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보훈문화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반요인의 중요도 분석과 함의 : 학계 및 실무 전문가의 인식 비교 = Priority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y infrastructure for activating of the veterans culture contents : a comparison between academic and practical expert perception / 이홍재 ; 차용진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제도적 배경 3

1. 보훈문화 콘텐츠 3

2. 보훈문화 콘텐츠 정책 기반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5

3. 보훈문화 콘텐츠 활성화 정책 기반 요인 도출 7

III. 연구설계 10

1. 계층구조 및 설문구성 10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1

IV. 분석결과 12

1. 일관성 분석결과 12

2. 정책 기반 영역 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13

3. 정책 기반 영역별 세부 방안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14

V. 결론 및 함의 21

참고문헌 24

[저자소개] 26

[요약] 2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과학기술의 위험인식과 사회적 수용성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social acceptance : extension of the value-belief-norm theory / 가치-신념-규범(VBN) 이론의 적용과 확장 윤명현, 윤지환 p. 1-28, [299]

보기
정부업무평가기본법 하에서 성과관리를 위한 자체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self-evaluat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under the framework Act on Public Service Evaluation : focusing on the case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영빈, 이윤식 p. 29-62, [299-300]

보기
2018 전문대학 기본역량 1단계 진단에서 3개 권역별 진단팀과 정량평가지표의 영향력 분석 = The impact of three regional evaluating group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es on the preliminary result of Korean junior college fundamental competency test in 2018 김정기 p. 269-297, 305

보기
공공갈등 에피소드 특성과 정책환경, 정책환류의 상호작용 : Exploring interaction among policy setting, episodes of policy conflict and feedback : case studies of transmission and substation construction conflicts / 송변전소 건설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이범용, 박형준, 주지예 p. 239-267, [304]

보기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과 휴가권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givers' working environment and rest right on the intention of transfer through job satisfaction 김재형, 김호현, 김근세 p. 211-238, [303-304]

보기
보훈문화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반요인의 중요도 분석과 함의 : Priority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policy infrastructure for activating of the veterans culture contents : a comparison between academic and practical expert perception / 학계 및 실무 전문가의 인식 비교 이홍재, 차용진 p. 185-210, [302-303]

보기
장애인 고용장려금 정책의 사중손실 분석 = Analyzing the deadweight loss of the "employment subsidy for the disabled" policy 한승훈, 유은주, 손호성 p. 155-184, [302]

보기
지역해양보호구역센터 네트워크 거버넌스 협력과정 = Collaborative process of marine protected area center network governance 강은주, 이명석 p. 85-118, [301]

보기
자살 행동에 대한 억제 요인 분석 : Suicide protective factors in Korea : focused on the ggeneration Bborn [실은 generation born] between 1959 and 1963 / 1959년~1963년에 출생한 세대를 중심으로 이아람, 고명철 p. 63-83, [300]

보기
예산이론 연구문헌의 인용연결망 변화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dynamism in citation networks of studies on budget theories 이정희 p. 119-154, [301-302]

