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혜영・김주경. (2020). 정책 리터러시가 신뢰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자력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1): 97-117. |
미소장 |
2 |
국가보훈처. (2019). 「보훈연감」. 국가보훈처. |
미소장 |
3 |
국가보훈처. (2020). 「2020년도 보훈업무 시행지침(Ⅰ)」. 국가보훈처. |
미소장 |
4 |
금현섭・백승주. (2010). 정치적 이념, 정부신뢰 그리고 정책지지. 「행정논총」, 48(4): 201-228. |
미소장 |
5 |
김근식・김서용. (2017). 다차원적 편익지각이 원자력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행정논총」, 55(4): 207-245. |
미소장 |
6 |
김상현・박현선. (2017). 개인 및 기술 특성이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수용저항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239-253. |
미소장 |
7 |
김서용・최상옥・김동근. (2010). 新과학기술 수용성의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함의. 「한국정책학회보」, 19(1): 211-396. |
미소장 |
8 |
김재근・권기헌. (2007). 한강유역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정책수용성-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6(4): 173-199. |
미소장 |
9 |
김주경・김영곤・강제상. (2018). 원자력발전소 지역주민의 참여가 수용성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가?: 신뢰, 지식, 위험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3): 331-347. |
미소장 |
10 |
김주경・조광래・이홍재. (2015). 지역주민의 환경정책 참여 요인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2(2): 241-258. |
미소장 |
11 |
김현준・이일용. (2013). 교육정책 정보제공이 교원의 이해를 매개하여 정책지지에 미치는 효과. 「교육행정학연구」, 31(2): 91-115. |
미소장 |
12 |
문상호・권기헌. (2009). 한국 정책학의 이상과 도전: 한국적 맥락의 정책수용성 연구를 위한 성찰적 정책모형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보」, 18(1): 1-28. |
미소장 |
13 |
민기(2009). 지역 주민의 농촌성(Rurality)이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53-70. |
미소장 |
14 |
박중훈・류현숙・김윤희・박정우. (2012). 「나라사랑정신 확산을 위한 보훈선양정책 활성화 방안연구」. 국가보훈처. |
미소장 |
15 |
박호정・조성진・류호준. (2018). 광역시 지역주민의 원전계속운전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머신러닝과 CVM 기법의 적용. 「한국지방행정학보」, 15(2): 27-46. |
미소장 |
16 |
서울지방보훈청. (2019). 「알기 쉬운 보훈행정용어집」. 서울지방보훈청. |
미소장 |
17 |
성욱준. (2013).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정책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워크센터 사용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2(1): 331-359. |
미소장 |
18 |
송하중・김주경・고대유・황원동. (2011). 우리나라 국민들의 원자력발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방행정학보」, 8(2): 87-109. |
미소장 |
19 |
양병화. (2018). 공익광고캠페인의 호감도와 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체계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199-206. |
미소장 |
20 |
양진연・고계성. (2018). 여행주간제도 정책상황인식, 정책지지, 정책수용과의 구조적 관계연구:경상남도 봄여행주간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4(2): 73-89. |
미소장 |
21 |
오은비・이경아・이연택. (2016).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 공중관계성, 정책리터러시,정책지지의 관계구조 분석. 「관광연구논총」, 28(3): 33-54. |
미소장 |
22 |
오진영. (2008). 한국 보훈정책의 성찰적 회고와 전망. 「한국사회정책」, 15(1): 39-90. |
미소장 |
23 |
오현정・이찬구. (2019). 정책집행주체의 이중지위와 수용행태의 관계: 여성과학기술인 활용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1(1): 33-58. |
미소장 |
24 |
원숙연. (2011). 인종적 소수자 정책에 대한 수용성의 영향요인: 적극적 조치와 불법이민자 정책에 대한 미국인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4): 327-351. |
미소장 |
25 |
윤병섭. (2012). 대학생들의 보훈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9(1): 61-76. |
미소장 |
26 |
윤병섭・이홍재. (2011). 사회자본과 협력거버넌스: 국가유공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1(3): 161-175. |
미소장 |
27 |
이민창・안주아・김유미. (2018). 원자력에 대한 지식이 위험지각, 정부신뢰 및 수용성에 미치는영향: 원자력발전소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11(3): 54-74. |
미소장 |
28 |
이병혜. (2017). 소셜TV 비이용자의 혁신저항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 이론과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8(6): 101-112. |
미소장 |
29 |
이영안・박미경・이홍재. (2019). 지역주민의 정책리터러시 결정요인: 아동친화정책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4(1): 23-52. |
미소장 |
30 |
이영안・이홍재. (2018). 아동친화정책 PR효과 요인의 구조적 관계 연구. 「국정관리연구」, 13(1): 189-210. |
미소장 |
31 |
이정수. (2019).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법・정책, 경제, 인식적 요인의 관점. 「한국정책연구」, 19(2): 67-87. |
미소장 |
32 |
이준범. (2020). 지방정부의 사회혁신 수용 과정과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과 이중구속(double bind) 행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3(4): 71-98. |
미소장 |
33 |
이홍재. (2018). 교도소 인근 지역주민의 지각된 위험과 편익이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교도소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5(1): 87-106. |
미소장 |
34 |
이홍재・차용진. (2016). 보훈 관련 정부기념행사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1): 85-107. |
미소장 |
35 |
