미소장 |
7 |
김현숙(2002), “경합중인 과거와 열린 미래: “진실”, “정의”, “화해”에 관하여”, 『사회와역사』, 61: 2-85. |
미소장 |
8 |
문학사학회 엮음(2017), 『기억은 역사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파주: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9 |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 저, 홍종락 옮김(2016), 『기억의 종말 : 잊히지 않는 상처와 포옹하다』, 서울: IVP. |
미소장 |
10 |
박명림(2019), “정의의 회복과 과거 극복의 완전성의 문제: 거창사건을 중심으로”, 『일감법학』, 42(0): 39-70. |
미소장 |
11 |
박유하(2005), 『화해를 위해서: 교과서 위안부 야스쿠니 독도』, 서울: 뿌리와이파리. |
미소장 |
12 |
부경환(2011), “킬링필드’의 기억과 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손운산(2004), “치료, 용서 그리고 화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5(1): 241-283. |
미소장 |
14 |
손운산(2008), 『용서와 치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2. |
미소장 |
15 |
안병욱(2010), “한국 과거청산의 현황과 과제”, 『역사비평』, (93): 32-60. |
미소장 |
16 |
지역 정치문화와 선거  |
미소장 |
17 |
우승지(2008), “진화기대이론(Evolutionary Expectancy Theory)과 데탕트 시기 남북화해의이해”, 『국제정치논총』, 48(2): 107-126. |
미소장 |
18 |
이소영(2011), “기억의 정치와 ‘법을 통한 과거청산’ 담론 비판”, 『외법논집』, 35(2): 271-285, <10.17257/hufslr.2011.35.2.271>. |
미소장 |
19 |
이승훈(2019), “화해의 조건 -동감과 용서의 정치성,” 『현상과인식』, 43(1): 59-80. <10.46349/kjhss.2019.03.43.1.59>. |
미소장 |
20 |
이재승(2015), “사죄의 수행상 오류”, 『민주법학』, (59): 114, <10.15756/dls.2015.0.59.99>. |
미소장 |
21 |
전순영, 김회권(2019), “미로슬라브 볼프(Miroslav Volf)의 기억 담론에 의거한 한국 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신학사상』, 185: 405-438, <10.35858/sinhak.2019.. 185.014>. |
미소장 |
22 |
전진성(2005),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이론과 실천을 위한 기억의 문화사』, 24,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3 |
정근식(201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
미소장 |
24 |
정근식(2020), “5월운동의 성과와 한계: 과거청산과 이행기 정의 사이에서”, 『경제와사회』, (126): 12-46. |
미소장 |
25 |
정승현(2014), “과거사 청산의 ‘정의(正義)’ 논쟁과 그 사상적 함의”, 『현대정치연구』, 7(1): 225-258. |
미소장 |
26 |
제주4, 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2003), 『제주4, 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서울: 제주4, 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
미소장 |
27 |
조르조 아감벤(Giorgio Agamben) 저, 강승훈 옮김(2008), 『남겨진 시간: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에 관한 강의』, 서울: 코나투스. |
미소장 |
28 |
주봉호(2014), “남북관계의 과제: 화해와 협력”, 『국제정치연구』, 17(2): 193-217, <10.15235/jir.2014.12.17.2.193>. |
미소장 |
29 |
차승주(2019), “평화ㆍ통일교육의 핵심 내용으로서 ‘화해’에 대한 시론적 고찰”, 『평화학연구』, 20(3): 33-51. |
미소장 |
30 |
천자현(2015), “다음 세대를 위한 한일 관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화해, 그리고 회복적 정의”, 『일본비평』, 7(1): 26-49. |
미소장 |
31 |
최호근(2019), 『기념의 미래: 기억의 정치 끝에서 기념문화를 이야기하다』,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
미소장 |
32 |
카를 슈미트(Carl Schmitt) 저(1932), 김효전·정태호 옮김(2012), 『정치적인 것의 개념:서문과 세 개의 계론을 수록한 1932년 판『, 파주: 살림. |
미소장 |
33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저, 김선욱 역(2006),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파주: 한길사. |
미소장 |
34 |
한홍구(2016), “한국의 과거청산과 『반헌법행위자열전』 편찬사업”, 『경제와사회』, (109): 12-51. |
미소장 |
35 |
황수환(2020), “남북정상회담의 지속과 변화: 화해를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23(2): 441-465. |
미소장 |
36 |
Arendt, H.(1998), 『The Human Con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37 |
Baksbat (Broken Courag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ventory to Measure Baksbat, a Cambodian Trauma-based Cultural Syndrome of Distress  |
미소장 |
38 |
Crocker, D. A.(2003), “Reckoning with Past Wrongs: A Normative Framework”, 『Dilemmas of Reconciliation: Cases and Concepts』(edited by Prager, C., & T. Govier), 54-55, Ontario: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De Gruchy, J. W.(2002), 『Reconciliation: Restoring Justi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
미소장 |
40 |
Derrida, J.(2002), 『On Cosmopolitanism and Forgiveness』, 27-59,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41 |
Griswold, C. L.(2007), 『Forgiveness: a philosophical exploration』,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2 |
Helmick, R. G., & R. L. Petersen(2002),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Religion, Public Policy, and Conflict Transformation』, PA: Templeton Foundation Press. |
미소장 |
43 |
Humphrey, M.(2002), 『The Politics of Atrocity and Reconciliation: From Terror to Trauma』,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44 |
Nordquist, K.(2017), 『Reconciliation As Politics: A Concept and Its Practice』, Oregon: Picwick Publications. |
미소장 |
45 |
Park, M. L.(2018), “Towards a Universal Model of Reconciliation: The Case of the Jeju 4.3 Incident,” 『Journal of Korean Religions』, 9(1): 105130, . |
미소장 |
46 |
Quinn, J. R.(2009), 『Reconciliation(s): Transitional Justice in post conflict societies』, Montreal: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7 |
Schaap, A.(2005), 『Political Reconciliation』,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48 |
Volf, M.(2012), 『배제와 포용』, 서울: IVP. |
미소장 |
49 |
Volf, M.(2017), 『Flourishing: Why We Need Religion in a Globalized World』, New Haven, CT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0 |
Zehr, H.(1985), "Retributive Justice, Restorative Justice”, 『New Perspectives on Crime and Justice』, (4): 1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