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이 전 지구적 문제로 불거지면서 플라스틱 개발 및 생산·관리에 대한 각국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플라스틱 폐기물 해결을 위한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의 사용저감을 위하여 대체재 탐색을 비롯한 신소재 개발 및 순환형 공급망 전환 등을 통한 지속가능한 포장 디자인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원순환 및 순환경제사회의 개념을 고찰하고 국내·외 플라스틱 관련 환경 정책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다년간에 걸쳐 기업 주도의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애플의 포장 혁신 사업 사례연구를 통해 자원순환과 플라스틱 사용저감을 위한 혁신 프로세스와 특징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포장 혁신 사업에 있어 지속가능한 포장 설계와 디자인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법으로는 크게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높인 ‘자원 감량화(Reduce)’와 ‘재활용(Re-cycle)’, 기술적 접근을 통한 포장 방식의 ‘리뉴얼(Renewal)’, 공급망과 재료품 관리를 탈바꿈한 ‘프로세스 혁신(Process Innovation)’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자원의 지속가능한 순환을 가능케 하는 포장 혁신을 위해서는 자원의 효율성을 제고한 디자인 개선은 물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더불어 프로세스 전반의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필(必)환경 시대에 있어 기업 생존을 위한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 표현 비교 및 상징성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sm and formative expression of the sun and moon pattern design of the Ilwolsangmun between Korea and China 장미경, 이미나 p. 399-408

지자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나타난 지역 정체성 연구 = A study on regional identity in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brand of local governments 이미정 p. 387-397

데이터 저널리즘 기반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정보 시각화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interactive storytelling based on data journalism 박혜진 p. 371-385

코로나 시대에 무관중 스포츠경기의 중계방송이 시청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roadcasting sports game without spectators on viewers in COVID era 진용주, 윤천석 p. 5-18

브랜드 체험공간의 감성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brand experience space : focusing on naturalist cosmetics /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이수아, 김수정 p. 357-370

메가 문화 이벤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mega cultural events : bas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ceremonies of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폐회식을 중심으로 이도훈, 오지연 p. 343-355

AI 커뮤니케이션의 브랜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randing of AI communication : focused on building brand identity of AI speakers / AI 스피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중심으로 박보람, 오세원 p. 331-342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용 AVN콘트롤러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AVN(audio, video, navigation) controller designs for vehicles based on user experiences 정정호, 이예림, 정지훈, 오예슬, 이수빈 p. 317-330

자동차 내비게이션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automotive navigation : focused on smart phone navigation app service's UX design /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서비스의 UX 디자인을 중심으로 조성원, 장동련 p. 303-316

점의 상징성을 이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jewelry design based on the symbolism of dots : with a focus on product development for the S_S.IL brand / 브랜드 '에스실' 제품개발을 중심으로 김영실, 고보형 p. 289-301

한정판 사은품의 희소성이 지각된 가치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oduct scarcity of limitied edition gifts on perceived value and brand commitment : focusing on moderated effect of brand reputation / 브랜드 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석기, 장동련, 박지수 p. 279-288

대형할인점의 행사제품 디스플레이 디자인 요소가 충동구매와 점포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omoted product display design of discount stores on impulse purchase and store revisit intention 나광진, 권민택 p. 269-278

미디어콘텐츠의 활용이 국가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utilization of media content on national brand 노주현 p. 259-268

창의성 함양을 위한 창의적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 Development of creative fashion design process for foster creativity :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process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효승, 손영미 p. 247-258

메타포 인포그래픽 유형과 문화권에 따른 맥락적 차이가 정보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fographic type from metaphor and difference of context by cultural area on information acceptance attitude 김태현, 성열홍 p. 233-245

SNS 텍스트 분석을 통한 디자인 기업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firms using SNS text analysis : focusing on global design firm pentagram / 글로벌 디자인 기업 Pentagram을 중심으로 박지연, 장동련 p. 223-232

나이키(Nike) VMD의 색채특성 = Color characteristics of Nike VMD 김지영 p. 213-222

금융카드의 콜라보레이션 캐릭터디자인 특성과 사용 의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character design of financial cards and its usage intention :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preference / 브랜드 선호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곽예예, 구자준 p. 195-211

TV 간접광고에 노출되는 브랜드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연구 = Audience attitudes on the brand exposed in TV PPL 이용재 p. 185-194

영화제 포스터의 시각적 다원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plurality analysis of film festival posters : focusing on the posters of the nation's top three film festivals / 국내 3대 국제영화제 포스터를 중심으로 윤수진, 노주현 p. 173-183