보기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길곤・하혜영. (2008).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17(1):287-313. 미소장
2 문화콘텐츠기술 확산과 영향요인분석 네이버 미소장
3 국가보훈처. (2014). 2013년도 국정과제 명예로운 보훈 주요 추진실적. 미소장
4 국가보훈처. (2015). <2015년 정부기념행사 인지도 조사 결과 보고서>. 국가보훈처. 미소장
5 권기헌. (2014). <정책학 강의>. 서울: 박영사. 미소장
6 문화예술정책의 집행요인 분석 : '98경주세계문화EXPO사업을 중심으로 소장
7 김상욱. (2011).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특징 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방안 연구. <한국정책연구>, 11(1): 23-42. 미소장
8 김종성. (2005). <한국보훈정책론>. 서울: 일진사. 미소장
9 김호균. (2006).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집행 영향요인 모형설정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5(2): 79-107. 미소장
10 김호균. (2007). 문화정책집행영향요인과 집행효과성과의 관계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1):167-192. 미소장
11 김홍국. (2015).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호국보훈 인물 중심의 보훈 선양 및 교육. <한국보훈논총>, 14(3): 91-114. 미소장
12 노화준. (2004). <정책학원론>. 서울: 박영사. 미소장
13 목진휴・형시영・김희경. (2013). 나라사랑 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훈논총>, 12(2): 47-77. 미소장
14 박광국・최상일・주효진. (2000). 지역문화정책 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인식도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38(2): 133-154. 미소장
15 박용성. (2015). 국가보훈 정책변동에 대한 연구: 정책변동모형을 결합한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2(2): 159-183. 미소장
16 박준기. (2006). 디지털시대 문화원형 콘텐츠를 이용한 보훈의식 강화 방안. <보훈학술논문집>, 8:303-331. 미소장
17 박중훈・류현숙・김윤희・박정우. (2012). <나라사랑정신 확산을 위한 보훈선양정책 활성화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미소장
18 서운석. (2011). 한국민의 보훈의식에 대한 인과구조 분석. <사회과학연구>, 35(1): 183-211. 미소장
19 이영안. (2020). 양성평등기금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1):119-141. 미소장
20 이종열・주효진・노지영. (2010).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산림가치 우선수위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10(3): 301-317. 미소장
21 이홍재・박미경・차용진. (2016). 보훈기념행사 운영전략의 중요도 분석 및 함의: AHP를 활용한 공무원 및 전문가 비교. <한국행정연구>, 25(2): 157-186. 미소장
22 이홍재・차용진. (2016a). 보훈 관련 정부기념행사 참여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1): 85-107. 미소장
23 이홍재・차용진. (2016b). 보훈교육 및 홍보의 효과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1):1-21. 미소장
24 이홍재・차용진. (2017). 디지털 위험관리 활성화 방안.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2): 105-131. 미소장
25 이훈영. (2009). <이훈영 교수의 마케팅 조사론>. 서울: 청람. 미소장
26 정상규. (2020). <보훈정책의 개선방향 및 기대효과: 보훈 역사・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정원섭・정원희. (2011). 상징적 국가 보훈정책의 활성화 방안: 국가보훈 상징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8(2): 180-201. 미소장
28 정원준・최진봉. (2014). 공중의 세분화로 분석한 국가 보훈행사에 대한 젊은 세대의 참여도 차이와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보훈 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8(2): 248-279. 미소장
29 정일권. (2010). <한국 보훈선양정책 발전방안>.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정정길・최종원・이시원・정준금・정광호. (2013).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미소장
31 조근태・조용곤・강현수. (2003).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미소장
32 Study on the Aggregation of Multi-Experts Priorities Using Compatibility in the AHP 소장
33 차용진・이홍재・이대영・이현철. (2015). <보훈기념사업에 대한 세대별 맞춤행사 및 홍보사업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미소장
34 차용진・이홍재・김주경. (2017). <보훈의식 함양을 위한 문화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국가보훈처. 미소장
35 채경진. (2009). 지자체의 성공적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9(3): 319-333. 미소장
36 해외 한민족 문학작품을 활용한 보훈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네이버 미소장
37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2016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미소장
38 형시영・김미숙・김수봉・박가열・박환・서용석・최용수・홍성운. (2010). <보훈정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교육연구원. 미소장
39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atio judgements 네이버 미소장
40 Edwards Ⅲ, G. C. (1980). Implementing Public Policy. Washington D.C.: Congressional Quarterly. 미소장
41 Hogwood, B. W., & L. A. Gunn. (1984). Policy Analysis for the Real World (Vol. 69). Oxford: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s allocation. New York: McGraw. 미소장
43 Sabatier, P., & D. Mazmanian. (1983). Policy Implementation. Encyclopedia of Policy Sciences. Marcel Dekker, New York. 미소장
44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