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토리텔링으로서의 폴의 자아 탐색 과정 = Paul’s searching process of the self in the viewpoint of storytelling 양영재 p. 177-205
동서양 고전에 나타난 사회개혁 의지와 유토피아 건설 : The will for social reform and the construction of utopia in Eastern and Western classics : focused on Gulliver’s Travels and Heosaengjeon / 『걸리버 여행기』와 『허생전』을 중심으로 신만철 p. 151-175
(A) study on the collective violence and tragic death in The House of Mirth = 『환락의 집』에 나타난 집단적 폭력과 비극적 죽음에 대한 고찰 Kang, Jun-soo p. 399-417
『신데렐라』 다시 읽기 : Re-reading of Cinderella : two archetypal images, primary mother and a girl who sits beside the fire / '원초적 어머니'와 '불가의 소녀' 여성 원형상을 중심으로 최율리 p. 365-397
터키의 켈올란(Keloğlan) 사례를 통한 민담형 바보 캐릭터의 콘텐츠화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ontentization for folktale-type idiot characters through the case of Keloğlan in Turkey 조홍윤 p. 327-364
확장된 공감으로서의 VR영화 연구 : VR film as extended empathy : VR movie Meet the Memories case-based / VR영화 <기억을 만나다> 사례중심으로 전주현 p. 297-325
비정상인에서 정상인으로의 권력 이동 : The movement of power from the abnormal to the normal : Roald Dahl's George's Marvelous Medicine / 로알드 달의 『조지, 마법의 약을 만들다』를 중심으로 염주경 p. 207-225

러시아 소수민족언어의 겉과 속 :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Russian minority languages : focusing on analysis of Castels & Miller’s type theory / 캐슬스와 밀러(Castels & Miller)의 유형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국 p. 261-295
TV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의 서사 특징과 일본 4차 한류 현상의 상관관계 연구 = Cor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features of the TV drama Crash Landing on you and the Korean Wave phenomenon 이승희 p. 227-259
증강현실 기반 외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 AR bas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 application of Korean-French fairy tales / 한·불 전래동화의 활용 류선정 p. 123-150
정치권력에 따른 '진보' 개념의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gressivism’ concept change due to political power 김병건 p. 15-37

'신데렐라'의 문화적 이미지 : Cultural image of Cinderella : comparative study with Perrault’s and Bang Jeong Hwan’s versions and other translations / 페로와 방정환의 판본과 여러 번역본 비교연구 김순녀 p. 101-122
유리 올레샤의 『질투』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문제 = The problem of world perception in Yury Ollesha's Envy 김성일 p. 69-100
사극 뮤지컬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A study on storytelling strategy of historical musical : focused on Sejong, 1446 / <세종, 1446>을 중심으로 김선미 p. 39-67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순긍, 「「콩쥐팥쥐전」의 형성과정 재고찰」, 『고소설연구』34, 2012, 251-283쪽. 미소장
2 그림 형제, 김경연 옮김, 『그림 형제 민담집.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 현암사, 2012. 미소장
3 김환희, 「「신데렐라」와 닮은 꼴이 된 그림책 「콩쥐팥쥐」」, 『옛이야기와 어린이책』, 창비, 2009. 미소장
4 김환희, 『옛이야기 공부법』, 창비, 2019. 미소장
5 미셸 푸코, 이상길 옮김, 『헤테로토피아』, 문학과 지성사, 2014. 미소장
6 박현수, 「산드룡, 재투성이, 그리고 신데렐라」, 『상허학보』, 16, 2006, 249-283쪽. 미소장
7 방정환,『 사랑의 선물』, 개벽사 발행, 박문서관 발매, 1928. 11. 5. 제11판. 미소장
8 방정환, 한국방정환재단 엮음, 『정본 방정환 전집 1』, 창비, 2019. 미소장
9 샤를 페로, 로베르토 이노첸티, 이다희 옮김, 『신데렐라』, 비룡소, 2007. 미소장
10 염희경, 『소파 방정환과 근대 아동문학』, 경진출판, 2014. 미소장
11 李姃炫, 「方定煥の飜譯童話硏究–『 サランエソンムル(사랑의 선물)』を中心に」, 大阪大學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2008. 미소장
12 이지원, 「어린이 이미지의 문화사: 잡지 『신여성』에 나타난 어린이 이미지」,『현대문학의 연구』 62, 2017, 119–155쪽. 미소장
13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신화에서 역사로』, 산처럼, 2005. 미소장
14 楠山正雄, 「サンドリヨンの話 : 又の名 ガラスの上靴」, 『世界童話名作集 第1編』, 家庭読物刊行会, 1920, 125-149쪽. 미소장
15 Defrance, Anne. “Sous la cendre – Figures de Cendrillon”, anthologie établie et postfacée par Nicole Belmont et Elizabeth Lemirre, Paris: Éd. José Corti, 2007, pp. 259–263. http://journals.openedition .org/ feeries/723(최종검색일 2020. 9. 24) 미소장
16 KIM, Sun Nyeo. “A la recherche de la véritable Kong-ji, Cendrillon coréenne” in Cenerentola come testo culturale, Lithos, (2016): pp. 225–232. 미소장
17 Lang, Andrew. (ed), “Cindellera, or the little gralss slipper”, The blue fairy book, 1889. http://www.gutenberg.org/files/503/503-h/503-h.htm#link2H _4_0007 미소장
18 Perrault, Charles. Contes. Illustration de Gustave Doré, Présentation, notes et guide de lecture par Anni Collognat-Barès, Dominiques Brunet et, Frédéric Dronne, Collection Classique, Pocket, 2006. 미소장
19 Velay-Vallantin, Catherine. “Charles Perrault, la conteuse et la fabuliste : l’image dans le tapis” in Le Conte et la Fable, Féeries, Université Grenoble Alpes, (2010): pp. 95-121. http:// journals.openedition .org/feeries/75(최종검색일 2020. 9. 7) 미소장
20 Gustave Doré, Cendrillon, 1867, Ⓒ BNF 미소장
21 스즈키 젠타로 그림, 이정현 논문 2장 미소장
22 기산 김준근, 「시집가서 잔 붓는 모양」, 17x13cm, 1888, Ⓒ Guimet 미술관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