Pet Food 브랜드 로고의 시각적 요소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elements of pet food brand logo : focusing on the top 10 brands in the Chinese market share / 중국시장 점유율 Top 10 브랜드를 중심으로 원선기, 김희현 p. 159-172

브랜드 유통 채널로서 중국 라이브 커머스의 이벤트 콘텐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ent contents of live commerce in China as brand distribution channel 조상, 김미현 p. 145-158

H&B 스토어 화장품 브랜드 인스타그램 활용도 분석 = An analysis of Instagram utilization of H&B store cosmetics brands 임동완, 김혜균, 배정태 p. 135-144

사물인터넷(IoT)기반 의약품디자인의 브랜드경험(BX) 연구 = A study on brand experience(BX) of medication design using Internet of things(IoT) 윤혜진, 장동련 p. 123-133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IC-PBL 수업 역량 분석 : An analysis of the competency of IC-PBL with design thinking : focused on design college classes / 디자인대학 수업 사례 중심으로 송지성, 강송희 p. 111-121

플라스틱 사용저감과 자원순환을 위한 포장 혁신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packaging innovation for reduction of plastic use and resource circulation : focused on analysis of Apple's paper & packaging innovation / 애플의 포장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최주희, 박보람 p. 101-110

쌀 공동브랜드의 성공요인 및 컬러마케팅전략 : Success factors and color marketing strategy of rice co-brands : focused on rices of Buyeo region / 부여지역 쌀을 중심으로 권기대 p. 85-100

디자인 PBL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design PBL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고은영 p. 75-84

반려묘 사료 브랜드 분석을 통한 패키지 디자인 제안 : Package design proposal through cat food brands analysis : focusing on top 10 cat food brands / 반려묘 사료 Top 10 브랜드를 중심으로 서문청, 김희현 p. 59-74

(The) influence of university visual image on student behavior = 대학교 시각 이미지가 학생 행위에 미치는 영향 Jin Cheng, Cui Yu Hua p. 47-58

수산물 젓갈 브랜드의 창업가정신 연구 :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of the seafood salted brand : focused on Guldali Foods / 굴다리식품을 중심으로 고삼숙, 김신애, 권기대 p. 33-45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사용승인 평가시스템 개발 : Development on the evaluation systems for using approval of co-brand in agricultural products : focused on GOODTRAE brand / 굿뜨래 브랜드를 중심으로 김신애 p. 19-32

참고문헌 (1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린더 카니,「팀 쿡, 애플의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는 조용한 천재」, 다산북스, 2020. 미소장
2 김미자,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브랜드디자인학 연구,Vol.9 No.3, 2011 미소장
3 김이서,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의 유혹, 그린피스, 2019. 미소장
4 이소라 외,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플라스틱 관리전략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미소장
5 윤혜진,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스마트패키지디자인의 지속가능성 분석과 활용, 브랜드디자인학 연구,Vol.18 No. 3, 2020. 미소장
6 장현숙, 주요국의 플라스틱 규제 동향과 혁신 비즈니스모델 연구, Vol.13,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9. 미소장
7 환경부,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 ‘미래세대를 위한 선택’」, 환경정책브리프, Vol.05, 2015. 미소장
8 Apple, Environmental Progress Report, https://www.apple.com/environment/pdf/Apple_Environmental_Progress_Report_2020.pdf, 2020. 미소장
9 Appl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Report, https://www.apple.com/environment/pdf/Apple_Environmental_Responsibility_Report_2019.pdf, 2019. 미소장
10 Apple, Material Impact Profiles, https://www.apple.com/kr/environment/pdf/Apple_Material_Impact_Profiles_April2019.pdf, 2019. 미소장
11 Apple, Product Environmental Report_iPhone 11 Pro Max, https://www.apple.com/kr/environment/pdf/products/iphone/iPhone_11_Pro_Max_PER_sept2019.pdf, 2019 미소장
12 Apple, Apple’s Paper and Packaging Strategy, https://www.apple.com/environment/pdf/Packaging_and_Forestry_September_2017.pdf, 2017. 미소장
13 Apple, iPhone7 Environmental Report, https://images.apple.com/environment/pdf/products/iphone/iPhone_7_PER_sept2016.pdf, 2016. 미소장
14 Apple, Sustainable Fiber Specification Ver.C, https://www.apple.com/kr/environment/pdf/Sustainable_Fiber_Specification_April2016.pdf, 2016. 미소장
15 케미컬뉴스, http://www.chemicalnews.co.kr/ 미소장
16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lovekeiti 미소장
17 환경부, http://www.me.go.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