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청주시 노인급식 관리지원 시범사업의 효과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s food service in Cheongju city : focused on improving hygiene control / 위생관리개선을 중심으로 / 이주은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필요성 2

1.2. 연구의 목적 2

2. 연구방법 3

2.1. 연구대상 및 기간 3

2.2. 조사내용 및 방법 3

2.3. 통계분석 방법 3

3. 연구결과 3

3.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3

3.2. 노인 사회복지시설의 급식관리 지원 전 위생관리 현황 4

3.3. 노인 사회복지시설의 1차 급식관리 지원 전과 후의 위생관리 점수 비교 5

3.4. 노인 사회복지시설의 2차 급식관리 지원 전과 후의 위생관리 점수 비교 6

3.5. 노인 사회복지시설의 급식관리 지원 전과 후의 냉장, 냉동고 온도와 냉장고 손잡이 오염도 비교 8

4. 고찰 8

5. 결론 및 시사점 9

6. 감사의 글 9

REFERENCES 10

[저자소개] 1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간과 공간적 특성에 따른 축구 패스 성공률 분석 : Influences on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occer pass success rate : a case study of the 2018 World Cup in Russia / 2018 러시아 월드컵 대회 자료를 중심으로 이승훈, 김영훈 p. 475-483

보기
청소년의 도박문제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problem gambling o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school adolescents and out-of-school adolescents /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혜 p. 465-474

보기
미혼 성인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unmarried adult men and women's implicit narcissistic propensity on the tolerance of dating viole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정오영, 장석진 p. 453-463

보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 학업 무기력,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다중매개효과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cademic helpless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grit of adolescents 김도희, 김혁진 p. 443-451

보기
청주시 노인급식 관리지원 시범사업의 효과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s food service in Cheongju city : focused on improving hygiene control / 위생관리개선을 중심으로 이주은 p. 431-441

보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체육계열 대학생의 원격수업 학습경험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이만기, 조은별, 임효성 p. 421-430

보기
뷰티전공 대학생의 쇼핑 성향이 뷰티 콘텐츠 만족도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hopping orien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satisfaction in beauty contents and purchasing behavior 모정희 p. 411-420

보기
온라인 무용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 지속사용의도,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online dance education on user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 김규진, 나윤빈 p. 401-410

보기
플로우 이론을 적용한 u-융합정보시스템이 관광객의 만족도와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convergence information system on flow theory and tourist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 focusing on flow theory / 플로우 이론을 중심으로 선수균, 김종인, 고선영 p. 389-399

보기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biculture acceptance /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매개효과 우안순, 백진아 p. 379-388

보기
밀키트(Meal Kit) 제품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meal kit user experience design 박서연, 김승인 p. 373-378

보기
교수자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차별적 효과에 대한 연구 : Effects of teacher’s commnunicative behaviors on instructor and class evaluations : by student personalty traits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 학습자의 성격요인과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따른 집단간 차이 안호림 p. 361-371

보기
초기 사용자 경험 단계의 확증편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firmation bias in early user experience stage 이영주 p. 355-360

보기
온라인 콘서트의 사용자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online concert : focusing on the case of KPOP online concert / KPOP 온라인 콘서트 사례를 중심으로 홍현주, 김승인 p. 349-354

보기
재사용 가능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 = Framework for building reusable design systems 이영주 p. 343-348

보기
로에베 공모전에 나타나는 현대 공예의 융·복합적 현상에 관한 연구 = Convergence and composite phenomenon of contemporary crafts in the loewe craft prize 김준용, 서성욱, 박중원 p. 335-342

보기
국내 OTT 플랫폼 드라마 수급 경쟁력 연구 = A study on the supply competitiveness of dramas of the domestic OTT platforms 홍일한, 박진우, 김치호 p. 327-333

보기
Analysis of user's continuous utilization of social apps using the model of gamification = 게이미피케이션 모델을 이용한 사용자의 소셜 앱 지속 활용도 분석 Xue-ping Gu, Hyun-Seok Lee p. 315-325

보기
시맨틱 네트워크를 통한 문학작품 속 인물과 의상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costume in literary work using semantic networks : the novel 「Norwegian Wood」 / 소설 「노르웨이의 숲」 최영현, 김성은, 이규혜 p. 307-314

보기
분노표현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between anger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이명인, 서혜영, 황순정 p. 295-305

보기
조직 내 정치와 구성원 간 갈등이 의사소통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conflicts on quality of communication among nurses / 간호조직을 대상으로 정종원 p. 285-293

보기
간호학과 1학년의 도덕적 행동, 생명의료윤리 의식, 죽음 태도가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oral behavio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d death attitudes on hospice awareness in nursing freshman 김정숙, 제남주 p. 275-284

보기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임현정, 박경숙 p. 261-274

보기
국내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The effectiveness of a flipped learning on Korean nursing students : a meta-analysis 강미정, 강경자 p. 249-260

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특별재난 일개 지역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합 연구 =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among school teachers in COVID-19 special disaster area 김은휘, 하영선, 박용경 p. 239-248

