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순긍, 「「콩쥐팥쥐전」의 형성과정 재고찰」, 『고소설연구』34, 2012, 251-283쪽. |
미소장 |
2 |
그림 형제, 김경연 옮김, 『그림 형제 민담집.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 현암사, 2012. |
미소장 |
3 |
김환희, 「「신데렐라」와 닮은 꼴이 된 그림책 「콩쥐팥쥐」」, 『옛이야기와 어린이책』, 창비, 2009. |
미소장 |
4 |
김환희, 『옛이야기 공부법』, 창비, 2019. |
미소장 |
5 |
미셸 푸코, 이상길 옮김,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
미소장 |
6 |
박현수, 「산드룡, 재투성이, 그리고 신데렐라」, 『상허학보』, 16, 2006, 249-283쪽. |
미소장 |
7 |
방정환,『 사랑의 선물』, 개벽사 발행, 박문서관 발매, 1928. 11. 5. 제11판. |
미소장 |
8 |
방정환, 한국방정환재단 엮음, 『정본 방정환 전집 1』, 창비, 2019. |
미소장 |
9 |
샤를 페로, 로베르토 이노첸티, 이다희 옮김, 『신데렐라』, 비룡소, 2007. |
미소장 |
10 |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경진출판, 2014. |
미소장 |
11 |
李姃炫, 「方定煥の飜譯童話硏究–『 サランエソンムル(사랑의 선물)』を中心に」, 大阪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8. |
미소장 |
12 |
이지원, 「어린이 이미지의 문화사: 잡지 『신여성』에 나타난 어린이 이미지」,『현대문학의 연구』 62, 2017, 119–155쪽. |
미소장 |
13 |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신화에서 역사로』, 산처럼, 2005. |
미소장 |
14 |
楠山正雄, 「サンドリヨンの話 : 又の名 ガラスの上靴」, 『世界童話名作集 第1編』, 家庭読物刊行会, 1920, 125-149쪽. |
미소장 |
15 |
Defrance, Anne. “Sous la cendre – Figures de Cendrillon”, anthologie établie et postfacée par Nicole Belmont et Elizabeth Lemirre, Paris: Éd. José Corti, 2007, pp. 259–263. http://journals.openedition .org/ feeries/723(최종검색일 2020. 9. 24) |
미소장 |
16 |
KIM, Sun Nyeo. “A la recherche de la véritable Kong-ji, Cendrillon coréenne” in Cenerentola come testo culturale, Lithos, (2016): pp. 225–232. |
미소장 |
17 |
Lang, Andrew. (ed), “Cindellera, or the little gralss slipper”, The blue fairy book, 1889. http://www.gutenberg.org/files/503/503-h/503-h.htm#link2H _4_0007 |
미소장 |
18 |
Perrault, Charles. Contes. Illustration de Gustave Doré, Présentation, notes et guide de lecture par Anni Collognat-Barès, Dominiques Brunet et, Frédéric Dronne, Collection Classique, Pocket, 2006. |
미소장 |
19 |
Velay-Vallantin, Catherine. “Charles Perrault, la conteuse et la fabuliste : l’image dans le tapis” in Le Conte et la Fable, Féeries, Université Grenoble Alpes, (2010): pp. 95-121. http:// journals.openedition .org/feeries/75(최종검색일 2020. 9. 7) |
미소장 |
20 |
Gustave Doré, Cendrillon, 1867, Ⓒ BNF |
미소장 |
21 |
스즈키 젠타로 그림, 이정현 논문 2장 |
미소장 |
22 |
기산 김준근, 「시집가서 잔 붓는 모양」, 17x13cm, 1888, Ⓒ Guimet 미술관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