정광호. (2008). 정책 리터러시 함수 분석: 시민활동변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46(4): 73-104. |
미소장 |
36 |
정기용・박형준・조경훈. (2020). 정책행위자에 대한 인식이 규제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게임이용장애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15(3): 65-92. |
미소장 |
37 |
정원준. (2017). 정책결정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9(3): 99-135. |
미소장 |
38 |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정광호. (2013).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
미소장 |
39 |
정주용. (2008). 정책수용성 급변의 카타스트로프적 설명: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입지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7(2): 181-205. |
미소장 |
40 |
정헌구・정진도. (2019).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32(4): 437-456. |
미소장 |
41 |
주경일. (2019). 교육부의 대학구조조정정책 수용성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조직-공중관계성 이론의 적용. 「한국정책연구」, 19(3): 47-72. |
미소장 |
42 |
최연홍・오영민. (2004). 정책수용성의 시간적 변화: 위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입지 갈등 사례. 「한국정책학회보」, 13(1): 297-333. |
미소장 |
43 |
최예나・김이수. (2018). 공론화 정책영역에서 정책집행 요인이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32(3): 177-195. |
미소장 |
44 |
통계청. (2019). 보훈대상자 지원현황. |
미소장 |
45 |
허범. (1982). 정책의 수용성과 행정의 민주화. 「현대사회」. |
미소장 |
46 |
허범. (1988). 새로운 공공행정의 모색: 민본행정의 이념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제1차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집」. |
미소장 |
47 |
황은정・이근주. (2019). 서울시 공무원의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4): 115-146. |
미소장 |
48 |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미소장 |
49 |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benefit.  |
미소장 |
50 |
Barclay, D., Thompson, R. & Higgins, C.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2(2): 285-309. |
미소장 |
51 |
An empirical study for the direct and indirect links between trust in regulatory institutions and acceptability of hazards  |
미소장 |
52 |
Cunningham, S. (1967). The Major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In: D. Cox (Ed.), Risk Taking and Information Handling in Consumer Behavior.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
미소장 |
53 |
Acceptance and Support of the Australian Carbon Policy  |
미소장 |
54 |
Duncan, J. W. (1981). Organizational Behavior (2nd). Moughton Miffilin Co., Boston. |
미소장 |
55 |
Eriksson, L., Garvill, J., & Nordlund, A. M. (2008). Acceptability of Single and Combined Transport Policy Measure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and Policy Specific Belief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42: 1117–1128. |
미소장 |
56 |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
미소장 |
57 |
The affect heuristic in judgments of risks and benefits  |
미소장 |
58 |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
미소장 |
59 |
Gärling, T., Jakobsson, C., Loukopoulos, P., & Fujii, S. (2008). Public Acceptability of Road Pricing. In: Verhoef, E. T., Bliemer, M. C. J., Steg, L., van Wee, B. (Eds.), Pricing in Road Transport: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Edward Elgar, Cheltenham, UK/ Northampton, MA, USA. |
미소장 |
60 |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E., &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미소장 |
61 |
The Positive and Negative Framing of Affirmative Action: A Group Dominance Perspective  |
미소장 |
62 |
The effect of knowledge types on consumer‐perceived risk and adoption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
미소장 |
63 |
On the primacy of cognition.  |
미소장 |
64 |
Thinking about Affirmative Action: Arguments Supporting Preferential Policies  |
미소장 |
65 |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Risk at the Brand Level  |
미소장 |
66 |
Exploring the Structure of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Food  |
미소장 |
67 |
Explaining differences in acceptability before and acceptan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 congestion charge in Stockholm  |
미소장 |
68 |
Perception of gene technology, and food risks: results of a survey in Switzerland  |
미소장 |
69 |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  |
미소장 |
70 |
Laypeople's and Experts'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Hazards  |
미소장 |
71 |
Value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behavior.  |
미소장 |
72 |
On the primacy of affec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