보기
시뮬레이션 기반 흉관배액 관리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시나리오 경험에 대한 반응, 학습에 대한 자신감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chest tube drain management nursing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response to scenario experiences, confidence i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김은하, 조상희 p. 229-237

보기
간호사의 삶에 대한 가치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lues of life and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nurses / 세대에 따른 차이 이현숙, 김영희 p. 217-228

보기
다제내성균 환경표면 오염도 및 소독 효과 평가 =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urface contamination and disinfection effects on multidrug-resistant organism 김재연, 박정애, 이미향, 김상하, 정선영 p. 211-216

보기
스마트 시니어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기반 이용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usage decision factor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using smartphone delivery applications 최부헌, 문수지 p. 199-209

보기
리테일 산업에서의 구매단계별 사물인터넷 활용과 가치 창출 = The Internet of things(IoT) applications and value creation in the retail industry : focusing on consumer decision-making stages 박인형, 정소원 p. 187-198

보기
기업특성이 여성고용비율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irm characteristics on the female employment ratio 권희경, 안미강 p. 177-186

보기
CFPR 방법을 활용한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최적 후보지 선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optimal candidates for free trade area in Incheon port using CFPR method 김병화, 박성훈, 김현진, 여기태 p. 167-176

보기
중국 호텔 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anager’s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in China's star-rated hotel industr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Li Meng, 이윤구 p. 151-165

보기
4P기반의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육체계 개발 =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ystem for K-12 based on 4P 류혜인, 조정원 p. 141-149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이익조정 연구동향 토픽모델링 = Topic modeling of profit adjustment research trend in Korean accounting 김지연, 나홍석, 박경환 p. 125-139

보기
환대산업 종사원의 조직지원이 종사원열정과 관계의 질간의 영향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employee enthusiasm and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support of hospitality industry employees 서경도 p. 117-124

보기
대표자역량이 중소기업 매출채권관리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representative competency of SMEs on accounts receivable manag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윤태준, 이동명 p. 107-115

보기
일의 의미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Influence of work meaningfulness on work engagement, job performance, and flourishing : dual mediation model / 직무열의와 직무수행의 이중매개효과 정승철 p. 99-105

보기
정보보안 관련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rom prospect theory and goal orientation theory perspective / 개인 전망, 조직 목표지향성 관점을 중심으로 황인호, 허성호 p. 89-97

보기
클라우드 컴퓨팅의 지각된 가치와 신뢰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perceived value and trust on intention to continue use of individuals’ cloud computing : the perception of value-based adoption model /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김상현, 박현선, 김보라 p. 77-88

보기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수입 자동차 소모품 출고예측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prediction of consumable release of imported automobile utilizing system dynamics : focusing on logistics center of a imported automobile part / A 수입 자동차 부품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박병준, 여기태 p. 67-75

보기
서울지역 방문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of visiting caregivers in Seoul 남경옥, 채재은 p. 59-66

보기
(The) use of an online grammar checker in English writing learning = 영어쓰기학습에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연구 Hee-Joo Im p. 51-58

보기
비건 뷰티와 뷰티산업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gan beauty and the beauty industry 황제이, 김금란 p. 45-49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분석 :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changes of onlin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손민성, 임미자, 박경환 p. 29-43

보기
ERG요인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s of ERG factor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job fit /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준호, 경성림, 김수 p. 23-28

보기
원격수업 시대, 가정의 ICTs 환경 적합성 : Home ICTs environment for distance learning contexts :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household smart devices / 가구 및 가구원 수별 스마트기기 보유 단기 종단적 비교 진미정, 배한진, 권순범 p. 11-22

보기
스마트러닝기반의 수업이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성 분석 :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based class on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 focusing on 3D application and AR of smart application / 스마트앱의 3D와 AR 활용을 중심으로 홍예윤, 임연욱 p. 1-10

