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골프 스코어 관리 앱(App) 이용의도 예측 : Prediction of intention to use the golf score management app with TAM :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s /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 김동규, 한진욱, 서일한 p. 303-316
트랜스젠더의 스포츠 접근권에 관한 윤리적 고찰 = An ethical review of transgender’s right to access to sport 박성주 p. 1-12
스포츠 개념 재정립의 필요성과 방향 = Redefining sport : the necessity and direction 유환일, 박성주 p. 13-25
유소년 스포츠클럽 참여자의 참여지속을 위한 활동 모형 탐색 = Exploration of activity model for participation maintenance from youth sports club participant 김세환, 최미영 p. 27-39

스포츠 클라이밍의 매력과 문화특성 = The attractiv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ports climbing 최지원, 이근모, 장승현 p. 41-53
불법 스포츠도박, 왜 빠져 드는가? : Why do people fall into illegal sports gambling? : focused on Korean school elite sports athletes / 학원 엘리트스포츠 선수들을 중심으로 권기남 p. 55-68

중국 체육계의 사회적 표상 : A social representation of the Chinese sporting world : an image of the sporting world recognized by the Chinese people / 중국 국민이 인식하는 체육계 이미지 진패, 박재우 p. 69-83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태권도장의 대응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Taekwondo gym struggle against to the COVID-19 : focusing on Taekwondo leaders / 태권도장 경영자를 중심으로 이미연 p. 85-101
Horizontal-Vertical 착시 지각과 난이도 조건이 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horizontal-vertical illusion and index of difficulty on motor control 김준희, 김상범 p. 103-113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그릿이 경쟁상태불안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grit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performance 신성진 p. 115-129
중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체력 및 학업수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physical strength, and learning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천성민, 김윤희 p. 131-141
스포츠윤리에 대한 엘리트스포츠 지도자의 인식 : Elite sports coaches’ perception of sports ethics : a mixed-method study / 혼합연구방법의 적용 최유리, 최창환 p. 143-155

중등 체육교사의 온라인 체육수업 지도양상과 영향 요인 탐색 = Exploring secondary PE teachers’ online PE teaching sty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손혁준, 이옥선 p. 157-175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 지도 교사의 진학 지도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gram guidance experience of after-school guidance teacher for athletic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김재호, 최대혁, 이의재 p. 177-196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프로배구 미래경영전략 = A study on professional volleyball future management strategy through delphi technique 임승재, 이정학, 이은정 p. 197-208
스포츠센터 이용객의 가치공동창출, 심리적 소유감,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lue co-creation, psychological ownership,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customers in the sports fitness center 박혜리, 윤지인, 한진욱 p. 209-225
공유가치창출(CSV)전략에 대한 스포츠 참여자의 목표지향적 행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reating shared value(CSV) strategy on sports participants’ purchase intention : the role of authenticity / 진정성의 역할 박성종 p. 227-247
스포츠 인플루언서의 이용동기가 신뢰 및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ports influencer’s use motivations on trust and consumer behaviors 박혜원, 홍석표 p. 263-273
학교체육시설 개방에 따른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의 적용 = 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CPTED) to increase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for sport for all 주형철, 최미화, 권형일 p. 249-262

유소년 스포츠클럽의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충성도 및 교육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f youth sports clubs, student satisfaction, loyal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이예슬, 조송현, 추나영 p. 275-287
국내 프로야구 타자의 경기력과 FA제도 적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batters’ performance and the application of free agent system 강현민, 이현섭 p. 289-301
바이애슬론 유럽 및 세계선수권대회 스프린트 종목의 경기력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in Biathlon European & world championship sprint events 성봉주, 김철우, 김재중 p. 533-549
건강태도와 혁신성을 적용한 인공지능 헬스케어 플랫폼 기술수용의도 검증 = Verif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ealthcare platform with health attitude and user innovativeness 이제욱, 김현정 p. 317-331
대학생의 운동참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운동몰입 간 구조적 관계 해석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채진수, 배원열, 한동유 p. 333-348
한국 암환자 및 암 생존자의 신체활동 영역과 삶의 질의 관계 :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domain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cancer patients and survivors :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2014-2017 / 국민건강 영양조사 2014년부터 2017년 자료를 바탕으로 민지희, 김지영, 이정민, 전용관 p. 349-362
부모의 사회경제적지위 및 스포츠양육에 따른 자녀의 엘리트 스포츠 참여 종목 선택 = Choice of sport in child’s elite spor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sports parenting 박광호 p. 363-377
한국 및 OECD 회원국의 활동적 노년지수(Hartford Aging Index) = Hartford aging index of Korea and OECD countries 배재윤 p. 379-390
체육학 전공 대학생의 크로스핏 참여 경험 및 인식 =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rticipation of crossfit for physical education majors 정민영, 임현주 p. 391-401
진지한 여가 비용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Development of the serious leisure cost scale (SLCS) and validity verification 김태환, 황선환 p. 403-419
JU 동작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의 관절가동범위와 통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JU movement therapy on range of motion and pai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전현주 p. 421-431
평생교육원 실용무용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교육이 전공자의 학업지속의향, 지속적 대회참여 미치는 영향 = Continuing education practical dance influence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education on the academic persistence attitud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competition 최용원 p. 433-448
스포츠윤리센터의 설립 기대효과 분석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xpected effect of establishment of sports ethics center 박상현 p. 449-459
벤치프레스 운동 시 반복횟수, 반복시간 및 큰가슴근과 위팔세갈래근의 근전도 변화 = Changes in the number of repetition, repeated time, EMG activities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brachii muscles during bench press 김병관, 김기홍 p. 461-473

