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묵암 이종일과 동학, 천도교, 그리고 3·1독립만세운동의 연속성 = Continuity of Donghak, Cheondogyo and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thoughts of Mukam Lee Jong Il / 안외순 1
국문초록 1
I. 서론 3
II. 자료와 관련하여 7
III. 3·1운동과 묵암의 위상 9
IV. 묵암의 동학-천도교-3·1운동의 계승 논리와 성격 19
1. 동학에 대한 묵암의 인식 19
2. 천도교인(동학인)으로서의 실천관 23
V. 결론 33
참고문헌 35
Abstract 3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沃坡備忘錄』3卷(沃坡記念事業會편, 『沃坡李鍾一先生論說集』(1,2,3), 서울: 敎學社, 1984. | 미소장 |
2 | 沃坡記念事業會 편, 『沃坡 李鍾一先生의 警世의 偉業과 生涯』, 서울: 옥파기념사업, 1995. | 미소장 |
3 | 이현희 편,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 『韓國思想』 16, 1978. | 미소장 |
4 | 이현희 편,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2)」, 『韓國思想』 17, 1979. | 미소장 |
5 | 이현희 편역,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3)」, 『韓國思想』 18, 1981. | 미소장 |
6 | 박은식, 『韓國獨立運動之血史』, 서문당, 1920. | 미소장 |
7 | 李炳憲 編著, 『3·1運動祕史』, 시사신보사, 1959. | 미소장 |
8 | 『張孝根日記』,『한국사논총』, 성신여대 사범대, 제1집, 1976. | 미소장 |
9 | 《동아일보》1925.9.1. | 미소장 |
10 | 《제국신문》《조선일보》1925.9.1. | 미소장 |
11 | 길창근, 「沃坡 李鐘一의 敎育思想에 대한 考察」, 『社會科學硏究』 9(1), 2000. | 미소장 |
12 | 김범수,이유진, 『옥파 이종일선생 이야기』, 창작시대, 2009. | 미소장 |
13 | 김삼웅, 『33인의 약속』, 산하, 1997. | 미소장 |
14 | 김용덕, 「북학사상과 동학」, 『사학연구』 16, 1969. | 미소장 |
15 | 김용호, 『沃坡李鍾一硏究: 新村情神, 先改情神의 提唱者』, 敎學社, 1984. | 미소장 |
16 | 김창수, 「3ㆍ1運動과 沃坡 李鍾一」 『중앙사론』 212005(1995). | 미소장 |
17 | 김홍주, 『(구한말) 선각자 옥파 이종일』, 세광문화기획사, 2010. | 미소장 |
18 | 묵암기념사업회 편, 『默菴 李鍾一先生 警世의 偉業과 生涯』, 默菴紀念事業會, 1979. | 미소장 |
19 | 朴杰淳, 「3ㆍ1 獨立宣言書 公約三章 起草者를 둘러싼 論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18집, 1994. | 미소장 |
20 | 沃坡 李鍾一의 思想과 民族運動 | 소장 |
21 | 박걸순, 『이종일. 생애와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1997. | 미소장 |
22 | 박춘석, 『옥파 이종일』, 태안향토문화연구소, 2008. | 미소장 |
23 | 박찬승, 「3ㆍ1독립선언서 인쇄과정과 판본의 검토」,『동아시아문화연구』80, 2020. | 미소장 |
24 | 성주현, 『민중에게 다가간 독립운동가 이종일』, 역사공간, 2017. | 미소장 |
25 | 심형준,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인 이종일의 상징화 사례 연구:「묵암비망록」, 데마고기, 상징화 주체와 전략의 변화」 『宗敎硏究』 Vol. 78, 한국종교학회, 2018. | 미소장 |
26 | 옥파기념사업회 편, 『沃坡 李鍾一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옥파기념사업회, 1995. | 미소장 |
27 |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의암손병희선생전기』,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1967. | 미소장 |
28 | 이현희, 「 『默菴備忘錄』 解題」 『韓國思想』 161978a. | 미소장 |
29 | 이현희, 「天道敎와 民衆運動: <默菴備忘錄>과 <東菴日記>를 중심으로」 『廣場』, Vol. 63, 1978b. | 미소장 |
30 | 이현희, 「동학과 민족운동」, 『동학학보』 9, 2005. | 미소장 |
31 | 이현희, 「의암 손병희와 3ㆍ1운동」, 『동학학보』 17, 2009. | 미소장 |
32 | 임형진, 「묵암 이종일과 3ㆍ1운동」, 『민족학연구』 8, 2009. | 미소장 |
33 | 전기영, 「沃坡 李鍾一의 敎育思想」, 『중앙사론』 5, 1987. | 미소장 |
34 | 정영희, 「默菴 李鍾一의 近代敎育運動」, 『역사와실학』 26, 2004. | 미소장 |
35 | 정운현. 「종일, 언론인 출신으로 천도교 비밀조직을 이끈 독립선언서 인쇄 책임자」『3ㆍ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역사인,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