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프레임 이론 메타분석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연구는 연구의 주제 그리고 방법, 연구대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의 분석적 과정에 기초하여 프레이밍 관련 연구들의 이론, 연구방법, 연구결과들을 가지고 자료를 구성하여 종합적 메타분석(Meta-synthesis)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의 해당 이론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학술논문들로서 본 연구자는 6개의 학술지(한국방송학보, 한국언론학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광고학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한국광고홍보학보)에 발표된 연구 중에 프레임 혹은 프레이밍 관련 연구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최근 10년간의 연구 98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프레이밍 사용은 방법론적으로 편중 현상을 발견하였다. 양적 연구방법에서는 주로 실험설계와 실험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에, 질적 연구방법에서는 주로 질적 프레임 분석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게재된 학술지와 연구주제에서도 편향적인 현상이 발견되었다. 프레이밍은 주로 언론과 관련된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으며, 미디어와 관련된 연구주제에 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메타분석의 산출물로서 기존 문헌의 분류를 보다 체계적인 방식으로 개선하였으며, 프레이밍 관련 연구들에 대한 통합적인 조망을 제시함으로써 후속연구에 유용한 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세대 담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ourse on youth gen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online discussion' /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정효진 p. 229-273

한·중 지방자치단체의 숙의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liberative decision making of Korean and Chinese local governments : 공론화와 민주간담회를 중심으로 지샤오칭, 홍성구 p. 193-227

퍼블릭 인게이지먼트의 효과를 고려한 기후변화 소통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 The study on coming up with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strategies considering the effect of public engagement 정현주, 유영석 p. 149-192

프레이밍(Framing) 이론 메타분석 : Framing theory meta-analysis : focusing on research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2010-2019 / 2010-2019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중심으로 차현주, 권상희 p. 119-148

SNS상 긍정적 및 부정적 사회적 공유(social sharing)가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social sharing on S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최정화 p. 91-117

PR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기업 CEO의 이미지와 영향 요인 = How do public relations experts perceive corporate CEO image? : Focused on influential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CEO image 황성욱, 강주현, 조윤용 p. 39-90

정치지도자의 메시지가 당사자에 대한 지각된 정보원 속성과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perceived source attribute of the political leader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olitical mess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 한일 갈등상황에서 일본 정치지도자 메시지 유형 비교 유재웅, 진용주 p. 7-38

지역방송의 지역성에 대한 시청자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locality of local broadcasting system by viewers 최영준, 김봉철 p. 375-405

(An) extension of information manipulation theory to explain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ecep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 거짓말의 문화 간 유사성과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조작이론(Information Manipulation Theory)의 확장 Kitae Kim, Shin-Il Moon, Hyeonjeong Hwang p. 339-374

가상현실(VR) 기술이 미세먼지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on particulate matter risk perception 최지혜, 노기영 p. 307-338

중국 대학생의 해외 3개국(한국·미국·영국) 드라마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 Determinants of watching foreign drama program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유명연, 전범수 p. 275-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