보기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0. Food Safety Country. Hazard, Prevention. Food Poisoning Information. food poisoning statistics.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 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3724&menu_grp=MENU_NEW02 미소장
2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0. Articles 2 and 88 of the Food Sanitation Ac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5801&efYd=20200324#J2:0 미소장
3 B. M. Lund (2015). Microbiological Food Safety for Vulnerable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8), 10117-10132. 미소장
4 P. A. Kendall, V. V. Hillers, & L. C. Medeiros. (2006). Food Safety Guidance for Older Adults. Clin Infect Dis, 42(9), 1298-1304. DOI: 10.1086/503262. 미소장
5 Statistics Korea. 2019. Major population index.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checkFlag=N. Accessed July 25, 2020. 미소장
6 J. W. Lee . (2017).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medical service for Elderly People towards Super-aged Society. Legal Research 25(4), 181-203. 미소장
7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0. statute, data. Revision Notice. Announcement of the Regulations on Support for Food Service Management for the Elderly, etc. https://www.mfds.go.kr/brd/m_207/list.do 미소장
8 M Vandenberghe-Descamps, H Labouré, C Septier , G Feron, C Sulmont-Rossé. 2018. A new concept to understand elderly people’s expectations in terms of food sensory characteristics. Food Quality Preference. 70(1), 57-67. http://lps3.doi.org.libproxy.snu.ac.kr/10.1016/j.foodqu al.2017.08.009 미소장
9 R. Liu, K. G. Grunert. 2020.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and beliefs about food health, safety, freshness and taste among the elderly in China: A segmentation analysis. Food Quality Preference. 79(1), 1-10. http://lps3.doi.org.libproxy.snu.ac.kr/10.1016/j.foodqu al.2019.103775 미소장
10 M. D. Kirk, J. Gregory, K. Lalor, G. V. Hall, & N. Becker. (2012). Foodborne and waterborne infections in elderly community and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Victoria, Australi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8(3), 377-384. 미소장
11 W. C. Levine, J. F. Smart, D. L. Archer, N. H. Bean, &R. V. Tauxe. (1991).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nursing homes, 1975 through 1987. JAMA, 266(15), 2105–2109. 미소장
12 G. S. Han, E. J. Yang. (2018). Status of Foodservice Operation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ocus o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8(5), 337-344. 미소장
13 J. E. Seo, K. I. Kwon &, G. H. Kim. (2019).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Institution Foodservice Managemen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by the Employment of Dietitians. J Food Cook Sci 35(2), 216-225. 미소장
14 E. H. Seo & E. J. Park. (2016). Nutrition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in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by Dietitian Employment. J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4), 473-483. DOI : 10.21097/ksw.2016.11.11.4.473 미소장
15 Y. J. Chang. (2013). Statu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Foodservi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Field Survey Report.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156&brdSeq=2179 미소장
16 J. S. Kwon, S. H. Lee, K. M. Lee, & Y. N. Lee. (2016). Study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 Nutr, 21(2), 200-217. DOI: 10.5720/kjcn.2016.21.2.200 미소장
17 H. J. Chang. (2008).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oodservice through Identifying the Foodservice Quality Factors in Senior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 Nutr, 13(1), 69-79. 미소장
18 S. Y. Baik, S. Y. Shin, S. H. Baek, I. S. Yang. (2008). The Effect of Foodservice Quality Perception on Residence Satisfaction of Silver Town Residents. Korean J Food & Nutr. 21(4), 553-561. 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809651051179.pub 미소장
19 M. J. Lee, J. H. Kim, O. J. Park, Y. M. Lee. (2016).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Korean J Comm Nutr, 21(1), 65-74. 미소장
20 E. K. Jung, S. J. Park, & J. S. Kim. (2017). Evaluation of the Menus of Senior Welfare Centers for Home-bound Elderly. J Korean Diet Assoc 23(4), 363-373. 미소장
21 H. J. Ahn, J. H. Kang, & H. M. Lee. (2014). Nutrition Status of Elderly Femal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according to Meal Types and Eating Ability. Korean J Comm Nutr, 19(2), 187-197. 미소장
22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9. Guideline for Center for social welfare facility Foodservice Managemen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pp.82-84. https://ccfsm.foodnara.go.kr/home/?menuno=164 미소장
23 H. K. Moon. (2017). Comparison of the Sanitary Inspection Results and Adenosine Triphosphate(ATP)Bioluminescence Assay for Equipment in Children’s Foodservices. Korean J Food Cook Sci 33(4), 461-470. DOI; 10.9724/kfcs.2017.33.4.461 미소장
24 J. O. Park. (2017). The Use Characteristics and the Use Competencies of Food Label among Main Food Buyers of Households. J Consumer Policy Studies 48(3), 1-3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301766 미소장
25 N. Y. Yi. K. E. Lee, & J. Y. Park.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Worker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t Senior Welfare Cent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 677-689. 미소장
26 S. H. Seo, S. J. Moon, J. H. Choi. (2011).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Food Service Workers' Sanitation Performance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7(2), 142-160. 미소장
27 J. E. Lee. (2017). A Study on the Food Hygien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Home Day Care Centers. J Eng Appl Sci. 2SI(12), 6173-6179. DOI: 10.36478/jeasci.2017.6173.6179 미소장
28 J. M. Soon, R. Baines, & P. Seaman. (2012). Meta-analysis of food safety training on hand hygiene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food handlers. J Food Prot, 75(4), 793-804 미소장
29 The Department of Education. (2020).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School Foodservice Ac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2664&efYd=20160420#AJAX 미소장
30 J. Sibanyoni, F. T. Tabit. 2019. An assessment of the hygiene status and incidence of foodborne pathogens on food contact surfaces in the food preparation facilities of schools. Food Control, 98(1), 94-99. 미소장
31 O. A. Mihalache, L. Dumitraşcu, A. I. Nicolau, D. Borda. 2020. Food safety knowledge, food shopping attitude and safety kitchen practices among Romanian consumers: A structural modelling approach. Food Control, 120(1), 1-8. https://doi.org/10.1016/j.foodcont.2020.107545 미소장