8주간의 엉덩 관절 유연성 트레이닝이 벨리 댄서들의 힙-쉬미(Hip-Shimmy) 동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 8-week hip joint flexibility training on hip-shimmy movement of belly dancers 송영은, 윤석훈 p. 475-483
모션캡쳐 시스템에 기반한 GPS 측정장비의 정확성 분석 = Analysis of accuracy on the GPS system based on the motion capture system 이승훈, 최형준 p. 485-494
선형혼합모형에 의한 급내상관계수 =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by linear mixed models 김진욱 p. 495-510
활동에 제한이 있는 사람들의 신체활동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f people with limited activity : focusing on audiovisual problem / 시청각문제 중심으로 구교만, 김경진 p. 511-518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이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disabled living sports leade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정영기, 문경민, 이현수 p. 519-532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11). 예술⋅체육 중점학교. 창의인성교육과. 미소장
2 교육부(2019). 2019년 방과 후 학교 운영 현황 통계. 기준일 2019.04.30. 미소장
3 김성호(2017). 체대입시 준비 과정에서 수험생들이겪는 어려움과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 김성희(2010). 체육계열학과 입시생들의 대학 진학준비과정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5 김준형(2017). 체육계열 학과 진학을 위한 고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6 김준형, 박정준(2019). 체육계열학과 진학을 위한고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4), 17-32. 미소장
7 김태봉(2013). 체육계열 대학 입시학원의 체험에대한 교육적 해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8 노유찬(2020). 남성 요가 수련자의 몰입 경험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미소장
9 박정준(2017). 체육 교과 역량 함양 교육에 관한 지도주체별 인식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2(2), 1-17. 미소장
10 심율아(2013). 방과 후 학교 체대입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연구: 사설체대입시 기관과의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1 윤기준, 전세명, 정현수(2017). 체육교사학습공동체참여 양상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21(5), 624-634. 미소장
12 윤기준, 이윤수(2019). 체육중점학교 운영 경험에대한 내러티브탐구. 체육과학연구, 30(3), 555-571. 미소장
13 윤기준, 정현수(2020). 체육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통한 교사 전문성 개발 양상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2), 1-17. 미소장
14 이규일, 오정훈, 천항욱(2020). 진로교육 관점에서본 체육중점학교 교육과 정의 성과와 한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7(1), 71-94. 미소장
15 이동성, 김영천(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고찰. 열린교육연구, 20(2), 1-26. 미소장
16 이만규(2006). 체육계열 대학 진학 학생들의 체대입시학원 이용 실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7 이무원(2010). 고등학교 체육집중과정반 운영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8 이용오(2019). 체대입시 수험생의 스트레스와 탈진과의 관련성 규명.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이의재, 유정애(2016). 교육실천공동체활동을 통하초임 체육교사의 성장과정 이해. 한국체육학회지, 55(1), 285-298. 미소장
20 이의재(2019). 체육교과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2), 89-104. 미소장
21 이지은(2016). 체육계열학과 대학입시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2 이창현(2010).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미소장
23 이창현, 오정훈, 김택천, 이규일(2018). 체육중점학교 사업의 성과와 반성 : 세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5(4), 65-86. 미소장
24 임성철, 이승범, 이대형(2012). 체대진학을 위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고교생의경험.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7(2), 39-50. 미소장
25 제성준(2019).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계열 대학교 진학지도 개선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9(23), 1011-1035. 미소장
26 조두연(2011).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만족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7 주문학(2008). 체육계열학과 입시전문교육기관에대한 이용만족도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8 주병하(2014). 체대입시반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과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67-85. 미소장
29 천현진(2016). 체육학과 입시생의 대학 입학 준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0 통계청(2019). 가구의 월평균 소득별 학생 1인당 월평균사교육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미소장
31 한국교육개발원(2011). 졸업 후 상황. 교육통계 서비스. 미소장
32 한국교육개발원(2017).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미소장
33 한국교육개발원(2018).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미소장
34 한국교육개발원(2019). 졸업 후 상황. 교육통계 서비스. 미소장
35 한국교육개발원(2019). 교육통계연보 대학 통계-학과 계열별 지원자 수. 교육통계 서비스. 미소장
36 Strauss, A. & Corbin, J.(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theory. 신경림 옮김 (2003).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