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세계사 교육의 위기와 해법의 모색 = Crisis of world history education and its solution / 윤종배 1

목차 1

I. 머리말 1

II. 세계사 교육, 고민의 내력 3

1. 세계사 교육의 목적 3

2. 교육과정 개정의 맥락 5

3. 교육과정에 대한 재구성 노력 6

III. 교사 차원의 해법 모색 8

1. 교수 내용 지식의 정련 8

2. 집단지성을 구하는 교사 연수 12

IV. 역사 교사의 역할 확대 14

1. 교육과정을 '구성' 하는 시도 14

2. 교육과정 개정과 교사의 역할 확대 16

V. 맺음말 18

참고문헌 20

국문요약 21

Abstract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사 속 민주시민 교육의 성과와 한계 : Limitations of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in history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Weimar Republic of Germany / 독일 바이마르공화국 사례를 중심으로 최선아 p. 233-251

보기
유럽 근대 역사학과 19세기 한·일 근대 역사교육의 형성 : European modern history and the formation of modern history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 birth of imperialism and nationalism historiography / 제국주의 역사학과 민족주의 역사학의 탄생 김가연 p. 203-232

보기
세계사 교육의 위기와 해법의 모색 = Crisis of world history education and its solution 윤종배 p. 181-202

보기
지역학으로서 나주학의 발전 방향과 전망 =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prospect of Naju Studies as a area studies 김춘식 p. 157-179

보기
재한조선족 집거지 내부의 사회단체조직설립 특징과 함의 =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Korean-Chinese social group organization in Korea 김진열 p. 131-156

보기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역사 교사의 교사 교육과정 성찰 : Reflect on the teacher's curriculum of a history teacher through self-study : focused on analyzing the cause of the gap between teaching Korean modern history and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about 'peace and unification' / '평화통일'에 관한 한국 현대사 수업과 수행평가 결과 간 괴리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손석영 p. 63-101

보기
학생 참여형 역사수업에서 평가 방안 =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for student-engagement history class 김수미 p. 43-62

보기
역사과 교과 역량 설정과 평가의 과제 = A study on formulating and assessing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in history education 박주현 p. 9-41

보기
미군정기 서울시 학무국의 활동과 메이데이 시위 학생참여 사건 = The activities of the Seoul Department of Education during the U.S. military period and the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May Day protest 김동선 p. 103-129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종훈, 읽고, 쓰고, 말하는 역사, 신림중학교, 2017. 미소장
2 김태현,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좋은교사, 2012. 미소장
3 사초모임, 사초로 보는 역사, 전국역사교사모임, 2018. 미소장
4 윤종배, 역사 속으로, 세상 밖으로, 수락중학교, 2015. 미소장
5 윤종배, 역사 수업의 길을 묻다, 휴머니스트, 2018. 미소장
6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백서, 2005. 미소장
7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역사 배움책, 2011. 미소장
8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휴머니스트. 2019. 미소장
9 강선주, 「초·중·고등학교에서 세계사를 어떻게 가르칠까」, 역사교육연구소 교육과정 행사 자료집, 2019. 미소장
10 김육훈, 「세계사 교과서 속의 전쟁과 평화, 그리고 서구 중심사관」, 역사교육 61, 전국역사교사모임, 2003 미소장
11 김육훈, 「민주주의ㆍ인권 그리고 세계사교육」, 역사와 교육 6, 역사교육연구소, 2012. 미소장
12 김진아, 「학생들이 세계사에서 ‘중요한 역사’를 판단하는 기준」, 역사교육 143, 2017. 미소장
13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쟁점」, 역사교육연구 23,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미소장
14 남한호, 「역사교사가 구성하는 세계사 교육과정」, 역사교육연구소 교육과정 행사 자료집 2019. 미소장
15 박소연, 「중등 세계사 교육의 목적에 관한 논의」, 역사교육연구 35,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미소장
16 박중현 외, 「다시 세계사 교육의 길을 묻다」, 역사와 교육 12, 역사교육연구소, 2015. 미소장
17 손석영, 「역사과 선택과목, ‘역사탐구’ 신설의 필요성과 가능성」, 역사와 교육 16, 역사교육연구소, 2017. 미소장
18 양정현,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논리와 계열성」. 歷史敎育 120, 역사교육연구회, 2011. 미소장
19 윤종배, 「2015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시안에 부쳐」, 사발통문 1, 역사교육연구소, 2018. 미소장
20 윤종배, 「역사교사가 구성하는 교육과정을 향하여」, 역사와 교육 19, 역사교육연구소, 2020. 미소장
21 이성호, 「세계사 수업과 교육과정」, 역사교육 127, 전국역사교사모임, 2019. 미소장
22 최상훈, 「세계사 교육의 쟁점과 당면 과제」, 歷史敎育 138, 역사교육연구회, 2016. 미소장
23 허영훈,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합 초등학교 문화유산 학습의 실제」, 역사교육연구 33,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