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방과후학교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124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특수학교 재학 자녀를 둔 학부모 6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역사회 협력 및 방과후 활동 추진을 위한 운영시스템 구축, 온라인시스템의 구축, 지역사회 방과후 교육기관 및 시설의 확충, 학생안전망구축, 우수강사 수급방안 및 관리시스템의 확충, 재정적 기반과 법·제도적 근거 마련, 수요자 중심의 질 높은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협력기반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문화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활성화 방안은 장애학생들에게 더욱 절실한 문제인 지역사회 적응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활동을 강화하고, 지역사회가 장애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크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VID-19로 인해 초등교사가 경험한 온라인 체육수업 계획과 실천의 어려움과 극복방안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online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s during COVID-19 outbreak 백준형 윤성준 p. 113-129

워커의 자연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이 대학 융합전공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탐구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Walker's naturalistic model to the convergence major curriculum development 최혜미 p. 149-168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생선수 학업-운동 병행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combination of study and exercise of student-athlete using topic modeling 윤기준, 정현우 p. 131-148

체육 수업시 스마트폰 앱(App) 활용의 적용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effect of using smart phone app in physical education class 이대형, 진지형 p. 97-112

아폴로 13호 여정에서 나타난 홀리스틱 교육의 기본원리 = The basic principles of holistic education in the journey of Apollo 13 홍지완 p. 77-95

레인(H. Lane)의 유아교육관의 교육적 시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Lane'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views 최은주, 강기수 p. 51-76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on career decision levels :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나연, 김민정, 박미화 p. 31-50

지역사회 협력기반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special school after school based on community cooperation 장영경, 조흥순 p. 1-30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신천(2017). 지역사회와의 협력에 기반한 방과후학교 운영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연구보고서. 미소장
2 강흥수·홍석노·신용운(2013). 미래형 방과후학교 모델설계: 성남시 시범사업.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미소장
3 곽지혜(2011). 학교-지역사회 네트워크 중심의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4 김양화(2013). 지적장애 학생 방과후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연구. 조선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논문. 미소장
5 김주옥(2008). 유아 특수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6 김태은·권순애·김종해·송근후·신선희·이보미·이수진·전용화(2017). 지역사회가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 인천광역시 남구교육혁신지구를 중심으로. 인천교육과학연구원 교육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미소장
7 변미숙(2010). 초등특수학급 방과후학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8 서산나(2019).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음악 강사들의 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9 성근영(2014). 방과후학교 운영체제 인식과 교육효과성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신유정(2010). 초등 방과후학교의 운영에 관한 학부모, 교사, 강사의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1 안귀자(2006). 과천시 장애아 방과후 프로그램의 부모 만족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2 우현(2006). 방과후 지역사회 체험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대인관계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3 이미래(2016).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4 임금섭(2007). 특수학급 방과후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5 조성국(2010). 특수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6 주정훈·강민정·김세희·김보영·최정윤(2017). 학교와 자치구가 협력하는 마을방과후학교 운영방안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연구보고서. 미소장
17 표말란(2009). 특수학교 방과후학교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8 아시아경제(2019.03.14.). 외면받는 방과후학교, 참여율 5년 연속 하락.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9031310350963331에서 2019.04.10. 검색. 미소장
19 Strauss, A. & Corbin, J. (1991).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 33-25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